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도연대 6 - 탐정의 의혹
교고쿠 나츠히코 지음, 시미즈 아키 그림, 강동욱 옮김 / 삼양출판사(만화)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으로는 여기까지 봤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 다음편이 더 있을지 궁금하네요. 일본의 역사에 대해서 모르면 좀 어렵기도 하고, 에노키즈의 행동에서 답답함도 느끼지만 어째서인지 빠져드는 기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곱 개의 대죄 21
스즈키 나카바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1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다양한 전투와 이야기가 담겨 있어서 좋네요. 특히 고서와 에스카노르의 조합도 상당히 재미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고] 스눕 - 상대를 꿰뚫어보는 힘
샘 고슬링 지음, 김선아 옮김, 황상민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0년 5월
평점 :


책이 추구하는 바는 좋다. 재미도 있다. 다른 사람의 방을 조사해 보는 것만으로도 방 주인의 성격과 가치관 등을 읽어 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실제 예시를 통해서 그럴 듯한 설득력을 주고 있다. 마치 친구의 '특정 폴더'를 보았을 때 이 사람이 추구하는 이상향이 무엇인지 어렴풋하게나마 느낄 수 있던, 그런 생각을 책으로 정리해 주었다고나 할까?


그런데 문제는 이 책의 예시들이 너무나 미국적이라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하기사 조사 대상이 당연히 미국인들이었을테니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미국인, 혹은 미국에 어느정도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어느 부분에서 콱! 막혀버리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되니 좋아하기 힘들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차라리 좀 더 이론적으로 접근하였다거나 여러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 방이 나왔다면 더 좋았을 거라는 아쉬움이 남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랫랜더 래리 니븐 컬렉션 1
레리 니븐 지음, 정소연 옮김 / 새파란상상(파란미디어)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과 SF소설, 서로 만날 일 없을 것 같던 두 영역을 하나로 만든 책이 바로 '플랫랜더' 이다.


추리 소설과 SF소설의 만남은 여러가지로 복잡한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 일반적으로 추리 소설은 작품에 등장하는 상황 및 증거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의 상식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만약 일반 상식을 무시하고 작품이 나아간다면 독자들은 결과를 보기도 전에 책을 집어 던지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SF작품이라니! 우리의 일반 상식 따위는 안드로메다로 넘겨버려도 상관없는 분야가 바로 SF작품이지 않은가?

실제로 이 소설을 읽다보면 세계관 이전에 알아 들을 수 없는 용어들에 당혹스러워 할 수 밖에 없다. 특히 3번째 단편인 'ARMS'의 경우에는 살인 증거품 자체를 이해하기 힘들었기에 작품에 집중하기가 힘들었다. 물론 나름대로 작품 내에서 어느 정도 설명을 하고 있다지만 일상적으로 쓰이는 개념이 아니다 보니 어렴풋한 개인적 추측에 나아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고리인이나 월인과 같은, 인간이면서 지구인은 아닌 이들과의 차이점 역시 알듯 모를듯 한 점 역시 복잡하게 만들었다. 만약 단순한 SF소설이었다면 이런 복잡함을 이해하는 것 역시 하나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추리 소설로서 받아들이기에는 조금 버겁다는 느낌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마치 우리의 상식과는 전혀 동 떨어진 외지인의 문화 습관을 추리 소설에 접목시켰다는 느낌이랄까?


사실 이 소설에서 흥미로웠던 부분은 추리나 SF 분야 보다는 사형수의 몸을 해체, 장기들을 다른 사람들에게 제공한다는 세계관이었다. 실제로 모든 단편에서 이 부분을 이야기 하고 있고, 최소한 2편은 중요한 내용으로 나오고 있다. 이 부분이 흥미로웠던 것은 장기 이식 자체가 일상적으로 행해질 수 있을 정도로 의학이 발달하였을 때, 사형수들을 실제 사형을 실행하여 장기를 때온다는 부분과, 부족한 사형수들의 보충을 위하여 사형 가능한 죄를 늘린다는 점이었다. 사회를 통제하고 시민들의 안정을 위해서 사형 제도가 있다기 보다는 사형수를 보충하기 위해서 법이 엄격해 진다는 점은 뭔가 어긋나 있으면서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름이 끼치지 않을 수 없었다.


개인적으로 추리 소설로서도, SF소설로서도 어딘가 모자란 듯한 느낌의 책이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지만, 장기이식과 사형수라는 흥미로운 점을 부각시킨 이 작품은 한번 정도 읽어봐도 좋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크에어 12
박민서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6년 7월
평점 :
절판


작품 외적으로 매우 많이 씁쓸한 마무리. 작가의 말을 보고 있노라니 현재 만화 시장이 좋지 않다는 것을 느끼게 만들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