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 많은 디자인 씨 - 디자인으로 세상 읽기
김은산 지음 / 양철북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디자인들을 보게 된다. 티비든, 연필이든, 엠피쓰리이든. 대부분 디자인은 상품 속에 깃들어있는, 감초같은 존재를 한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 그랬었다. 하지만 디자인은 결코 상품에 탐을 내주게 하는 부분적인 요소가 아니라 삶과 우리 인생에 전반적으로 자극이 되고, 무언가의 메세지를 줄 수 있다는 것임을 깨달았다. 물건을 색칠하고, 어떤 모양으로 만드는가가 디자인의 다가 아니다. 때론, 진실된 디자인은 인간의 삐뚤어진 모습을 새롭게 디자인하기도 한다.

이 책은 결코 디자인 그 자체에 대해서만 주구장창 쓸데없는 설명을 늘어놓는 책이 아닌, 디자인을 통해 비쳐진 인간의 어두운 한쪽 내면을 비쳐준다. 꼭 그 내면이 악한지 선한지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디자인' 이라는 요소를 통해 우리가 좀 더 번영하거나 잃은 진정 자신의 모습을 발견해낼 수 있다.

 

  시계,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일반적인 시계라면 1부터 12까지의 숫자가 각각의 자리에 올바르게 배치되있어야 하는데, 이것은 숫자 5만 덩그러니 놓여져 있을 뿐이다. 시간과 시계를 바라보는 낡은 사고방식을 지워버리듯 칼맨은 숫자 5만을 남겨두고 다른 숫자를 모두 지웠다. 그러나 여전히 칼맨(시계만든사람)이 지운 숫자는 우리 안에서, 우리 머릿속에서 여전히 째깍째깍 소리를 내고 있다. 우리는 여전히 근대라는 시간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우리 세상 속의 시간은, 오직 시간의 효율성을 위해 바쳐진 시간이다. 근대 디자인은 이처럼 표준과 규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앤디 워홀이 만들어낸 동일성의 작품들, 서로 다르게 생긴 사람조차 똑같은 것처럼 만들어버리는 졸업앨범 처럼 획일화된 정체

성을 강요하는 질서는 우리 세상의 시간의 산물이다.

이제 알겠는가? 왜 그가 숫자 5만을 남겨두었는지. 그는 우리가 매어있는 시간, 그러나 그것을 넘어 설 수 있는 또다른 시간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이다. 오직 규칙성, 규격에만 맞는 근대의 시계가 아닌 그것을 통과하므로써 얻을 수 있는 무언가의 가치를 그는 표현해내고 싶었던 것이리라. 그의 시계는 정확한 시각을 알려주는 대신 시간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정한 '시간'을 되돌려준다. 5시. 퇴근하는 시간 뿐 아니라 비로소 가족, 친구와 함께하는 시간, 편안한 집으로 돌아가는 시간, 경쟁과 속도의

날카로운 톱니바퀴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가치와 의미를 찾는 시간.. 어쩌면 이 시계는 그 시간을 영원히 가둬두고 싶어서 만든 것이 아닐까.

특정시간을 영원히 가둬둘 순 없지만 이 디자인을 통해서 우리는 이 시간을 비로소 희망하고, 기쁘게 기억해낼 수 있다. 디자인의 힘. 대단하지 않은가?

우리가 만들어낸 규칙성의 시간을 깨고 때론 행복했던 추억, 그리고 곧 올 '행복할' 시간에 대해서 말해주고 있으니. 이런 디자인을 통해 우리는 무기력한

삶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나 다른 삶으로 향할 수 있다. 디자인은 단순히 구매욕구만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다.때때로 무언가를 되새기고, 느끼게 해준다.

하하. 이 그림을 보시라. 한 사람이 라면을 먹고 있고, 젓가락에 선풍기 비슷한 것이 달려있다. 그 이름도 유명한, <라면 냉각기>.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말그대로 뜨거운 라면을 냉각시켜(시원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게 해주는 발명품이다. 하지만 많이 불편할 것 같지 않은가? 오히려 입으로 호호 불어 먹는 편이 더 나을것 같지 않은가? 이처럼, 기능만을 강조한 근대의 디자인은 사물을 단순한 '도구' 로만 이해하여 오히려 사물의 쓰임새와 기능성을 제한한다. 이렇게 기능에만 집착한 흥미로운 것들을 '진도구' 라 부른다. 가장 흥미로운 점은 무언 줄 아나? 자신의 의도를 스스로 배반하게 된다는 점이다. 기능에 충실한 물건이지만 실은 너무 지나쳐서 쓸모가 없다. '진도구' 는 사물의 기능을 극한으로 밀어붙였을 때 결국 기능 자체가 사라질 뿐더러 사물 자체도 '무' 에 다다르게 된다는 깨달음을 준다. 사물의 가치는 결코 기능성만을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며, 실용성에 지나치게 몰두할 때 그 쓸모가 없어지게 된다. 사람이 오직 '일' 만 하는 기능만을 갖추었다면 진정 사람의 도리를 갖추지 못하듯, 무언가가 계속 지나치게 된다면 디자인의 기본 역할과 도리는 넘어서는 것은 물론 그 자체로 쓸모가 없어지게 된다.

명품에 집착하는 사람들. 변기까지 프라다로? 모든 것이 명품이여야 한다! 일상을 예술처럼, 일상을 작품처럼 명품처럼! 그들은 일상보다는 예술의 삶을 추구하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제대로 누리고 싶다. 하지만 디자인과 예술의 역할로 만들어낸 물건들을 사용한다고 해서 삶이 저절로 예술이 될까? 정답은 No.

편안하게. 편안함과 평범함의 미덕을 알아야 한다. 아무리 삶이 명품이고 예술품이라 한듯 '자신' 을 제대로 연기하지 못하면 무슨 소용이겠는가. '나' 라는 캐릭터 자체를 예술품이 닳을까 걱정되 무대에 올리지도 못하고 삶을 마쳐버리면 어떡하나. 이 프라다 변기는 삶에 대해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각을 신선하게 깨준다.

이 표지판을 자세히 보시라. 여성이 공사 작업을 하고 있고, 남자가 아이의 귀저기를 갈고 있고, 흔히 남자로 표시되던 비상구 표시가 여자로 표시된 비상구로 바뀌었다. 이 캠페인은 오스트리아 빈의 '빈은 다른 눈으로 바라본다' 라는 행사이다. 대부분 표지판에는 남성이 등장한다. 여성이 등장하는 경우는 거의 지하철 노약자석 표지, 기저기 가는 표시 뿐이다. 이렇게 고정적인 성 역할을 탈바꿈 하는 데도 디자인의 손을 빌렸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이 캠페인에 찬성하는 입장은 아니었다. 세금 낭비와 여자가 공사장에서 치마를 입고 작업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반대하는 무리들도 있었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공공 표지판을 교체하는 일은 기존의 사회적인 인식을 바꾸고 남녀 모두 똑같은 기회와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어떤 특정한 역할들이 남자가 하는일/여자가 하는 일로 나누어져 있다면 우리는 여전히 극히 제한적인 일을 하며 한쪽 면만 보고 살아갈 수도 있을 것이다.

디자인은 사회,정치, 경제에 대해서 큰 영향을 끼친다.모든 디자인이 그런 힘을 행사하는 건 아니지만, 예술으로서의 역할 외에 다른 역할로 보여지는 우리가 고개 돌리고 살았던 우리의 본성에 대해 알 수 있는, 일종의 터닝포인트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디자인'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