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털 같은 나날
류진운 지음, 김영철 옮김 / 소나무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과의 교류가 보다 심화되면서, 정치경제 분야는 물론이고 문화 분야의 아이템들도 국내로 속속 수입이 되고 있다. 그 동안의 교류부진으로 인해 국내에는 미처 알려지지 않았던 중국 예술들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점차 늘어나게 된 것이다. <허삼관 매혈기>로 널리 알려진 위화의 뒤를 이어, 이번엔 중국의 국민작가라 일컬어지는 류진운의 작품집 <닭털 같은 나날>이 국내에 소개되었다.

"대단한 작가다! 문학이 ‘살아가는 이야기’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해준다.“ - 황석영
류진운, 20세기의 20대 중국 작가에 선정 - <중국평론전선>, 2000년
<닭털같은 나날>, 20세기 세계 100대 명작에 선정 - <중국도서일보>, 2000년
<닭털같은 나날>, 백화상白花賞 수상 - <중국소설월보>, 1991년
<1942년을 돌아보다>, 중화문학선간상中華文學選刊賞 수상 - <중국소설월보>, 1993년

류진운에게 쏟아진 찬사들이다. 중국에서는 국민작가로 대표되는 모양이던데, 중국 현대문학의 수입이 최근에서야 이루어지는 바람에 그의 이름 마저도 생소하기만 했었다. 중국문화에 비교적 정통한 지인의 얘기를 미루어, 그가 자국 내에서 가지는 인지도는, 대략 국내에서 황석영이 가지는 그것에 버금갈만한 수준인 듯했다. 그러니, 황석영조차도 저렇게 극찬을 했을테지. 비록 나에게는 생소했지만.

인지도도 인지도지만 실제로 글의 느낌도 얼마간은 황석영과 그것과 비슷하다. 삶을 제법 깊고 육중하게 훑어내리면서도, 우회하기보다는 정공법을 써서 그 중심을 꿰뚫어 버린다. 많은 얘기들이 생략되어 있으나 행간 읽기를 독자의 몫으로 돌린 것일 뿐, 삶이 지고 있는 고락을 적나라하게 해부한다. 나른하기만 한 일상, 살려고 아무리 발버둥 쳐도 서푼어치 이상은 될 수 없는 인생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글이 가지고 있는 무게를 그대로 방치하지 않는다. 나른하고도 허망하기만 한 인생의 국면들을 블랙 코미디적 화법으로 풍자하는데, 이 지점에서 '인생이라는 이름의 전차'가 '일상의 우스꽝스러운 용달차'로 변이된다. '장엄'이 '경망'으로, '상흔'이 '딱쟁이'로 희석되는 순간이다. 수십 년을 지켜왔던 자존심의 허리춤에 닭장사들이나 차고 다니는 전대가 둘러쳐지는 것도 이에 다름없다.

중국의 민생을 살펴보는 일도 재미있다. 위화의 작품들처럼 쉽게 읽히지는 않지만, 인접국가이기는 해도 고유의 문화가 다소 달라 약간은 생소하기도 하지만, 서민의 마음은 서민이 잘 아는 법. 그들의 마음을 읽어내는 재미가 쏠쏠하다. 어쩌면 저자는 등장인물들의 인생을 고스란히 살아봤는지도 모르겠다. 그러지 않고서야 어떻게 저리도 적나라하게 휘갈겨 낼 수가 있었겠는가.

세 편의 중편소설이 한 권을 이룬다. 매일 반복되는 서민의 무료한 일상을 담은 <닭털 같은 나날, 個人>, 근엄한 지위에 있는 자들의 졸렬한 암투를 다룬 <관리들 만세, 組織>, 대기근이 일었던 1942년의 흉흉한 풍경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풀어 낸 <1942년을 돌아보다, 歷史>, 이렇게 세 편의 작품들이 일상을 얘기한다. 하루하루가 허허롭다. 권력도 허허롭다. 그리고 생사(生死)도 허허롭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