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미루지 않기를 바람 - 지금부터 행복해지는 우울 극복 프로젝트
정보연 지음 / 푸른숲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들이쉬고, 내시고

깊이, 천천히

고요히, 편한히

웃고 ,놓아버린다

지금 이 순간

아름다운 순간

-틱닛한. <힘>에서

저자는 13년간 우을증과 씨름해온 평범한 직장인이다. 본인 스스로 우울증에 대해 완치가 되었다고 생각은 하지 않고 단지 괜찮은 시기와 힘든 시기를 번갈아 겪고 있고, 단지 예전에 비해 행복해지려는 의지와 본인 삶에 대한 목표가 다소 선명해졌다는 변화가 있다고 한다.

온라인커뮤티니 '듀나게시판'에 'being'이라는 필명으로 8개월간 올린 기록이라고 한다.

마른 체질에 피부가 웜 톤으로 하얀편이고 지적 호기심이 강하며 체계적, 분석적이지 못하고 타인의 감정이나 사고에 민감한 소양을 타고난 것, 우울증에 걸리기 쉬운 신체와 뇌를 타고났다고 한다.

나또한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고 하루에도 열두번도 넘게 욱한다. 이런 성격을 종합해보면 우울증이 있는 것 같기도 하면서 직업 때문이야라는 생각으로 스스로 나를 놓아버릴때가 있다. 분명 이러한 부분이 심해지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전문가를 찾아갈 생각을 하지 않았다.

저자는 우울증이 생겼을때 전문가를 찾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첫째. 당신은 정신질병에 걸렸습니다.

둘째, 우울증은 정신질병 중 치료 가능성 혹은 난이도가 중간쯤 됩니다.

셋째, 우울증의 뇌의 물리적 문제가 일차적 원인인 질병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 듯합니다.

무조건 아무 병원이나 찾아가기보다는 주변의 평판이나 관련 정보를 최대한 찾아보고, 믿을 만한 의사, 심리치료사라는 판단이 드는 전문가가 있는 곳을 가야한다. 상태가 아주 나빠졌을 때 가서 약만 타다 먹는 식으로 병원을 이용해도 되겠지만, 우울증의 정도가 심하고 심리적 문제의 뿌리가 깊은 경우 제대로 된 치료를 위해서는 장기간의 투약과 심리치료를 필요할 수도 있다. 그동안 의사, 심리학자, 상담사는 당신의 멘토이자 친구가 되어줄 수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 당신이 그 전문가를 좋아하고 믿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자기 사랑의 심리학> 책에 보면

1) 스스로에게 "난 네가 좋아"라고 말하기

2) 부정적인 자신의 모습과 화해하기

3) 자신에게 (사랑을 듬뿍 담아) 연애편지 쓰기

4) 날마다 스스로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구체적으로 반복하기

5) 타인의 긍정적인 면 발견하기

6) 조금만 나아져도 스스로를 칭찬해주기

7) 타인의 칭찬을 흔쾌히 받아들이기

8) 나의 긍정적인 행동들을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플러스 점수 수첩 마련하기

9) "나는~ 을 받을 가치가 있는 사람이다!"라고 외치며, 나의 권리를 인정하기

10) 나의 장점을 구체적으로 알기

11) "나는 할 수 있다"고 지속적으로 외치기

저자는 "난 네가 좋아"를 외치는게 힘들었다고 하는데 나도 똑같이 따라해보았다. 거울을 보며 "난 네가 좋아"

근데 정말로 나도 내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았던 것인지 이 말을 하는게 왜 이렇게 쑥쓰럽고 하기가 그런지 몸둘바를 모르겠다.

이 책은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우울증을 극복해가는 프로젝트이다.

그러나 누구나 우울증이 올 수 있고 심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또한 반복된 일상속에 심해지지 않으리라 장담할 수가 없다.

모든 사람들을 대변헤 우울증에 대해서 자각할 수 있고 미리 처방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고마운 책이였다.

지금 행복하지 않고 너무 힘들다 생각하면서 스스로를 견디기 힘들어하는 사람에게 처방해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