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를 창조하는 새로운 복제자 밈
수전 블랙모어 지음, 김명남 옮김 / 바다출판사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명은 어떻게 탄생하였을까? 다양한 답변들이 나올 수 있겠지만, 여기에 대해서 제일 잘 대답해 줄 수 있는 분야는 생물학적 분야이다. 생명은 진화를 통한 오랜 시간 경과에 의한 결과물 중 하나이다. 인간을 예로 들어보자면 원시세포에서부터 시작하여 물 속에서 어떤 생명체를 지나 막강 파충류들이 넘쳐나던 공룡의 시대를 버텨낸 조그만한 포유류에서 호모 어쩌구 저쩌구들을 거쳐 지금의 인간이 되었다는 것이다. 

밈의 창시자인 리차드 도킨스는 자신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실로 발칙한 이야기를 한다. 진화의 과정에서 최종 승리자는 인간이나 원숭이와 같은 진화의 현재 결과물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우리 몸 속에 있던 유전자라는 것이다. 유전자는 자기 복제라는 단순한 원동력 하나로 자신을 계속해서 복제해 갔고, 그 복제의 결과물이 바로 현재의 생명체라는 것이다. 즉, 우리는 그저 유전자가 복제하다 보니 탄생한 것일 뿐이며, 그렇기에 생명체는 그저 유전자를 운반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생물학적으로따져봤을 때 이 세상의 진정한 승리자라 할 수 있는 것은 생명체를 통하여 자신들을 끝임없이 복제하는 유전자라고 말한다.  

 하지만, 여기서 도킨스는 또다른 복제자를 불러왔다. 그 복제자는 유전자와 같은 생물학적 복제자가 아니라, 바로 인간이 만들어 낸(혹은 그렇게 믿는) '밈'이라는 존재이다. 그리고 수전 블랙모어는 도킨스의 '밈'개념을 개승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밈'이란 무엇일까? 간단히 말하자면 문화 복제자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여타의 동물들과 다른 큰 이유는 바로 자기 문화를 만들어 낼 줄 안다는 것이다. 어쩌면 그것은 단순한 유행일 수도 있고, 혹은 우리의 역사에 뿌리 깊은 무엇인가(종교나 예의범절)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화는 계속해서 복제되고 전파된다. 내가 했던 것을 다른 사람이 보고 따라할 수도 있고, 다른 이유로 계속해서 전파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사된 문화는 계속적인 변종들을 탄생시키게 된다는 것이다(진화론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유전자 역시 계속되는 복제와 그 사이에 나오는 돌연변이로 인하여 새로운 변종이 나오지 않는가?). 

이와 같은 밈 전파는 단순히 문명에만 그런 힘을 미치지 않는다고 블랙모어는 설명하고 있다. 특정한 밈이 전파된 사회에서는 그 밈을 보다 잘 적용하는 사람이 강한 영향력을 끼치게 될 확률이 높다. 개인적으로 그와 같은 밈 사례를 생각해보자면, 현재 사람들이 선호하는 작은 개가 뛰어난 예라고 할 수 있다. 작은 개들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개들이 아니었다. 하지만 사람들이 보다 키우기 쉬우면서도 계속해서 작은 채로 있는 강아지를 선호하는 밈이 늘어나고 강해지면서, 지금과 같이 작고 귀여운 개들(강아지들 말고)이 탄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처럼 밈은 단순히 문화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또다른 복제자인 유전자의 복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랙모어는 유전자에서 더 나아가 인간의 자아 의식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인간이 스스로 생각하는 자아라는 것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은 사실 다양한 밈들에 의해서 지배되고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인간의 자아라는 것은 과학적, 철학적으로 따져봤을 때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다양한 밈들이 인간의 몸 속에서 각각 투쟁을 벌여 승리한 밈이 인간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음... 솔직히 말해서 나도 잘 이해가 안간다. 아니, 밈들이 인간의 의식을 지배한다는 주장은 충분히 이해가 가고 또 대충 인정할 수도 있지만, 자아의 개념 설명은 뭔 말인지 이해 못했다는게 정확할 듯 하다.) 

사실 오래전부터 책 속의 밈개념과 비슷한 생각을 해온 나로서는 내 머리속에 정리되지 않던 내용을 싹~ 정리하는 듯한 느낌이었다. 물론 약간 불편하고 생각이 다른 부분도 있는 듯 한데, 과연 모든 것이 밈이라는 개념 하나로 설명이 될 것인지 하는 것이 바로 그것. 생각은 그렇게 하고 있지만 나도 뭐가 불편한 건지 이해를 못하니 패스.

여하튼, 복제하고 복제하는 존재에 의해 만들어진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해서 한번 정도 깊이 생각해 봐야 할 듯하네. 그에 관련된 책들이 뭐가 있으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