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락부자 vs 벼락거지 - 부의 전환기, 돈의 흐름을 잡아라!
매일경제 서울머니쇼 팀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벼락부자 vs 벼락거지라는 강렬한 제목을 접했을 때 꼭 읽어야만 하겠다는 결심이 들었다.

요즘에 너무나 자주 나오고 있는 벼락부자들에 대한 사연들, 벼락거지가 돼서 부부끼리 싸우거나

삶의 희망을 잃어버린 이야기들...

예전에는 중간만하면서 평범하게 사는 게 꿈이었다면 지금은 벼락거지에 빠지지 않고 유지를

하면서 사는 게 소망이 될 정도로 경제 혼돈 속에 빠져든 거 같다.

벼락부자 vs 벼락거지는 투자를 한 사람과 안 한 사람의 자산 격차가 날로 커지는

'K자형 양극화'가 극심해지는 상황에서 재테크의 정보 홍수 속에서 보석 같은 정보를

주식/ 부동산/ 금융상품/ 블록체인/ 금, 은 투자 등 모든 분야의 고수들의 정보를 담고 있다.

벼락부자 vs 벼락거지시장 전망/ 주식/ 부동산/ 절세/ 인생설계/ 이색 재테크

6파트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핵심적으로 다룬 내용들이 나와 있다.

그래서, 한 분야의 책만 읽었을 때 느껴지던 답답함이 느껴지지 않고, 모든 분야가 모여 있어서

나에게 맞는 재테크를 알아보기도 좋았다.

처음에는 보잘것없지만, 투자를 시작한 것과 시작하지 않는 것의

차이는 엄청나다.

:

경제독립운동이 필요한 시기다.

노동자로 머물지 말고 자본가가 되고 돈이 나를 위해 일하도록 만들기

위해서 주식에 투자해야 한다.

이런 삶의 패턴을 실천한다면 부자의 꿈이 없었어도 부자가 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 금융 문맹을 탈피하기 위해서 투자 공부를 하라고 맹렬히 주장하는 존 리 대표의

노동자로 머물지 말고 자본가가 되라는 글을 읽는 순간 가슴이 뛰는 걸 느꼈다.

앞, 뒤로도 금융전문가들의 주식과 채권에 투자해야 되는 이유와 방법 등이 나오는데

다행스럽게도 주알못인 나도 이해가 될 만큼 쉽게 쓰여 있었다.

부동산에는 가치 상승하는 곳 알아보기/ 재개발, 재건축/ 틈새 경매 공략법/ 절세 등의

내용이 나와있어서 대략적인 내용을 파악하기에 유익했다.

소비자였다면 이젠 생산자가 되었다.

쇼핑을 하는 대신 봄날에 입기 좋은 코디를 SNS에 올린다.

강남역 카페에 가는 대신에 강남역 카페를 추천하는 블로그 글을 쓴다.

퇴사 고민을 친구들과 나누는 대신에 퇴사 일기를 올리는 식이다.

내겐 당연한 이야기일 수 있지만, 내가 살아온 삶이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부동산, 주식으로 벼락부자가 되지 못해도 색다른 재테크 방법으로 파이어족이 될 수도 있고

여유로운 삶으로 성공한 글들을 보며 반성도 하게 되고 희망도 얻었다.

벼락부자 vs 벼락거지 속에는 우리에게 익숙하고 낯이 익은 분들이 다양한 파트에서

등장하여 더욱 재미있게 몰입하며 읽을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벼락부자 vs 벼락거지만으로 그 분야의 모든 내용을 알기는 어렵고, 우리가

재테크를 해야만 하는 이유와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는 쪽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재테크의 안내서 혹은 백과사전 같은 느낌!!

벼락부자 vs 벼락거지를 읽고 나에게 맞는 투자법을 공부하여 얼른 투자를 시작한다면

적어도 벼락거지와는 bye 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을 하며, 성인인 모든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자유롭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