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명문가 독서교육법 - 평범한 자녀를 최고의 인재로 키워낸
이상주 지음 / 다음생각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한번 쯤 들어보았을 조선시대 위인들과 여러 조선 명문가들의 독서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명문가란 책을 많이 읽고 교훈이 될만한 집안의
사람들을 말한다. 조선시대 양반의 생업은 책읽기였다. 독서를 평생 직업으로
삼았으니 독서란 무엇인가에 대해 그들에게 물어보는것이 현명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 우리는 자녀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하고 있는가 고식적인 사랑만을 베풀어 주는것은 아닐까?
교육하지 않는것은 집을 망치는 일이다 - 정조시대 실학자 "이덕무"
"아들을 가르치지 않으면 자기 집을 망치고, 딸을 잘 교육시키지 못하면 남의 집을
망친다" 그러므로 어릴때 자녀를 교육시키지 않는것은 죄악이라고 한다. 자식에대해
사랑만 베푼다면 후에 근심과 해의 원천이 될수있다고 경고한다.


- 머리가 둔한 나는 공부를 잘 할수있을까? 남들 이상으로 될수 있는가?
조선의 독서왕 "김득신"
조선시대의 선비는 책 읽는것이 업무이기에 특별히 자랑할것이 아니다 그러나 김득신은
좀 다르다. <사기>의 백이전을 무려 1억 1만 3천번을 읽었다. 지금 숫자로 풀이하자면
11만 3천번이 된다. 지금 시대에 독서를 많이한 사람을 한명 꼽는다면 장향숙의원을
들수있다. 대략 1만권을 읽은것으로 알고있는데 이분 또한 평생 책만읽은 분이다.
김득신은 둔재로 태어났으나 끝없는 노력으로 당대의 시인이자 문장가로 인정을 받았다.
그의 묘비 문구는 그가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는지 알려준다
"재주가 다른 이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스스로 한계짓지 말라. 나처럼 어리석고 둔한
사람도 결국 이루었다. 모든것은 힘쓰고 노력하는 데 달려있다"


- 책, 어떻게 읽을 것인가?
"만권의 책이 있는 곳이 낙원이다-허균"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못하오니, 어찌 사람이라 하겠습니까?
많이 알려진 홍길동의 한 대목이다. 신분상의 이유로 시대를 원망하며 살아야 하는
서자의 차별문제를 고발하고 있는 허균은 시대의 선각자라 할수있다.
책을 많이 읽는 허균은 독서를 3단계로 구분하였다.
먼저 책을 읽고, 문장을 메모하며, 메모된것을 내용별로 분류해서 책을 만들었다고 한다.
아까운 시간을 내서 독서를 할때에 대충 넘기지 말고 메모를 꼼꼼히 하고, 또 요약하여
한권의 책을 만드는것도 좋은 방법인 듯 하다.


이 책은 다양한 독서의 방법을 알아볼수있고, 책 읽기가 업무였던 선조들을 통해 독서의 유익이
무엇인지, 어떠한 마음으로 독서를 하였는지, 진정한 배움이란 무엇인지를 알수있게 해주는
책이라 할 수있다. 독서를 할때에 주의 할점은 무엇이든 너무 과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예컨대, 몸을 상할 정도로 독서를 하는것은 건강을 잃는것이고 건강을 잃는다면 지식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