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겨울 나무로부터 봄 나무에로 민음 오늘의 시인 총서 21
황지우 지음 / 민음사 / 1985년 10월
평점 :
절판


황지우의 시는 솔직하다. 그래서 시원하다. 하지만 때론 가슴 절절한 아픔이 내 마음을 흔들어놓기도 한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잠든 식구들을 보며]이다.

아내는 티비를 켠 채로 잠들어 있다.
마지막 뉴스 보도,24시
오늘은 아무일도 없었다.
한미 장병15명을 태운 헬기.
합동군사훈련중 동해에 침몰.오늘은 아무일도 없없다.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아내는 티 비를 켠채로, 아직도 티 비속에서 잠들어 있다.
....

결혼을 하고 아이를 둘 낳은 아내. 퇴근해보니 그 아내는 티비를 켠 채로 잠들어 있다. 쉴새없이 돌아가는 세상과는 무관해 보이는 아내의 모습이다. 결혼 전의 수줍은 모습도, 신비로운 모습도 찾을 수 없다. 신혼 초 한껏 솜씨를 발휘하여 퇴근 시간을 손꼽아 기다리던 정성도, 졸음으로 쫓으며 밤 늦은 귀가를 기다리던 아내의 모습도 찾을 수 없다. 아내는 어느새 우아하지도 않고 예쁘지도 않은 아이들에게 소리소리 지르는 아줌마로 변했을 뿐이다. 하지만 시의 끝부분

어느라 네가 죽으면, 내 가슴 지하 수천M에 너를 믿으리

로 끝나고 있다. 고달픈 일상에 찌든 아내에 대한 안타까움과 아내에 대한 미안함,그리고 사랑이 절절히 느껴지는 부분이다. 가장 가까우면서도 그 존재에 대한 감사를 잊고 살아가는 우리들. 이 시를 읽으면서 가족에 대한 사랑을 확인해보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른, 잔치는 끝났다 창비시선 121
최영미 지음 / 창비 / 199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서른은 20대의 끓어오르던 열정이 사그라드는 나이다. 그래서 최영미는 서른,잔치는 끝났다고 한 걸까? 그녀의 솔직한 어투가 묘한 끌림을 주는 시집이다. 그러나 [선운사]는 떠난 사랑을 아쉬워 하는 서정적인 시이다. 화자는 고창에 있는 선운사에서 아름답게 피었다가 쉽사리 지고마는 꽃을 바라보며,이미 지나버린 사랑을 떠올리고 있다. 꽃이 피는 과정만큼 사랑을 시작하고 키워가는 과정이 힘들었음에도 어느 순간 갑자기 지고나면 영영 사라져버리고 마는 꽃처럼, 곱게 간직해 온 사랑도 한순간 잃고 마는 것이다.

하지만 사랑은 끝났어도,과거의 사랑에 대한 기억만큼은 화자의 가슴 속에 그대로 살아 잊혀지지 않는다. 현실에서 사랑이 끝나고 사랑의 대상이 떠나면, 마음속에 꼭꼭 묻어 둔 사랑도 켜켜이 꺼내서 모두 버리면 홀가분할 것을......그 사랑은 죽었나 싶다가도 끈질기게도 살아남아 가끔씩 불쑥 불쑥 함께 고개를 내민다. 과거의 사랑이 불쑥 불쑥 고개를 내밀때 가슴 저린 아픔이 아련한 추억으로 기억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한 걸까? 시인의 냉철한 사고 뒤에 숨겨진 여린 감수성이 잘 드러난 시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 시인선 80
기형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시집 속에 '엄마 걱정'이라는 시가 있다. 이 시에는시장에 간 엄마를 기다리는 아이가 등장한다. 밤 늦게까지 빈방에 앉아 혼자 엄마를 기다리는 아이. 바로 작가 자신의 유년의 기억을 그린 시다. 그의 시를 읽으면 가슴이 절절하다. '해는 시든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해는 이미 졌는데 나는 아무에게도 관심이 없는 찬밥처럼 방 한켠 귀퉁이에 앉아있는 아이를 생각하면.. 그 아이의 눈에서 금방이라도 그렁그렁 눈물이 맺힐 것 같은 느낌.. 외롭고 두려운 긴 밤.. 성인이 된 후까지도 기억에 남아있는 그 느낌.. 그의 시는 이처럼 가슴아팠던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며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좀 더 열심히 살아갈 것을 종용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풍금이 있던 자리
신경숙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3년 4월
평점 :
절판


담고 있는 내용은 가슴 아픈 것임에도 글 전체에 흐르는 느낌은 참으로 진지하고 섬세하다. 이 소설은 유부남을 사랑하는 주인공이 그와의 사랑을 끝내 포기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편지로 쓰는 형식이다. 유년시절의 기억들. 열흘간 엄마 자리를 대신하다가 떠난 어떤 여자에 대한 기억 그리고 점촌 아주머니가 줄넘기를 하는 가슴 아픈 사연은 끝내 지금의 사랑을 포기하게 만든다. 자기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타인의 희생된는 삶을 끝내 외면할 수 없었던주인공은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정리하고 추스르기로 한다.. 과거의 어머니는 주인공의 어머니처럼 여자라는 이름을 포기한 채 그저 아줌마로만 살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단한 삶에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온 그들에게 여자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는 건 힘든 일일 것이다. 자신을 돌보지 않고 희생으로 점철되 온 우리 어머니들의 사랑,헌신 그 사랑에 목이 메었다. 누구라도 한 번 쯤 읽어보면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자.붉은산 한국문학대표작선집 10
김동인 지음 / 일신서적 / 199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때 교과서에 실렸던 기억이 있는데 내용이 잘 떠오르지 않아 다시 책을 들었다. 이 소설은 의사인 주인공 여가 일제시대 때 만주에서 겪은 일을 써내려가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여기엔 ‘삵’이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그는 같은 동족을 괴롭히는 나쁜 인물로 등장한다.그러던 그가 중국인이 송첨지에게 행한 끔찍한 폭력을 겪음으로써 민족에 대한 애틋함이 살아난다. 결국 그는 송첨지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중국인에게 항의하다 그 또한 죽음에 이르고 만다. 그가 죽어가면서도 찾았던 것은 흰옷과 애국가였다. 흰 옷은 백의민족을 상징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월드컵때의 환희가 다시 떠올랐다. 모두 혼연일체가 되어 붉은 옷을 입고 ‘대한민국’을 외쳤던 우리 민족. 그 때는 가난한 사람도 부자도 어린이도 노인도 구분이 없었다. 목청껏 대한민국을 연호하며 하나되었던 기억. 언제나 나라가 어려우면 똘똘 뭉쳐 다시 일어섰던 우리민족. 평소에는 잠재되어 있다가 결정적인 순간 한꺼번에 터져나오는 우리 민족의 애국심의 모습중의 하나가 바로 ‘삵’의 모습이 아닌가 한다. 가슴 찡한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