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어도 내겐 영원히 아깽이 - 고양이 노화 대비법
이키 다즈코 지음, 박제이 옮김 / 청미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사가 황송하게도 자신을 케어해 줄 집사로 나를 지목한지 일 년이 조금 넘었다. 나는 그동안 집사의 집사로서 최선을 다했지만 고양이를 잘 알고 했다기보다는 주워들은 지식과 블로그를 통한 정보들로 그때그때 땜질을 하며 위기를 넘겼다. 집사는 그동안 이유를 알 수 없는 한차례의 단식투쟁을 감행했고 컨디션에 따라 사료를 토하거나 때때로 눈꼽이 끼고 설사를 했다. 아. 중성화 수술을 마치고 겨우 일어나서 사료가 담긴 그릇 쪽으로 비틀비틀 걸어가는 고양이의 뒷모습을 지켜보면서 나는 인간이 동물에게 해줄 수 있는 역할의 한계를 느끼고 남몰래 눈물을 훔쳤다. 누가 뭐래도 나는 오버를 떠는 인간이다. 그렇다고 해도 아픈 것을 표시 내지 않는 고양이의 습성을 아는 집사로서는 여간 마음이 아픈 게 아니다. 예민한 동물인 고양이를 식구로 맞이할 준비를 철저히 못한 것이 전부 나의 잘못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일찍 내 곁을 떠나는 건 아닌지 방정맞은 생각을 했고 덜컥 겁도 났다. 이렇게는 안된다. 고양이와 같이 살기로 마음먹은 이상 충분한 정보가 필요했다. 그것은 블로그나 네이버 지식인의 답변과는 질적으로 다른 정확하고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여야 했다. 때마침 청미 출판사에서 고양이 노화와 관련된 책을 준비한다는 소식을 접했다. 책을 읽어보니까 고양이에 대해 어렴풋이 알았던 나의 지식들은 잘못된 지식이거나 집사들의 지나친 걱정에서 기인된 것이 많았다. 책을 통해서 나는 집사를 키우는 집사로서의 마음을 다잡는 계기를 만들었다. 앞으로는 아픈 고양이를 보면서 눈물바람부터 하지 않고 당황해서 안절부절못하고 고양이보다 내가 먼저 몸 져 눕는 일도 없이 예전보다는 조금 더 담대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 같다. 고양이를 키우신다면 꼭 한 권씩은 소장할 필요가 있는 책이다. 혹시 반려견과 함께 살고 있다면 이 책은 어떠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0년생이 온다 - 간단함, 병맛, 솔직함으로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임홍택 지음 / 웨일북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최악의 취업률에 내몰린 청년들, 일찌감치 수능 맞춤형 교육만을 받아서 자신이 진짜 원하는 게 무엇이고 어딴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생각할 틈도 없었던 90년생에게 나는자꾸 미안한 마음이 든다. 이 책이 알려준 것들이 중요하지 않다는 뜻은 아니지만 뭔가 알맹이가 빠진 것 같은 아쉬움은 있다. 90년생 소비자를 대하는 방법이나 그들을 신입사원으로 받아들여서 어떻게 하면 함께 공존하는지를 배우는 일보다 더 중요한 것이 많다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호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02
외젠 다비 지음, 원윤수 옮김 / 민음사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호텔이 나름 호황을 누리던 시절은 1920년대다. 세계 2차 대전이 시작되기 전은 파리의 황금기였다. 이른바 ‘광기의 나날 Les Années Folles ’라 불린다. 전 세계 많은 작가들과 예술가들이 ‘미친 듯이’ 파리를 찬양하던 시절이다. 오스카 와일드는 “착한 미국인은 죽어서 파리에 간다"라는 말을 남겼고, ‘잃어버린 세대 Lost Generation’로 유명한 미국 작가 거트루드 슈타인은 “미국은 조국이지만 내 고향은 파리”라고 말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1921년부터 26년까지 파리에 머물던 무명시절을 떠올리며 ‘파리는 날마다 축제 Paris est une fete’라는 회고록을 남겼다. 그 시절 파리는 사진에서처럼 화려했겠지만 가난한 사람들이 머물다 간 곳 북쪽 호텔은 나름대로 소박한 정취를 풍기며 책을 읽는 나를 강하게 매혹시켰다. 루이즈 부부는 돈을 빌려 호텔을 싼값에 인수하고 애정을 가지고 다듬어 나간다. 호텔에 머무르는 노동자들은 아침이면 초췌한 얼굴로 방에서 나와 망할 놈의 일!이라고 외치며 자신의 생활을 저주한다. 단조로운 운명이 짓누르는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대단치 않은 직업에 못 박힌 채 거기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기계적으로 사는 것은 호텔을 운영하는 루이즈나 파리의 노동자들이나 매한가지다. 북호텔은 처음 문을 열 때도 요란하지 않았고 문을 닫을 때 역시 자신의 의지 같은 건 없었다. 모던 피혁이라는 회사가 지주들과 교섭하여 북호텔을 포함한 토지를 수용하고 거기에 살던 가난한 사람들은 가재도구를 팔고 어디론가 뿔뿔이 흩어지는 모습은 지금 우리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과 무관하지 않다. 별 내용도 없는데 이 소설은 왜 이렇게 뒤끝이 길고 찜찜한가. 외젠 다비는 가난한 사람들의 삶과 사회의 부조리가 백 년 후에도 여전하다는 것을 예상이라도 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