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 숏컷의 기술 - 예민해서 고생해온 정신과의사가 터득한 나를 괴롭히지 않는 생각법
니시와키 슌지 지음, 박재영 옮김 / 더퀘스트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줄 감상

     “예민한 사람 다 드루와 드루와.”


👍🏻 이런 분에게 추천합니다. 


✔️완벽주의자

✔️예민하고 생각이 많은 사람

✔️인간관계에 고민이 있는 사람

✔️나만 부족한 것처럼 느껴지는 사람

✔️눈치가 빨라 알고 싶지 않은 것도 읽히는 사람


간결한 제목이 눈에 띄어서, 

그 제목을 너무 잘 표현한 표지 디자인이라서

지나칠 수 없었다.

꼭 읽어보고 싶었는데 서평단으로 당첨이 되었고

생일날 완독한 인연의 책이 되었다.

 

정신과의사인 저자가 본인의 경험과 만났던 환자를 바탕으로 예민한 나를 지키기 위해 어떤 마음 가짐과 태도가 필요한지 구체적 안내를 해준다. 실전에 쓸 수 있는 방법들로 바로 적용하며 훈련할 수 있다.


저자의 말처럼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을 존중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몰라서 행하지 못한 것은 아닐 것이다. 

좋은 글을 통해 반복적으로 되뇌며 연습을 해야 한다. 

스몰 스텝으로 하나 둘 나아가다보면 어느덧 나를 존중하는 나를 만날 수 있지 않을까.


”다양한 노하우가 나왔지만

기본은 똑같다는 사실을 아셨을 겁니다.


기대하지 말 것

완벽주의에 사로잡히지 말 것

무슨 일을 하더라도 스몰 스텝으로

무리하지 않고 해나갈 것

그리고 다른 사람의 자기중요감을 충족시킬 것


모두 최종적인 지향점은 단 하나 입니다. 

자신을 소중한 존재로 여기며 살아가는 일입니다.”

⠀⠀⠀⠀⠀⠀ 


#고민숏컷의기술 #니시와키슌지 #더퀘스트 #길벗 

#북스타그램 #융스북

#서평단

⠀⠀⠀⠀⠀⠀⠀ 

⠀⠀⠀⠀⠀⠀⠀ 

22p. 돈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존재이며 있으면 선택지가 늘어나지만 인생을 행복하게 만드는 ’결정타‘라고는 할 수 없다. 



26p. 기대는 당연하다는 듯이 마음에 숨어 산다. 의식하지 못한 채 계속 기대를 품는 일은 맨주먹으로 전쟁터에 돌진하는 것과 다름없다. 상처받기 쉬운 사람일수록 ’기대하지 않는다‘라는 방탄복을 장착해야 한다. 


28p. 실제로 당신을 방어해줄 수단은 비관도 낙관도 아닌 무난(Flat)한 태도다. 다시 말해 ’틀림없이 잘 될 거야‘나 ’결코 잘 될 리 없다‘도 아니고 ’글쎄, 잘 될까?‘ 정도의 마음 상태다.


29p. ’기대하지 않기‘를 연습하는 법은 아주 간단하다. 어떤 일에 실망했을 때 ’아, 기대했네‘라고 생각하라. 그뿐이다. 되풀이해서 이렇게 의식하다 보면 어느 순간 요령이 붙는다. 


113p. 하늘이 흐리면 나를 조금 더 따뜻하게 돌볼 것


120p. 사람은 다면체다. ‘예쁜 사람’ ‘똑똑한 사람’이라는 일면뿐인 사람은 아무도 없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면이 조합되어 그 사람의 인격을 형성한다. 우열을 느끼고 침울해지는 것은 자신이라는 다면체와 상대방이라는 다면체의 ‘한 면’만 일부러 꺼내서 비교하는 매우 편향적인 행동이다. 그러므로 상대방을 치우쳐 바라보기보단 상대방을 ‘그저 아는’편이 훨씬 생산적이다. 그 사람에게는 아직 숨은 면이 수두룩하다. 그것을 찾아서 새로운 일면을 발견해보자. 그러고 나서는 일일이 ’판단‘하지 말고 즉 자신과의 우열을 생각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자. 

- 여러 겹의 다면체에서 한 면만으로 질투를 느낄 필요가 없다. 


233p. 당신도 ‘바로 할 수 있고, 하고 싶은 일’을 해보자. 한번 하고 나서 의욕이 고개를 들면 그다음에는 ‘바로 할 수는 없지만, 하고 싶은 일’도 해보라. 성공 체험을 수집하고 에너지를 모아서 자신을 해방시켜주자.‘ 이렇게 저렇게 해야 하는데 못하고 있는 나’로 고민하느라 시간이 흘러가는 것보다 훨씬 더 즐거울 것 같지 않은가?


287p. 자신을 아끼는 인생의 궁극적인 답이라고 느꼈습니다. 지금의 아무렇지 않은 매일 그대로가 행복인 인생. 평화롭고 충만한 최고의 인생입니다.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마지막 시간엔 어떤 나날을 보내고 싶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