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이화
조두진 지음 / 예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창 오기와라 히로시의 책에 꽂혀(?)살았던 나로서는 이제 슬슬 질려가고 있었다.(몹쓸 끈기)  한국 소설에 힐끗 힐끗 눈길을 주기 시작했다. 기말고사가 공포스럽게 곁으로 다가오고 있었던 시점인지라, 이제 책 읽기는 그만 중단하고 공부를 해야겠다 마음먹고!!! 마지막으로 딱 한권만!! 이라는 심정으로 집었던 책이 바로 이 책 유이화다. 책을 고르는 과정은 너무 힘들다. 누군가가 재미있다 라고 추천해주지 않는이상 결국 고르는 책은 그날 느낌에 따라서다.


책 표지만 봐서는 처량한 한 여자의 사랑 이야기를 그릴 것 같았는데, 이 책 그렇게 봤다가는 눈물콧물 쏙 뺀다. 사랑 이야기보다는 조선의 이야기이며 그 시절에 살아갔던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리고 그 사람들 속에 유이화라는 여자가 존재한다.

조국 조선을 위해 처와 자식을 버린 안철영.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조선으로 돌아가길 거부한 유이화.
그리고 영원히 함께 할거라고 믿었던 부부의 연.

시절은 바야흐로 임진왜란의 혼란기로 과거 공부를 하던 안철영은 조선이 없으면 자신도 없다는 충심으로 똘똘 뭉친 정말 조선 시대 선비였다. 현대 사회에서 이런 사람이 있었다면 분명히 융통성 없는 인간이라고 수근거렸을 법한 인물이다.

포로로 바다 건너 일본이라는 낯선 땅까지 끌려간 조선의 여인, 유이화는 온갖 고난과 수모를 다 겪으며 자신을 감싸안아 주는 마음 넓은 남자 히로시를 만난다. 그리고 일본에서 아시타(내일)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다.( 글 속 히로시의 한결같은 사랑에 완전 감동했던 한 여자!!!< 나나나나  )



그런데 내가 이 책으로 충격을 받았던 것은, 유이화의 애절한 사랑스토리보다 포로가 되서 일본으로 끌려가는 과정묘사였다.

흡사 일제강점기시대에 있었던 위안부들의 사진과 겹쳐 그려지면서 글을 읽으면서 내 손이 후들후들 떨릴 정도였다.

하지만 그 시절 그녀들은 어떠했을까. 글로 읽으면서 전해져 오는 불안감과 긴장감 그리고 수치심을 직접 겪었던 그녀들은 진정 어떻게 숨을 쉬며 살 수 있었을까. 생각만으로도 가슴이 답답해져 온다. 마침 나의 이런 생각에 답변이라도 해주듯이 유이화의 독백 구절이 눈에 띄었다. 배가 고파서 죽을 수 없었다는 유이화는 그 순간에는 정조있는 조선의 안주인도 아니었고 단지, 먹을 것을 얻기 위해 참고 인내하는 살아도 살아있지 않은 사람이었던 것이다.



 

"차라리 죽이십시오."
"당신은 조선인이오!"
"나는 어느 나라 사람도 아닙니다. 나는 이 두 아이의 어미입니다."
"닥치시오!" 
                                                                              ……    P 323

이것이 바로 다시 재회한 안철영과 유이화, 아니 아시타의 대화 내용이다. (어느 순간부터인지 모르겠으나 작가는 유이화라는 이름대신 그녀를 아시타라 설명하기 시작했다)

나는 개인적으로 작가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조선인이라며 설득하면서도 정작 자신은 사무라이 복을 입고 있는 안철영보다 조선인도 일본인도 아닌 두 아이의 어미라 말하는 유이화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아니 그녀의 손을 잡아주고 싶다.

괜히 가슴이 먹먹해지면서 우리의 역사가 얼마나 많은 고난과 역경을 겪었는지 느낄 수 있었던 다시는 생기지 않았으면 하는 그들의 이야기였다.




다시는 안철영과 유이화 같은 사람들이 안생기길…
부디 유이화가 행복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