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자고 결혼했을까 - 결혼을 인생의 무덤으로 만들지 않기 위한 애착의 심리학
오카다 다카시 지음, 유미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결혼제도가 주는 문제는 비단 개인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세계 공통의 문제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느꼈다.

남편이 사라졌으면 좋겠다라는 제목에서 혼자 빵 터졌다.

나만이 그런 생각을 하는게 아니였어! 하고 쾌재를 부르면서도, 씁쓸하게 웃을 수 밖에 없었다.

무엇이 우리를 그렇게 힘들게 하는걸까?

단순히 어렸을 때 보고자란 부모님의 삶의 영향과 개인의 성향에 따른 것이라는데,, 그렇게 치부하기에는 왜 이러한 문제가 결혼을 하면서 다른 사람과 같이 살다보니 나타나는 것일까?

그 전에 우리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지도 모르는데...

 

결국 책에서도 제시하듯이 우리는 결혼제도 속에서 또다른 삶을 찾아가야한다.

상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나는 나대로 살아가야한다.

서로 구속하지 않고, 그 속에서 자기계발을 해야한다.

상대를 만난건 어쩔수 없는 팔자려니 생각하고 또 다른 나를 찾아가야한다는 것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애석함을 금치 못했다.

사랑이라는 한낱감정에 휘둘려 결혼을 했는데, 거기엔 예상치 못한 폭탄을 안고사는 셈이다.

우리는 왜 사랑이라는 감정하에 상대의 모든것을 이해해줘야할까?

결국은 사랑이라는 결론도 마음에 들지는 않는다.

 

난 이땅위의 결혼이란 제도가 잘못되었음을, 이 책을 읽으면서 더 뼈저리게 느꼈다.

우리가 진정 행복하려면,,, 결혼은 걸림돌이 될 뿐이다.

더욱이 대한민국에서 결혼은 당사자간의 결합이 아니라, 집안과 집안의 만남이라하여 한 개인도 감당하기 벅찬데, 그 개인이 속했던 문제의 집단까지 상대해야하니,, 대한민국의 남아선호사상, 조선시대 가부장적인 적폐를 청산하지 않고서는,,,

아직까지도 대한민국의 여성은,,  그 옛날 지참금 명목으로 팔려가는 며느리 입장이, 지금은 사랑이란 감정에 현혹되서 팔려가는 것과 다름이 없어서 아쉽다.

 

책 제목대로, 어쩌자고 결혼했을까... 이래저래 많이 아쉬운 21세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