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로벌 성장 기업의 법칙 - 세계 100대 기업을 통해 살펴보는 21세기형 경영 전략
나와 다카시 지음, 오세웅 옮김 / 스타리치북스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글로벌 성장기업의 법칙 -나와다카시 지음, 오세웅 옮김 - 스타리치북스
세게 100대 기업을 통해 살펴보는 21세기형 경영 전략
먼저 이 책이 세계 100대 기업을 어떻게 선정했는지 알아야 한다.
저자의 주관적인 관점이 들어갔을 수도 있지만 나름 100대 기업을 선정하는 원칙을 정한다.
그 원칙은 1.규제산업, 보호산업, 금융계 기업은 대상에서 제외
2. 2014년 시점에서 매출 10조 미만의 기업도 대상에서 제외
3. 매출성장률, 기업가치 성장률, 평균 이익률의 세가지 기준으로 평가해 득점 합계로 순위를 정함(득점의 평가는 차례대로 40%, 40%, 20%)
세계 100대 글로벌 성장 기업의 공통점은 모두 'G기업'이다.
G기업은 Global, Growth, Giants 혹은 Global, Growth, Goliath를 줄여서 부른다.
이 책에서는 G기업의 공통점을 LEAP라는 틀로 분석하고 있다.
L - 정적 특성 린 Lean, 동적 특성 지렛대 원리 Leverage -비지니스 모델에 관한 요소
E - 정적 특성 에지 Edge, 동적 특성 확장 Extension - 비지니스 모델의 배경이 되는 조직적인 힘 '코어컴퍼턴스'에 관한 요소
A - 정적 특성 집착력 Addictive, 동적 특성 적응력 Adaptive - 기업의 코어컴퍼턴스의 뿌리가 되는 것은 조직 고유의 기업'DNA'다
P - 정적 특성 대의 Purpose, 동적 특성 한 발 전진 Pivot - '무엇 때문에 사는가'라는 대의
세계 100대 기업에 들어가는 한국의 기업은 몇개나 될까?
삼성전자 24위, 현대중공업 32위, 현대자동차 52이다.
이중 삼성전자의 이야기가 책에 실려있다.
세계 100대 기업에 미국이 41개사, 일본이 10개사, 독일이 8개사, 영국 8개사, 프랑스 7개사, 스웨덴4개사, 멕시코3개사, 스위스3개사, 한국3개사, 벨기에 2개사, 덴마크 2개사 등이다.
선진국이라고 부르는 국가들이 세계 100대 기업에 많이 있다.
우리나라는 3개 밖에 없다는 것이 아쉬웠다.
그런데 이 책을 읽다보니 이 책을 쓴 이유가 명확했다. 바로 일본을 위해서였다.
글로벌 성장이라는 국면에서 일본 기업이 해외 기업에 크게 뒤떨어지는 상혹속에서 LEAP를 사용해 비약적으로 성장하기 바라는 마음으로 이책을 썼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유독 다른 기업을 살펴 일본기업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일본기업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이 많이 있다.
나는 이것을 한국기업에 대입하면 어떻까?라는 생각으로 읽어 보았다.
저자는 세계적인 컨설팅인 매킨지 출신이다. 그래서 분석하는데 뛰어나다.
그렇기에 세계적인 기업들을 잘 분석할수 있었다. 그리고 일본기업에 대해 잘 알고 있다. 일본기업에 대해서는 장점과 단점에 대해 실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나에게 그런 비판의 눈이 있다면 한국기업에 대해 분석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나는 책을 읽고 그것을 우리나라의 기업들의 상황에 비추어 볼 정도로 만족해 본다.
이 책을 읽으며 눈이 넓어졌다는 생각이 든다. 세계의 여러나라의 기업들, 성장하고 있는 기업들을 배울수 있는 기회였기 때문이다.
비록 생소한 단어와 용어 때문에 고개를 기웃기웃하며 읽었지만 나름 머리가 똑똑해 진것 같다는 착각에 빠지게 만들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