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도시 SG컬렉션 1
정명섭 지음 / Storehouse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이 엄청나게 당길 때가 있다.

'내 이름은 코난. 탐정이죠' '범인은 이 안에 있어요'하는 멘트를 날리는 통쾌함을 느끼고 싶을 때- 그걸 텍스트로 읽고 싶을 때 어김없이 읽을만한 추리소설을 찾는다.


'개성공단에서의 의문의 살인사건'

을 주제로 한 이 책 '제 3도시'는 책 소개에서부터 상당히 흥미로웠다.

일단, 남과 북이 만나는 무언가 미지의 세계인 '개성공단'을 다루는 것 부터

그 곳에서의 살인사건이라니- 과연, 나에겐 무지의 공간인 개성공단에서 어떻게 살인사건을 다룰지 궁금했다.

누가 죽고, 누가 그것을 풀지, CCTV가 없는 그 곳에서 어떻게 사건을 풀어나갈지 모든 것이 의문투성이였다.

-짧은 줄거리

주인공 강민규가 서울에서 '뉴욕탐정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중 어느 날,

삼촌 원종대 개성공단 대표로부터 원재료나 완성품이 사라지고 있어 개성공단에 들어와달라는 의뢰를 부탁받는다.

경비를 뚫고 들어간 그 곳은 북 근로자들과 남 근로자, 대표자들이 한데 어울리는 곳이었다.

그러나 남쪽 대표자들이 북쪽 근로자들에게 지시하지 못하는 구조.

개성공단 내 편의점 CU는 있으나 CCTV가 없는, 남과 북이 공존하는 곳.


이 곳의 남쪽 숙소에서 법인장이 살해된다.

과연 CCTV와 블랙박스가 없는 곳에서 강민규는 어떻게 사건을 해결할까?


개성공단은 북한의 땅위에 우리나라의 자본이 들어간, 남과 북 가릴 것없이 아무나 들어갈 수 없는 아이러니한 곳이다. 정권이 바뀌며 다시 재개된 개성공단에서, 우리의 체제와는 다른 그 곳에서의 살인사건은 서로의 평화를 위해서는 덮어야 하는 사건이었다. 왜냐면 개성공단에서 남측의 살인피해자가 나올 경우, 남한의 법을 따라야할지 북한의 체제에 따라 사건을 처리해야할지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이 애매한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강민규와 오재민 소장이 함께 나서게 된다. 오재민 소장의 처리방식에서 체제의 유지 아래 억울한 사례가 얼마나 있었을지 짐작이 되기도 했다. 그건 꼭 소설로 알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어느 작은 소도시와 같이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곳이지만 남과 북은 서로를 믿을 수 없다. 남은 북을, 북은 남을, 상대측을 먼저 의심할 수 밖에 없다. 개성공단이라는 특수성으로 서로를 의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들은 협력하여 사건을 해결하려한다.

그러나 남과 북, 가릴 것 없이 비단 살인사건 뿐 아니라 원자재를 빼돌리는 일에서도 여러 사람의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그 곳은 단순하지 않은 곳이라 생각했고 이 살인사건 또한 CCTV나 블랙박스가 없는 개성공단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사건이라고 생각했다.

소재의 참신함으로, 새로운 추리소설을 읽기 원한다면 읽을만한 소설이다.

개성공단에서부터 추방당하기 4일이 남은 시점에서의 강민규가 어떻게 사건을 풀어나갈지 궁금하다면, 그리고 북풍회, 국정원, 북한의 조절위원회등의 국가, 정치적으로 복잡한 주제를 흥미롭게 풀어가는 작가의 역량이 궁금하다면 읽어보는 것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