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세상의 모든 책들
제인 마운트 지음, 진영인 옮김 / 아트북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예쁜 책을 만들어 주셔서, 또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해주셔서 감사한 마음에 이렇게 후기를 남긴다.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겉 표지와 다르게 책 속의 일러스트와 내용이 아기자기하고 예뻤다.

읽다보면 정말 세상의 모든 책을 사랑하게 된다.

실물 책과 서점을 소개한 책을 전에도 본 것 같은데 이렇게 일러스트로 그린 건 처음 본다.

실물 사진보다 일러스트가 훨씬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언젠가 이 책들을 꼭 읽어봐야지 하는 마음에

도서관에서 빌린 책을 바로 주문했다. 세계의 다양한 서점을 소개하기도 하는데 그 곳에서 책 읽는 내 모습을 상상하면 마음이 두근거린다.

집 주변에 있는 도서관, 서점부터 하나씩 가봐야지 마음먹는다.

다독하지 않아서 스스로를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정체화하기 힘들었다.

이 책을 보면서 내 스스로를 책과 책이 있는 공간을 참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확정했다.

'나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다양한 장르의 책을 소개하는데 특히나 고전 소설은 꼭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에는 흥미도 없었고 두꺼워서 읽을 수 있을까 망설였던 고전 문학이

이제는 낭독해보고 싶어졌다.

책을 앞으로도 계속 읽어야지, 사랑해야지 마음먹게 된 책이다.

서문에 첫 번째 문단은 이러하다.

이 책의 목표는 당신의 '책더미'를 세 배로 늘리는 것이다. 이 책은 일종의 문학적 '호기심의 방'으로, 이곳에서 당신은 갖가지 이유로 당신이 좋아할 만한 책들과 만나게 될 것 이다. 책의 주제가 마음에 들어서일 수도 있고, 근사란 지역 도서관에서 마주쳐서, 혹은 표지에 귀여운 고양이가 있어서일 수도 있다. 열정적인 책 소개 문구로 가득하 인기 서점의 이동식 책꽂이처럼, 책을 펴볼 때마다 지금까지 내가 왜 몰랐지 싶은 보석을 하나씩 발견하게 될 것이다.

어떻게 이렇게 당당하게 예언할 수 있지.

서문의 첫 문단과 정확히 모든 게 일치한다.

'문학적 호기심의 방' 이 표현이 가장 적절하다. 집이 아니라 방이다. 큰 집의 다양한 문학적 방에 들어갔다 나오면서 앞으로 꾸준히 책을 읽어나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사랑한 세상의 모든 책들
제인 마운트 지음, 진영인 옮김 / 아트북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사랑하는 책을 발견하는 재미, 몰랐던 책을 사랑하게 되는 계기, 앞으로 책을 더 읽게되는 동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엄마가 먹여 살렸는데 - 어느 여성 생계부양자 이야기
김은화 지음, 박영선 구술 / 딸세포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우연히 친구가 추천해서 알게 된 책이다.

도서관에 일하고 있어 수서 목록에 넣었고 관내 비치되었을 때 빌려 읽었다.

다 읽고 나서 네이버 블로그에 감상을 남겼는데 이 책을 더 응원하고 싶어서 알라딘에도 감상을 남긴다. (예스24에도 남기려고 했는데 로그인이 너무 복잡했다)


엄마가 그렇게 하는 게 강함의 표현일 수도 있지만

사람이 그렇게 혼자서는 마음의 짐을 감당 못 해.

엄마가 나한테 의지를 진짜 많이 하거든. 맨날 나한테는 온갖 얘기 다 해놓고 "느그 오빠한테는 얘기하지 마라. 내가 진짜 죽겠다." 이러고. 하하. 엄마가 말을 안 한다고 하지만, 사람이 정말로 말을 안 하고 살 수는 없어.



읽으면서 우리 엄마와 너무 너무 닮아서 놀랐다.

빚쟁이 남편, 이혼, 두 아이를 홀로 부양하던 시절

심지어 똑똑하고 돈 잘벌고 배우기를 좋아하는 개인적인 성향까지 닮았다.

'우리 엄마 같은 여자들이 많을 수도 있겠다' 생각하며 읽었다.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찾아 헤멘 그 여정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만약 '그녀'가 아니라 '그'였다면 어땠을까. 아마 첫 번째 단추부터 착착 꿰어졌을 것이다. 대학에 진학했을 것이고, 결혼 후에도 커리어를 유지했을 것이며, 특유의 책임감과 생활력으로 식구들을 부양하고도 남을 만큼 풍족하게 살았을 것이다. 박영선 씨느 그만한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밀려난 자리에서 삶의 전환을 꾀하고, 다시 최선을 다하는 삶을 태도야 말로 존경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가부장적인 사회는 여성들을 자꾸 변방으로 몰아낸다. 여자라서 공부를 더 시키지 않고, 여자라서 저임슴의 노동을 맡기며, 여자라서 무급으로 가사 노동과 돌봄 노동하는 것을 사회는 당연하게 여긴다. 그러나 여자들은 피해자의 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밀쳐졌다가도 튕겨 오르고, 순응했다가 반발한다. 원망과 증오, 사랑으로 불타올랐다가 체념과 무기력으로 가라앉는다. 실눈을 뜨고 때를 기다린다. 다양한 삶의 전략을 구사하며 성큼성큼 새로운 길을 만들어 나간다. 삶의 길 위에서 그녀들 하나하나가 적극적인 플레이어이며, 역사의 주인공인다. '여자는 약하지만 어머니는 강하다.'는 말을 믿지 않는다. 살아남은 여자는 누구나 강하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밀려난 곳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아는 어른 중에 같은 여자로 우리 엄마와 동갑인데 외국 유학 갔다와서 대학교수하며 연하의 남친을 만나는 분이 계신다.

종종 우리 엄마가 결혼해서 애 낳지 않고 싱글로 살면서 계속 공무원을 했다면 어땠을까 생각한다.

아마도 그 어른처럼 살고 있지 않았을까. 상상해본다.

나는 엄마의 얼굴을 보는 게 너무 힘들고 그 말을 듣고 대화나눈 게 지겨워서 집을 나왔다.

더는 엄마가 의존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지 않았다.

나는 그걸 힘들어 했는데 이 저자는 그렇지 않았다.

조명받지 못한 여성 노동자의 삶을 이렇게 책으로 세상에 알려줘서 정말 감사하다.

나라를 구한 위인만 역사에 기록되었는데 이렇게 우리의 삶을 지탱한, 우리를 먹여 살린 여자들의 삶이 기록되어 기쁘다. 앞으로 더 많이 박수 받았으면 좋겠지만 앞으로는 누구나 자기 삶을 자유롭게 선택하며 행복하게 살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중예술본색 - 대중예술 속 대중의 욕망, 세계관에 대하여
이영미 지음 / 우리교육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대중예술이라 해도 항상 이런 책들은 어려웠다.ㅎㅎ
그런데 이 책은 강의 하듯이, 말하듯이 쓰여져 있다.
대중예술과 매체에 대한 흥미도 많이 갖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육의 철학 및 역사적 이해
박준영 지음 / 교육과학사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타도 많고 주술어 호응도 안되는 이 책이 왜 대학 교재로 선정되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