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정,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
이희근 지음 / 책밭(늘품플러스)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정, 한자로는 白丁이라고 표기한다. 조선시대 주로 도살업·유기제조업·육류판매업 등에 종사하던 천민을 지칭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이들 백정의 일부는 유목민적 생활의 연장으로서 유기 제조와 판매, 육류 판매 등의 상업에 종사해 그들이 제조한 유기를 공납하기도 하였다. 또 그들은 수렵·목축 등의 생활에서 터득한 짐승 도살의 기술을 살려 우마(牛馬)의 도살업에도 진출하였다.]

기억을 더듬어 봐도 수업 시간에 '백정'에 대해 배운 것은 천한 일을 하는 천민들이었다는 개념뿐이었다.

그 천민의 삶이란 것이 딱히 확 다가오는 것도 아니었다.


어림풋이 느낀 것은 고우영 씨의 만화 '임꺽정'을 통해서였다.

속담속에서 내려오던 '개백정만도 못한 '이라는 멸시의 욕도 깊이 있는 인상으로 남아있다.

덕분에 '백정'이라는 제목은 호기심을 확 끌기에 충분했고 흥분해서 읽었다.

 

조선 왕조에서는 그래도 꾸준히 오랜기간 일반 백성들과 유화 시키려 노력하며 '제민' 정책을 펼쳐왔고

멸시를 당했을지언정 일반 백성이었다.

조선왕조에서 그리 노력했던 이유는 한 고을의 4/1 정도나 되었다는 그 숫자상 무시하기 어려웠던 탓이 아니었나 싶다.

그 만큼 백정들의 숫자는 무시할 수 없을 정도였고 그 종류도 다양했다.

이 책에서 언급되는 여러종류의 백정들의 이름을 다 기억하기 어려울 정도다.

대체적으로 고려때 부터 넘어온 몽고, 거란족등 육식을 하는 북방민족의 이민자들이었다.

고려나 조선은 이들을 융화하고 포용하려 노력했지만 이민족이 융합된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았다.

그래서 결국 가장 어렵고 거친 일들을 하며 쉽게 범법자가 되었다.

또한, 권력자들이 쉽게 소유물로 삼아 노비 부리듯 부리기도 했나 보다.

비록, 관혼상제의 격식을 다 차리지 못 했고 이동의 자유가 없었지만.

그래도 비록 천민이지만 돈 벌이도 괜찮았고 노비들 보다 삶이 나았지 않았나 라는 짐작을 한다.

 

백정들의 여러 종류와 그들의 규모와 생업에 대해 덕분에 대충이라도 짐작을 할 수 있었지만.

무언가 약간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옷차림을 했다거나 어떠한 집에서 살았다거나 어떠한 무기를 사용했다거나

한 마을에서 일반 백성들과 같이 어울러 살았는지 아니면, 아예 마을을 달리해 씨족 마을을 형성해 살았는지.

그들은 족보도 없었는데 어떤 성을 사용해 살았는지. 

그들이 도축업으로 축척한 부는 어느 정도였는지.

그들 자식들의 교육과 전쟁시가 아닌 평상시에 어느 위치까지 올라갈 수 있었는지 자세한 밑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

남아 있는 기록이 부족해서 일 것이다.

 

이 책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저자가 상당히 감정적인 토로를 많이 하신다는 점이다.

[조선시대는 유학儒學이 사람들의 머릿속을 혹독하게 지배하던 시절이었다. 특히 명분과 질서를 내세우며 엄격한 혈통과 위계 중심의 종법, 나아가 가을날 서릿발같이 매서운 적서의 관념이 극단적으로 횡행해 심지어는 광기로까지 번지기도 했던 때였다. - 25p]

 

[국왕이 양반가의 수색을 거부한 것으로 보아, 그들에게 있어서 한낱 밀도살사업 정도는 처벌하지 않아도 좋다는 시대정신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밀도살의 주체가 백정이 아닌 양반의 경우라면 말이다.

백정이라면 심한 경우 사형임에도 불구하고 양반에게는 사소한 범죄에 불과해 수사조차 하지 않는 특권이 부여된 것이다. 돈에 눈이 어두운 사대부들이 도성 한복판에서 공공연히 불법사업을 자행할 수 있었던 것은 양반이라는 지배계층의 이러한 특권이 있었기 때문이리라.  -221p]

 

이책에서도 백정들이 도축업으로 부를 축척하기 시작했고 그러면서 인구수도 늘어났다고 되어 있음에도

내내 백정들이 얼마나 천시 받았는지를 감정적으로 토로되고 있다.

더구나 조선의 '광기' 라는 극단적인 표현까지 나오고 있다.

 

백정은 고려시대에서 부터 조선때 까지 가장 멸시를 당했던 것 같은데 그 이유는 천한 일을 해서였다고 지레짐작을 했었다.

그렇게나 모멸적인 욕설을 한다는 것은 이방인 이라는 정치적인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왜 그런 멸시를 당하면서까지 조선에 정착해야 했을지 의문이다.

그들은 그래도 나름대로 조선에서 존재감을 가지고 있었지 않았나 짐작된다.

도축업을 시작으로 자객이나 어두운 일들을 비밀이 해치우는 해결사 역할들도 많이 하는 어둠의 세력이 아니였나 짐작이 된다.


이 책은 윌리엄 프랭클린 샌즈가 쓴 "극동회상사기"를 참조로 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10년간 조선에서 외교활동을 하면서 많은 조언을 했던 이라고 한다.

 이분에게 극히 흥미가 간다.

 

오류:

조준이 지목한 것처럼, 육식 보급의 주역은 바로 조선시대에 와서 백정으로 통칭되는 달단과 화적이었다.

-> 조준이 지목한 것처럼, 육식 보급의 우역은 바로 조선시대에 와서 백정으로 통칭되는 달단과 화척이었다. (194p 8번째 줄)

 

우습게보였던 조선의 사냥꾼들이었으리라.

-> 우습게 보였던 조선의 사냥꾼들이었으리라. (30p 2째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동진 2013-11-15 19: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책은 김동진의 일련의 연구논문 및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에 공모한 2010 우수저작물저작 및 출판지원사업 저작부문에 신청했던 원고를 탈취하여 작성한 불법적인 저작물입니다.

이에 김동진은 원저작자로서 우선 관련 사태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형사고발과 저작권관련 민형사 소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판매를 중단하고, 독자들께서도 범죄행위를 분명히 인지하시고, 더 이상 저작권 탈취라는 범죄 행위를 도와주지 마시기 바랍니다.



원저작자

김동진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