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은 인간을 정말 사랑할까? - 세계최초 뇌과학으로 밝혀낸 반려견의 생각
그레고리 번스 지음, 김신아 옮김 / 진성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아마 개를 키워보는 사람들 입장에서라면 우리집 개가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것이다. 나 역시 간혹 멍~ 하니 있는 우리집 개를 볼 때라면 과연 무슨 생각을 하는지 직접 말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게 한두번이 아니다. 그렇기에 MRI를 통해서 직접 뇌를 읽어 본다는 이 책의 내용은 많은 호기심을 가져다 주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책은 개의 감정에 대한 책이라기 보다는 과학자의 프로젝트 여정에 과한 책이라고 보는게 맞을 것이다. 이 책을 쓰게 된 동기가 무엇인지, 어떤 난관이 있었으며 그걸 어떻게 해쳐 나갔는지, 이런 과정을 통해 나온 결론에 대해서가 쓰여져 있으며, 실제 강아지의 감정에 대한 내용은 결론의 해석부분, 즉 거의 마지막에 와서야 말하고 있다. 그렇기에 강아지의 내용을 읽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에 모자란 것은 어쩔 수 없으리라...


또한 결론 역시 내가 기대했던 그것에는 미치지 못했던 것도 아쉬웠다. 어쩌면 알아서 좋을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몰라도 크게 상관없는 수준의 내용이었다고 할까? 아니, 어쩌면 기존에 알고 있었던 것을 과학적으로 해명하는 듯한 내용이었다는 게 좀 더 정확할 지도 모르겠다.


다만 이 책을 보면서 놀라웠던 점이라면 생각보다 개에 대한 프로젝트가 많지 않으며, 특히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대한 연구가 피상적이라는 것에 대한 점 정도랄까? 하기사 조금만 움직여도 결과가 틀어져버리는 연구를 인간이 아닌 다른 동물에게 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들 일인지는 누구라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실제로 책을 읽다보면 이 연구자가 얼마나 자신의 개와 함께 얼마나 열심히 훌련하는 지를 깨닫게 된다. 물론 그 훈련과 동시에 개와의 우정이 점점 쌓이는 것도 깨닫게 될 것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애견인들 보다는 차라리 과학 프로젝트를 수행할 계획이 있는 학자들, 혹은 동물 관련 직업을 가진, 혹은 가질 예정인 사람들이 읽어볼 만한 책이라 하겠다. 앞으로 동물들의 감정을 뇌의 활성화를 통해서 알 수 있다면 언젠가 정말로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를 어떤 방식으로 사랑해 주는지 알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