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시일反 - 10인의 만화가가 꿈꾸는 차별 없는 세상 창비 인권만화 시리즈
박재동 외 지음 / 창비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은 것이 모여 큰 것이 된다는 의미의 십시일반... 처음에 이 책을 고르게 된 것은 제목에서 느껴지는 멋이었다. 서로 기쁨을 나누면 그 기쁨도 두배가 되고 슬픔을 나누면 그 슬픔도 두배가 되듯이 지금 살고 있는 이 사회에서 나는 이웃들에게 관심을 가지 않고 이기주의적인 삶을 살아왔다. 책장을 넘기자 마자 눈에 뜨는 것은 한국의 대표적인 만화가 10인이 국가인권위원회에 모여 직접 취재하고 자료를 모아 글을 썼다는 것이었다. 바쁘다는 이유로... 또 힘들다는 이유로... 나는 어쩌면 정상인으로 살면서도 눈에는 색안경을 쓰고 귀에는 마스크를 쓰면서 우리 사회의 소외된 계층을 외면하려고 했을지도 모른다. 백일민족, 단일민족이라는 단어가 좋을 때도 있다. 우리는 한민족의 피가 흐르고 또 같은 언어를 쓰기 때문에, 어떤 민족보다도 그 공동체가 뛰어나다. 하지만 이것이 문제일 때도 있다. 나와 피가 다르거나 나와 생각이 다르면 배척하고 무시하는 경향이 뛰어나다. 일하려 온 외국인 노동자들, 그리고 실력은 뛰어나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한쪽 팔을 못쓰거나 발음이 정확하지 않는 장애인, 소수의 동성애자,  가난한 삶을 사는 우리 이웃들까지 이 책에는 대접받지 못하는 우리들의 소수인의 고달픈 삶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역시 그동안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했다. 뉴스를 보면 장애인시설이 자기 동네에 들어오면 땅값이 떨어진다고 데모하는 사람들의 기사를 보았다. 속으로는 "과연 저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하고 말했지만, 정작 길에서 장애인이 도움을 청하면 외면하고 내 길을 가버렸다. 인간의 이중성은 누구에게나 있는 모양이다. 얼마전 시사매거진 2580를 봤는데 거기에는 비정규직으로 일하다 쫓겨난 한 주부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근무시간을 넘어가면서 야근을 했지만 특근도 받지 못하고, 또 정규직의 10분의 1도 안되는 월급을 받지만, 그것역시 제대로 받지 못하다가 출근이 늦는다는 석연치 않는 이유로 해고당한 주부들의 눈물거린 시위이야기가 내 눈물을 적셨다. 과연 이땅에 사는 대한민국 특권층과 또 우리국민들은 왜 그들의 하소연에 귀을 기울이지 않는 것일까? 장애인들은 말한다. "정상인도 언제 사고 당할지 모른다고. 우리는 모두 장애인이라고." 몸으로 불편한 그들보다 마음이 닫힌 우리들이 더 큰 장애를 가지고 있다. 실화극장 '죄와 벌'에서 다룬 인권운동가 최옥란님의 삶을 책에서 보니 마음이 더 뭉클하다. 남편에게 아이를 빼앗기고 일을 한다는 이유로 기초보장도 받지 못해 수급권에서 제외되고 아들과 함께 사는 소박한 꿈마저 법은 약자의 편에 서서 정의를 실현한다고 하지만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아 스스로 세상을 떠난 최옥란님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얼굴색이 달라도 백인이나 미국인이면 반기고 흑인이나 우리보다 가난한 동남아시아에서 온 노동자들을 무시하는 것도 여전하다. 한가지 잊고 있는 것이 있다. 60-70년대 우리의 어머니들 역시 돈을 벌기 위해 독일에 간호사로 갔고, 또 사우디에 근로자로 갔다. 거기에서도 말 못할 편견과 무시를 받으며 이겨낸 일화는 유명하다. 그러나 언제부터 우리가 잘 살았는지 이제 눈앞에는 돈과 명예밖에 다들 없는 것 같다.  우리가 피하고 있는 3D업종을 그들이 대신하는 것이다. 12시간이나 넘게 부려먹고 돈은 조금 주면서 그 돈 역시 체불하고 주지 않는 악덕기업주들이 아직도 큰소리를 치며 사는 이 세상에 있는 것이 나는 부끄럽다.  느낌표에서 가족들을 보고 싶어 일하는 외국인노동자들을 만나게 해주는 코너를 보고 눈물 흘린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제작진에게 감사하다고 고개를 몇번이나 숙여 인사하는 그들을 왜 우리가 무시해야 하는가? 무시할 정도로 우리는 자격을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 볼 문제다. 커밍아웃이나 동성애자라고 밝히면 가족들은 창피하다고 등을 돌리고 사회는 그들을 매도시켜 우리나라에 발을 못 붙히게 했다. 세상이 변해서 방송에서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아직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눈치를 보며 숨어서 지낸다.

명절이 되면 떡을 돌리고 음식을 나눠 먹는 우리나라사람의 가장 좋은 점이 바로 정이다. 정이 있어서 한국이 좋다는 사람들도 많고 외국인들 역시 한국에 정착하고 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이 정이 무너지고 있다. 경계가 모호하다며 이웃집에 담을 쌓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개 소리가 시끄럽다고 말하는 사람을 죽이는 세상이다.  장애인, 외국인노동자, 동성애자, 가난한 여성 등 소수의 차별받는 사람은 우리가 안고 가야 할 커다란 숙제다. 모두가 잘사는 평등한 사회를 만들려면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한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역시 어떤 굴레에 갇혀서 그들을 바라봤다. 속으로는 나는 틀려라고 몇번이나 말했지만, 그들을 만나서는 피하거나 바쁘다고 외면했다. 마음에 쌓인 굴레를 벗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나보다는 남을 생각하고 저보다는 정을 생각하는 그런 사회가 바로 10인이 꿈꾸는 십시일반의 세상이 아닐까?

행복을 만드는 것도 자신이고 불행을 만드는 것도 자신이다. 오늘 아침뉴스에서 백혈병을 앓고 있는 은혜의 사연을 보았다. 자신도 장애를 가지면서 장애로 태어나 거기에다 병까지 앓고 있는 한 소녀를 지극정성으로 간호하고 낫게 기도해 달라는 원장선생님의 눈물은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말해주고 있다. 돈이 없어서 여러번 쫓겨날 형편이었지만 그래도 많은 사람들의 도움으로 유지하고 여기까지 왔다고 했다. 얼마전에는 두 팔이 없지만 해맑게 웃고 있는 태호의 이야기가 나에게 커다란 감동으로 다가왔다. 모두 그렇게 열심히 살고 있는데 앞만 바라보고 산 우리들.....  잠시 쉬어 뒤를 돌아보는 여유를 가졌으면 좋겠다. 아직도 편견에 사로잡혀 나만 알고 또 특권의식에 빠져 사는 사람들에게 나는 이 책을 권유한다.

책장을 덮으면서 느낀 점은 그동안 바로 나에게 문제가 많았다는 점이다. 아무런 이유도 없이 불평만 하고 불만만 늘어놓았던 나 자신이 부끄럽고 초라해졌다. 21세기로 가는 세계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는 이런 소수인권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보살펴야 갈 수 있다.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은 우리나라가 하루빨리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님비현상부터 자기중심주의까지~~~ 이제는 생각을 바꿔보자.  하루에 한번씩 우리의 이웃을 생각하고 주말에 놀러가는 대신 외국인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듣거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이 모여사는 곳에 들어가 봉사를 해보자. 중학교 때 학교에서 불우이웃을 돕기 위해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 사는 집에 봉사를 갔다. 서먹서먹했지만, 정과 사랑이 굶주린 아이들이 내게 다가왔는데, 나는 그만 너무 무섭고 낯설어 피하려고 했다. 이제 이 책을 읽고나니 잘 할 것만 같은데 이번 주말에는 가을 단풍구경도 좋지만 소수로 살아가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러 가야겠다. 낙엽이 쌓이고 쌓여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고 나무를 성장시키는데 좋은 거름이 되듯 그들의 이야기가 쌓이고 쌓인다면 십시일반의 세상이 오지 않을까 하는 나의 작은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