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애들 - 최고 학력을 쌓고 제일 많이 일하지만 가장 적게 버는 세대
앤 헬렌 피터슨 지음, 박다솜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고 학력을 쌓고 제일 많이 일하지만 가장 적게 버는 세대라는 부제에 이끌려 읽어 보게 된 요즘애들내가 생각했던 애들의 범주보다는 다소 나이가 있는 밀레니얼세대까지를 아우른 이야기였다.

'90년대생이 온다'의 저자 임홍택씨의 추천사처럼 요즘애들은 애들이 아닌 요즘에 중심을 두고 있는 내용으로 특정 세대의 갈등을 부추기기 위한 내용이 아닌 '요즘 세상'의 구조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책에 가깝다.

저자인 앤 헬렌 피터슨은 미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미디어 '버즈피드'의 수석 작가라고 한다.

'밀레니얼은 어떻게 번아웃 세대가 되었는가'란 칼럼으로 사회에서 큰 주목을 받았는데, 요즘애들은 그 이야기의 연장선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이 책에서 계속 언급되고 우리들도 일상에서 자주 쓰는 용어인 [번아웃]은 과로의 결과로 신체적 혹은 정신적 붕괴를 겪는 환자들에게 처음으로 진단되었다고 하는데, 과연 요즘애들인 밀레니얼과 번아웃은 왜 연결되어졌는가?

밀레니얼은 충분히 노력하면 자본주의와 능력주의로 대표되는 미국의 체제 안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아니면 적어도 그 안에서 편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믿으며 자란 세대지만, 사회 체제가 망가진 상황에서는 가능성이 적었다.

2010년 이래 처음으로 다수가 부모보다 못살게 되는 세대이며 계층 상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학자금 대출과 꿈의 일자리를 찾기가 어려워지며, 가난한 사람은 더욱 가난하게 중산층은 자신의 자리를 간신히 유지하게 된 세대이다.

감정적으로는 더 불안하고 우울하며 지금의 상황을 유지하며 사는 길은 멈춰 서서 쉬지 않는 것이지만, 감정적/ 신체적/ 재정적 불안정의 무거운 짐을 짊어지며 살면서 어느 순간 번아웃이 온다.

밀레니얼 세대의 부모는 대부분 베이비붐 세대이며, 그들은 호황의 혜택과 사회적 체재의 안전망 속에서 성공과 계층 이동이 가능했었다. 그들이 정한 바람직한 모델은 엘리트 중산층이며 자녀를 그 속에 포함시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멈추지 말라고 가르쳤다.

부모님이 나를 걸어 다니는 이력서가 아니라 인간으로 봐주었으면 했던 시간들

4년 = 365일 + 윤년 1일 추가 1461일

요즘애들의 3장 첫 페이지의 내용이다. 미국 고등학생이 대학교를 가기 위한 노력의 시간에 대하여 블로그에 기록한 내용인데, 우리나라는 더 어릴 때부터 집중교육을 하고 있으니 4년보다 몇 배의 시간을 걸어 다니는 이력서로 자녀를 바라보고 양육했을 거라고 생각한다.

요즘애들은 총 9장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밀레니얼 세대의 대변과 같은 내용들이 등장하고 그 세대의 번아웃이 더 많을 수밖에 없는 정당한 이유와 사례들이 듬뿍 제공된다.

미국의 사회에 대한 내용이지만 우리나라와도 틀리지 않는 공감되는 내용이 많아서 읽는 내내 몰입할 수 있었다.

실제로도 주변에서 베이비붐 부모와 밀레니얼 자녀의 갈등을 본 적이 많으며, 그들 가족의 문제점을 나름대로 분석하며 내가 자녀를 키울 때는 그렇게 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도 했다.

그렇지만, 겪어보니 서로 다른 세대에 대한 갈등은 가족도 피해 갈 수 없는 거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사회 체재의 문제점을 알려고 하지 않고, 노력으로 다 헤쳐나갈 수 있다고 이렇게 풍요로운 세상에서 왜 못하냐고 질책했던 내용들이 Z세대 아이에게 미안해졌다.

정책적 아이디어나 행동 요령 등 구체화된 번아웃 극복 해법을 제시하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작가의 의도처럼 "당신 자신과 당신 주변의 세상을 명료하게 볼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하려 했다"라는 입장은 분명히 전달했다고 생각한다.

나에게 요즘애들은 여러 번 정독하면서 읽어야 할 값어치가 충분한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서평 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