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행복하지 않다고 했다
김미향 지음 / 넥서스BOOKS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엄마"라는 이 두 단어만 불러도 눈시울이 붉어지곤 한다.

나또한 이 도서를 몰입도 있게 앉은 자리에서 다 읽었다.

그러면서 읽다가 눈물을 흘리다가 다시 가라 앉히고 읽어내려갔다.

작가는 나 자신의 회환과 자책과 그리움과 추억을 한데 뭉쳐 이책을 읽을 분들 또한 각자의 엄마를 후회 없이 사랑했으면 하는 마음을 담았다고 한다. 꿈과 현실, 소설과 에세이의 경계가 있는 이 책은 주변의 엄마들 또는 엄마가 될 사람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었다.

1부 엄마 꿈을 꾸었다. 이 챕터는 꿈속에서 만난 엄마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고 있다.

"보고 싶은 우리 엄마....

다시 태어나도 난 엄마 딸로 태어날 테다.

우리 엄마는 그토록 좋은 엄마였다."

난 이 구절이 왠지 모르게 와닿았다. 엄마 생신때 내가 엄마에게 쓴 편지속에 내가 이 구절을 넣었던 기억이 나면서 나도 모르게 울컥거리게 만들었던 것 같다.

2부 엄마를 부르면 엄마 냄새가 난다. 이 챕터는 살아생전 엄마와의 얽혀져있던 내용들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상실 이후의 삶보다 더 중요한 건 삶 그 자체가 아니라 어떻게 살아가는가일 테다. 엄마를 잃고 내가 쓰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

이 구절이 내가 현재 결혼후 타지에 있으면서 엄마를 보지 못하는 내 상황에서의 감정과 이입이 되면서 더 열심히 살아가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게끔 했다.

3부 정숙씨가 웃는다. 이 챕터에서는 엄마의 젊은 시절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고 있다.

'정숙 씨, 정숙 씨, 정숙 씨,...,"

세상에서 가장 곧고 맑은 사람, 이 세상에 꼭 한 명쯤 있어야 할 사람, 정숙 씨가 웃는다.

언 땅 위에서 꽃이 피어나듯, 아프게.

엄마를 그리워하는 작가의 의도가 가장 많이 드러나 보였다. 나 또한 우리 엄마의 이름을 불러보았다.

항상 누구 누구의 엄마로만 불렸던 삶, 엄마의 이름을 그 누가 불러본적이 언제였을지 문득 엄마가 아닌 엄마의 이름으로 불러지는 삶이 그리웠던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도 해보게 되었다.

억척스럽게 살았던 엄마, 그 억척스러움을 당연시 생각했던 딸, 그리고 그 모진 세월 고생했다. 엄마 덕에 이렇게 잘 살 수 있었다라는 표현을 제대로 해보지 못했던 나.

눈시울이 붉어지면서 나또한 엄마말을 항상 잘 듣지 않고 반대로만 고집했던 내 자신을 떠올리며 엄마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면서도 대화가 힘들다는 생각에 어느 순간 엄마의 삶을 이해하지 못하게 되는 내 자신을 떠올리게 되었다. 지금은 그 누구보다 잘 이해한다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아직은 많은 걸 이해하기에는 역부족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 엄마도 시대를 잘 만나서 태어났다면 분명 이런 삶보다는 더 편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해보게 되었다. 엄마가 있어서 내가 있음을 다시 한번 상기 시키고 살아계실때 잘해야 한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하게해주는 책이 아닐까 싶다.

이번에 엄마를 뵙게 될때는 꼭 엄마 사랑합니다라는 표현을 하고 안아 드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