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챙이 아빠 ㅣ 눈높이아동문학상 24
안오일 지음, 손지훈 그림 / 대교출판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눈높이 아동 문학상 단편동화 부문 당선작이라는 황금색 타이틀에 시선이 이끌려 보게 된 단편집 제목이 [올챙이 아빠]라고 되어 있네요. 초6 아들에게 올챙이 아빠가 무슨 뜻일까? 물었지요.자기보다 작은 아빠 이야긴가? 이럽니다. 푸하하 ~저라고 뭐 비슷하게 짐작이라도 했냐그것도 아니구요. 도대체 무슨 뜻이야...읽다보니 음~~정자를 기증받아 태어난 자신은 아빠가 없다는 거에요. 그래서 정자를 올챙이로 비유한거구요.
얼굴도 모르고 아빠가 있었던 적도 없기에 정자를 아빠라고 부르는 아이가 아타까웠는데
정작 당사자는 크게 게의치 않는 듯 합니다. 가끔 아빠의 부재에 외로움을 느끼긴 하지만요.엄마는 아이가 상처 받을까봐 처음부터 기증받은 정자로태어나서 아빠라는 존재는 없었다고 세뇌시키지만 결국 엄마의 고백으로 아빠가 존재했었고 지금도 존재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요,그 다음 전개가 참 의외였네요.그 동안 알고 있었던게 다 거짓이었다는 걸 안 뒤로 엄마와 아들이 상대를 대하는 태도가 별 트러블없이 이해하는 분위더라구요.유쾌하고 쿨한 모자라고나 할까요~

어른들의 위선을 꼬집는 이야기 '정답 따로 오답 따로'라는 단편은 현실에서 있을 법한 소재를 어린이를 통해 그 동안 어린아이들 눈에 비춰졌을 부끄러운 어른들의 모습이 그대로 투영된 이야기 같아요.어려운 이웃을 도와주라고 가르칠 때는 언제고 그러지 말라니~~우임이라는 아이는 이해가 안됩니다.그래서 정말 착한 일을 열심히 하는데 엄마,선생님은 다른 태도를 보입니다. 자기를 위해서도 살아야하는데 그렇지 않다고 훈계까지 하시니...
"선생님,선생님은 시험지에 맞는 답을 써요,아니면 틀린 답을 써요?"
"그...그거야 맞는답을 쓰지."
"그렇죠? 배운 대로 써야 되는거 맞죠?"

멈칫하는 선생님, 엄마, 그리고 글을 읽고 있는 나. 모두 하나 같이 일시정지 상태가 되버렸어요.
정말 올바른 교육이란 어떤 것일까? 우임이의 선행,그리고 아빠의 승진을 위해 기부하겠다는
엄마의 모습이 극단적인 모습으로 배치되지만 이 이야기 역시 작가의 의도, 다시 말해 좀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그런 의도가 엿보이는 내용이었네요.
문학작품이 가진 특징이 현실 그대로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이상적인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견인차 역할을 하는것도 분명히 있지요.그런 시점으로 이 책을 읽는다면 '뭐 이게 가능하기는 한건가?' 라고 했다가도'그래, 이런 세상, 이런 대화가 필요한 거였어' 하게 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