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 - 나는 책이 아닌 책 쓰기로 인생을 바꿨다
이혁백 지음 / 치읓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작가의 꿈을 가지고 있지만 막상 책을 어떻게 써야할지 막막해서 좀더 많은 책을 접하고 스스로는 다지는 시간을 가지고 책을 써봐야지라는 생각을 몇년째 품고 있었던 것 같다. 어느 순간에는 책 쓰는 법에 대한 강의를 다녀야하나라는 생각도 했지만 막상 상황이 따라주지 않아서 꾸준한 글쓰기의 중점을 둬야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을 무렵 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이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다.

저자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그런 작가들의 분류와 다르게 공무원 생활을 했었고 11년간 공직생활을 접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제 2의 인생을 살고 있다고 하는데 저자의 인생의 대해서 멋지다는 생각이 들었다. 글을 쓴다는 것은 그 흐름의 맞춰서 목차와 자신이 들려주고 싶은 얘기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하고 탈고작업을 마치며 책한권을 내게 되는 것인데 솔직히 하루에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서 책을 쓰라고 하는 그의 말의 결국 본인 진정으로 원하는것이 있다면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는 말이 맞는 것 같다.

아직 나에게는 간절함이 있지 않아서인가라는 생각으로 자책을 하게 되기도 했다. 1시간을 투자하면 좋지만 그게 되지 않는다면 10분이나 30분 정도 새벽시간이나 점심시간을 이용하라고 한다. 새벽에 일어나서 출근하기 바쁘고 점심때는 피곤해서 자기 바쁘고 그런 삶을 살다보니 시간의 분배의 있어서 아직은 핑계가 더 많은 삶을 살지 않았나 싶다. 습관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하지만 내가 4일 동안 책을 접하지 않았을때 책이 너무 읽고 싶다는 강렬한 욕구가 생겼다는 건 결국 책을 하루에 한번도 접하지 않은 내 삶에서 서평을 쓰게 된 나의 습관을 바꿔준 하나의 원동력이 된 셈이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잘쓰던 잘쓰지 못하던 습관을 바꿔서 조금씩 글을 단 한줄이라도 좋으니 써보라는 권유이다. 소재거리를 찾아서 어떤 분야로 책을 쓸 건지도 정해야 한다고 한다. 무작정 쓰는 글을 한권으로 묶어서 이어나가기는 어려우니 말이다.

자신이 직면한 상황을 글로 표현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자신에게 잔인할 정도로 솔직하게 현재 상황을 글로 써 내려가다 보면, 비로소 문제점을 찾고 발전할 수 있는 미래의 방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자기계발서를 보더라도 성공한 사람들이 자신이 일을 한 조직내에서의 자신의 역량발휘와 자신의 경험을 담아내지 않았는가? 그러니 진전 삶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가치 있는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책 쓰기를 우선순위에 둬보라고 한다. 어느새 내 삶이 달라져 있을 거라고 얘기해준다.


"큰 꿈을 가져야 그 꿈에 맞게 우리가 성장할 수 있다." -조지 비셋


책을 쓰게끔 스스로를 채찍질하게 하고 책을 쓰는 법에 대해서 알려주고 그것을 토대로 어떻게 삶의 영향을 끼칠지에 대해서 이 책에서 솔직담백하게 얘기해주고 싶다.

저자는 지금도 하루에 2~3권을 책을 산다고 한다. 오히려 책 사는데 비용이 많이 투자되지만 결국 다양한 책을 토대로 읽고 어떤 방향성으로 써내려 갔는지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표본이 된다고 한다. 용기와 끈기가 있어야 쓸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각인시키고 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을 발휘할 시간이 온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