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브 (반양장) 창비청소년문학 111
단요 지음 / 창비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은 언제나 한국의 동의어였다.

다이브의 첫 문장

다이브는 2057년 물에 잠긴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 서울 또한 물에 잠긴 건 마찬가지다. 물에 잠기지 않은 곳은 높은 곳, 그중에서도 농사를 지으며 사람들이 살 만한 곳은 산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름조차 모르던 산의 이름을 알게 되고, 그 산에서 모여 살며, 디스토피아 세계에서도 살아남으려고 애쓴다.

의 이름보다는 시멘트 덩어리의 이름을 더 잘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다이브 중에서

기억이라는 게 남기 시작할 때부터 물에 잠긴 서울에서 살아온 주인공은 과거, 물에 잠기지 않은 서울을 기억하는 사람들을 위와 같이 칭했다. 주인공의 이름은 선율이며 물꾼이다. 물꾼은 등에 공기탱크를 짊어진 채 물속을 가르며 부풀지 않은 통조림을, 기름병을, 접시와 식칼을 찾아 나섰다. 한마디로 바다에서 쓸 만한 물건을 건져 올리는 존재가 물꾼이다. 책 제목이 다이브인 이유는 DIVE(잠수하다)를 그대로 가져온 것 같다.

그러던 어느 날 주인공은 남산 물꾼인 우찬과 시비가 붙고, 보름까지 누가 더 멋진 걸 찾아오는지 내기를 한다. 그렇게 서울 밑바닥까지 내려가 주인공은 멋진 걸 찾아낸다. 바로 기계 인간이다.

"좋은 꿈을 꾸고 있는데 깨우면 싫겠지?"

다이브 중에서 선율의 말

기계 인간과 함께 들어있는 종이에는 이런 말이 적혀 있었다. 아이콘트롤스의 최첨단 시냅스 스캐닝 기술은 '고인의 기억과 의식을 그대로 구현'합니다. 즉 주인공이 찾아낸 기계 인간은 이미 죽었던 사람의 기억과 의식을 기계 속에 담아놓았을 뿐이라는 거다. 그럼에도 주인공은 기계 인간을 깨우기 전에 고민한다. 기계 인간은 서울이 멀쩡하던 시절밖에 기억하지 못할 테니까. 주인공은 자신이라면 좋은 꿈에서 깨고 싶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결국 기계 인간을 깨우게 된다.

기계 인간의 이름은 채수호. 그녀는 어릴 적부터 몸이 아팠다. 그래서 부모님이 기계 인간을 만들었다. 그녀는 물에 잠긴 서울을 보고 생각에 잠긴다. 그러다 그녀는 한 가지 이상한 점을 발견한다. 그녀가 마지막으로 기억하는 기억은 2038년인데 서울이 물에 잠긴 건 15년 전이다. 채수호의 기억에서 4년이 텅 빈다.

채수호는 주인공에게 제안한다. 내기에 나가는 대신 자신의 4년을 찾아달라고.


다이브의 결말은 하나의 비밀이 밝혀지기는 했지만 물에 녹아있는 다른 비밀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마무리가 된거 같은 느낌을 받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의 지명이나 산의 이름이 나와서 좋았는데 강원도가 유난히 많이 언급되는 게 눈에 보였다. 그래서 강원도를 배경으로 뭔가 일어날 줄 알았는데 끝까지 그런 게 없어서 아쉬웠다. 아직 정식 출간이 된 책이 아니라 결말이 바뀔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있다. 결말이 바뀌지 않아도 2권이 나온다면 이 독특하고 신비로운 세계관의 깊이를 보여줄 수 있을 것 같다.

휴대폰이 암만 좋아도 전기가 끊기면 다 없어지잖아. 그러니까, 그만큼 소중한 거였으면 직접 인쇄해서

가지고 다녀도 되지 않아? 그래서 가끔 이런 생각을 해. 예전에는 멀쩡한 물건도 버렸다던데,

추억도 그만큼 덜 소중했던 건가, 하고.

다이브 중에서 선율이 한 말

마음에 흔적을 남기는 말이 많았다. 특히나 이 문장은 마음속에 깊게 파여서 따끔거릴 정도였다. 주인공의 말처럼 우리는 정말 추억을 덜 소중하게 여기는 걸지도 모른다. 언제나 꺼내볼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꺼내보지 않는 추억이 수두룩하다. 언제나 꺼내 먹을 수 있지만 결국은 썩어서 버리는 냉장고 속 음식들처럼 언제나 입을 수 있지만 결국은 입지 않아 버리는 옷장 속 옷들처럼. 넘치고 넘쳐서 결국에는 버려지는 것들. 우리가 소중히 여겨야 하는 것들.

다이브는 그런 것들을 상기시켜준다. 잊으면 안 되는데 자꾸 잊게 되는 것들을.

정식 출간이 되면 당신도 꼭 한 번 읽어보시길.....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서평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