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에 흔들리게 창문을 열어주세요 - 식물의 마음으로 읽어내는 관계의 소리
김지연 지음 / 북스고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이라는 마법 때문인지 유독 꽃, 식물, 자연이 나오는 책에 관심이 쏠린다.

바람에 흔들리게 창문을 열어주세요는 저자가 식물의 마음으로 인간관계의 내용을 풀어쓴 에세이라는 점에서 호기심이 생겨서 읽어보게 되었다.


도대체 식물과 인간관계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읽어볼수록 식물과 사람을 어쩜 이렇게 매력적으로 비교해서 써나갔을까 싶은 마음이 드는 봄날과 닮은 책이었다.

각자의 답으로 자라는 식물의 길을 따라가고 싶어졌습니다.

꽃과 나무가 길을 열어줬습니다.

꽃과 나무가 살아가는 모습에서

관계의

새로운 길을 찾아 나섰습니다.

바람에 흔들리게 창문을 열어주세요 작가 프롤로그中

장미의 가시는 자신을 꺾으려는 동물이나 사람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줄기의 표피세포가

변해서 끝이 날카로운 구조로 변한 것이라고 한다.

저자는 사람도 장미처럼 부적적할 인내심으로 내 안의 화를 쌓아서 가시를 만들면,

그 가시 때문에 나를 방어만 하는 것이 아니라 좋아하는 사람도 찌를 수가 있다고 했다.

그렇게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참고 인내하지 말고 가시가 생기기 전에 최소한의 반격을 하면서 살아야 화병으로 인한 가시가 생기지 않는다고 말한다.


'참는 게 이기는 거지' '말하면 불편해지니 내가 참자'이런 교육을 수십 년간 주입식으로 받고 자란 나는 참고 참다 어느 날 화병이 가시가 되어 상대방을 쑥대밭이 되게 찔러버린 적이 있었다.

돌이켜보면 내가 힘들고 불쾌함을 표현했다면 그런 상황까지 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데 일을

크게 만들었을 수도 있다.

너무 억울해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좀 미안해하며 사는 게 나아요.

다육이는 건조한 지역에서 살아남기 위해 줄기나 잎에 물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물은 조금, 햇볕은 많이 제공해 주는 게 좋은 식물이라고 한다.

사춘기 자녀가 다육이라면 물은 '침범하는 사랑', 햇볕은 '믿고 지켜보는 사랑'인데 부모가

반대로 물은 많이 햇볕은 조금 준다면 다육이의 뿌리는 흔들흔들 썩어갈 것이다.

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나를 찾는 성찰'에 빠진 큰아이와의 다툼이 생길 때면 '믿자, 밀어줘야지'를 마음속으로 되뇌면서도 불안하고 걱정되는 마음을 은연중에 표현하고는 했다.

바람에 흔들리게 창문을 열어주세요의 김지연 작가님의 에세이 한 장 한 장을 읽을 때마다 모든 관계에 대한 내 마음을 들여다보게 되었다.

엄마가 아이 손을 놓고

아이를 믿고 지켜보는 시간이 쌓이면서

엄마는 엄마대로

아이는 아이대로

서로가 서로의 덩굴나무가 아닌

각자 우뚝 솟은 소나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에 흔들리게 창문을 열어주세요를 읽고 나니 내가 좋아하는 식물은 어떤 점이 나와 닮았을까?

내 인생의 모습을 담은 식물은 어떤 걸까? 와 같은 궁금증이 생겼다.


어른이 되어서도 나이가 들어서도 참 힘들고 어려운 관계라는 내용을

이렇게 따듯하고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다니...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서 얼굴에 미소가 피어오르는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서평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