결혼의 연대기
기에르 굴릭센 지음, 정윤희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의연대기 #기에르굴릭센 #쌤엔파커스

 

존과 티미. 그들의 만남은 처음부터 떳떳하지 못했다. 떳떳함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고, 옳고 그름으로 판단하긴 어렵지만 적어도 읽으며 불편한 감정이 올라왔으니 나는 내 감정대로 판단한다. 그 불편한 감정이 이들의 만남의 과정과 끝을 예고해 주는거 같았다.

 

존이 티미의 입장을 대변하며 쓴 글이다. 사건과 상황에 대한 시간적 흐름과 함께 존과 티미의 대화와 감정의 변화도 같이 보여 진다. 책을 읽는 내내 두 부부는 연기를 하는 것 같았다. 물론 좋았던, 불타오르던 순간도 있었겠지만 감정을 숨기고, 솔직하지 못하고, 신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못한, 미숙한 어른 둘이 결혼 놀이를 하고 있는 느낌이 들었다.

 

그들이 변화하는 과정과 감정의 변화는 지극히 이기적이었고, 너무난 처절했다. 가정이라는 틀은 무시한 채, 감정이 가는대로 움직이는 어린아이 같았다. 특히 무모했던 존의 자신감과 방종, 결국엔 질투에 휩싸인 모습은 그를 더욱더 처절하게 만들었다. 이 둘을 통해 결혼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는건 불가능하다. 책임감과 의무감, 상대방의 대한 신뢰, 애정 등.. 그 어떤 것도 기대할 수 없는 두 사람에게 결혼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은 너무 무겁고 어렵다.

 

그럼에도 읽는 내내 감정의 처절함과 슬픔, 그들의 삶의 변화와 관계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해보게 만들었고 몰입해 읽을 수 있었다. 누군가의 희생을 강요하는 결혼 생활은 없어져 가야겠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준비가 되지 않는 결혼도 마찬가지 아니겠는가.

 

P80. 언젠가 당신도 나처럼 똑같이 버림받기를 기도할게. 나를 무참히 버리고 떠난 것처럼 당신도 똑같이 버림받기를 내 온 마음을 당해서 간절히 기도하도 또 기도할 거야.

 

P134. 그녀가 집에 있고, 함께 같은 공간에 있으면 마음이 편해지는 것이었다. 나는 티미에게 다른 남자에게 호감을 느끼는 건 위험한 일이 아니라는 점을 인지시켰다. 이번에 만난 남자에게도 그저 마음이 가는 대로 행동하면 될 일이었다. 그렇게 사는 게 우리에게 어울리는 삶이라고도 말했다.

 

P256. 어떤 삶에서 벗어나 다른 삶으로 움직이는 것, 침대의 남은 빈틈으로 몸을 비집고 들어가는 건 생각보가 어렵지 않았다. 티미는 잠시 잠깐의 짜릿한 순간에서 한때 자신의 모든 존재였던 곳으로 돌아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