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그릇 - 돈을 다루는 능력을 키우는 법
이즈미 마사토 지음, 김윤수 옮김 / 다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 주변에는 재테크, 경제경영도서가 무수히 많다.

그 도서들 사이에서 '부자의 그릇'은 국내 출간 이후 꼭 읽어야 할 최고의 '부자학 입문서'에 꼽힌다기에 궁금해서 읽어 보게 되었다.                          

                                                            

책의 몇 장을 읽어내려가던 나는 당황을 했다.

내가 경제도서를 맞게 고른 건가? 제목만 같은 소설을 골랐나?

책의 에필로그를 훑어보고는 이유를 알게 되었다.

다른 경제도서와 다르게 '부자의 그릇'은 저자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누구나 읽기 쉽도록 소설 형식으로 써 내려갔기 때문이다.

소설 형식의 구성으로 읽기가 편해서 짧은 시간 내에 몰입도 있게 읽을 수 있었다.


가진 거라곤 3억 원의 빚밖에 없는 남자는 백화점의 간이 휴게소에서 매일을 후회와 고민의 시간으로 보낸다.

어느 오후에 음료수를 먹기 위해 주머니 속의 동전을 찾았지만 100원이 부족해서 먹을 수 없는 자신의 처지를 깨닫고는 크게 낙담할 때, 선뜻 100원을 빌려주는 노신사를 만나게 된다.

이야기는 남자와 노신사가 100원을 빌려주는 채무관계로 만나게 되면서, 남자의 사업 실패 이야기에 노신사가 자연스럽게 돈의 본질을 섞어서 '돈'이라는 존재를 알려주며 깨우침을 주는 하룻밤의 이야기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사람마다 다룰 수 있는 돈의 크기가 다르다는 내용이었다.

돈이란 그만한 그릇을 가진 사람에게 모이는데, 10억 원의 그릇을 가진 사람에게는 10억 원,

1억 원을 가진 사람에게는 1억 원이 모이며, 자신의 크기보다 큰돈이 생긴다면 돈을 다루지 못하고 지배당하기 때문에 그릇에서 돈이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우리가 뉴스에서 흔히 듣는 복권 당첨자가 몇 년 후에 신용불량자로 산다는 내용들이 돈을 다루지 못해서 생긴 일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부자가 되고 싶다면 돈을 담을 수 있는 자신의 그릇을 먼저 만들어야 된다는 걸 깨달았다.

각자 부자의 그릇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공통적인 것은 단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많은 시간의 투자와 경험에

의해 진정한 부자의 그릇이 완성된다는 점이다.

부자의 그릇을 읽으며 무엇을 하든 당장 눈앞의 결과에 급급하지 말고 긴 안목의 미래를

내다보도록 돈을 공부하고, 실행을 통한 경험만큼 좋은 그릇 만들기는 없다는 걸 느꼈다.

이 책은 다산북스에서 제공받아 솔직하게 서평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