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을 떠날 때 후회하는 24가지 - 회사는 언젠가 당신을 배신한다
조관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제가 책을 구입할 때 되도록이면 피하는 장르가 있습니다. 바로 자기개발서인데, 처음 볼 때는 어느정도 동감하면서 보다가도, 전부 다 보고나면 세상의 많은 평범한 사람들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는 오직 자기 자신때문에 있다는 이야기로 들리더군요. 제가 삐딱해서 그런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못난 나에 대한 비판을 듣는 거 같아서 일 수도 있으며, 어쩌면 정말로 세상 돌아가는 것과는 동떨어진 이야기라고 생각하기에 그런 걸 수도 있습니다.

'회사를 떠날 때 후회하는 24가지'에서 처음 기대했던 것은, '부자들의 음모'에서 나왔었던, 평범한 직장 노동자들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에 관해서거나, '버킷리스트'에서 처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려주는 책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본 이 책의 내용은, '나이 든 어르신의 덕담 + 자기개발서'였습니다. 전자는 젊은이들에게 별 다른 호응을 주지 못하고, 후자는 제 취향이 아닌 책이라는 거죠. 쩝

물론 이 책에 나온 이야기들이 잘못되었다는 말은 아닙니다. 저 자신을 스스로 돌아보게 되는 내용들도 상당히 많구요. 개인적으로 두번째 챕터인 '지독하게 일해보기'의 경우, 읽다보니 상당히 찔리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왜,  이적+유재석의 '말하는대로'의 가사에도 나오지 않던가요.

'사실은 한번도  미친 듯 그렇게 달려본 적이 없었다는 것을 생각해 봤지.'


단순히 직장생활 뿐 아니라 학교 다니던 시절 등을 생각해 봐도, 정말 미친 듯 달려본 적이 없는, 말 그대로 죽은 사람의 생명선 마냥 평평하기 그지없는

 삶을 살고 있다는 생각에 미치게 되었습니다. 나름대로 제가 지금껏 살아온 길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들어 주는 부분이었죠.

하지만, 같은 챕터에서 이런 종류의 책을 싫어하게 되는 이유까지 같이 나왔다는게 좀 아이러니 합니다. 이 챕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아니, 그 정도로 일했으면 됐지, 뭘 얼마나 더 하라는 말이냐"고 반문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노동자들의 근로시간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깁니다.
~~ 그러나 착각해선 안 됩니다. 근로시간이 길다고 노동의 강도가 꼭 높다고 할 수는 없으니까요. 노동생산성을 비교해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근로자의 1인당 노동생산성은 OECD 회원국 30여 나라 중 23위밖에 안 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 책이 기업 등이 아니라 개인에게 쓴 글이기에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만, 노동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이 설렁설렁 일하는 직장인들이 문제가 있어서 그랬다는 투의 이야기는, 저로서는 좀 동의하기가 힘들더라고요. 모든 일을 끝마쳤음에도 직장상사가 퇴근을 안하기에 짱 박혀 있는 경우도 부지기수고,  정말 피 토할 정도로 일을 해도 야근 할 수 밖에 없는 기업 구조 등의 문제를 먼저 지적해야 하지 않았을까요? 저로서는 상당히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었습니다.


언젠가는 떠나야 할 직장을 후회하지 않고 떠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까지는 좋았지만, 뭔가 고리타분하고 모든 것을 포괄한다기 보다는 개인의 생활을 기초로 하여 적은 글이기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책이었습니다. 만약 이 책을 통하여 뭔가를 얻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저로서는 그냥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과 같은 자기개발서를 보라고 권유해 드리고 싶네요. 사실 그쪽이 더 재미있으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