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과 다윈의 시대 - 인간은 창조되었는가, 진화되었는가?
EBS 다큐프라임 <신과 다윈의 시대> 제작팀 지음 / 세계사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진화론과 창조론. 어느 누군가는 세기의 떡밥대결이라고 말하기도 하는 이 대결과 관련된 책이니 만큼, 여러가지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이 책에 나온대로 진화론과 창조론은 단순히 과학과 종교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사람들의 가치관, 세계관 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그 

렇기 때문일까? 이 책은 진화론과 창조론에 다가가는 태도는 조심스러운면서도 어딘지 회색의 그림자가 보이고 있다는 느낌이 나는 이유가 말이다. 예를 들어 책의 구성을 보면 진화론과 관련된 이야기와 진화론 과학자가 한 부분을 이루고 있으면 그와 다른 주장인 지적설계론과 지적설계론 과학자가 나오고, 그 다음에는 다시 진화론으로 돌아오고... 이와 같은 순으로 계속 되다가 결론에서는 유신론적 진화론자가 나와 진화론과 창조론은 서로 상반된 이야기가 아니라는 내용으로 끝을 내고 있다. 즉, 현재 진화론과 지적설계론이 논쟁을 해야 한다는 듯한 분위기가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 자체가 책의 의도일거라  생각된다. 이미 처음 들어갈때부터 우리나라에서 그와 같은 논쟁이 없다는 내용과, 해외에서는 이와 같은 논쟁이 많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는 내용들이 있으니 말이다.(우리나라에서 논쟁이 안되는 이유는, 어느 하나의 텃세가 강하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무관심하기 때문이라 보는게 더 맞지 않을까 싶지만...). 혹은 내가 진화론을 이해하고 문자주의 창조론을 믿지 않기 때문에 이런 생각을 보다 강하게 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과학의 영역과 종교의 영역에 있는 것을 굳이 논쟁해야 한다는 듯이 말하는 것도 조금 이상한 것이 아닐까?

아마 이와 같은 기분으로 인터뷰를 거절한 교수님들이 많을 거라 생각한다. 또 지적설계론측의 목적이 '논쟁하게 만들라'는 것은 생각해 볼만한 이야기이다. 

진화론과 창조론과 관련된 흥미로운 책이라고 할 수 있지만, 역시나 어딘지 찝찝한 기분이라는 것은 숨킬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