꼴 1 : 얼굴을 보고 마음을 읽는다 - 허영만의 관상만화 시리즈
허영만 지음, 신기원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영만의 만화 스타일은 타짜 이전과 타짜 이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요컨대, 작품성과 상업성이라는 양 극단을 달리는 만화가인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 그의 전작들이 세간의 인정을 받으면서 국내 최고의 만화가로 발돋움할 수 있게 되었는데, 몇 몇 작품들은 영화화/드라마화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내가 독자로서 아쉬운 점은- 그의 만화가 유명해지는 것은 좋은 일이나- 점점 허영만만이 가질 수 있는 고유의 색채를 잃어간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의 작품들에서 이런 경향이 짙게 나타나는데, 부자사전과 식객이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부자사전이야 허영만이 원작을 리메이크한 셈이니 어쩔수 없다 치고, 식객의 경우는 개별 에피소드를 따로 독립해 볼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만화로서 연결시켜 이어보면 전반적으로 국내 요리 소개서에 가까워진다. 그래도 여기까지는 괜찮다. 그 취지도 나쁜 편이 아니었고, 요리를 소개하는 내용도 전반적으로 무난했기 때문이다.  (다만, 의정부 부대찌개의 경우 만화와는 영 딴판이었다. 식객 출연 음식점이라고 간판을 걸어놓을정도로 광고 효과는 있었을지 모르겠으나, 어디어디에 소개되었다는 맛집의 맛이 으레 그렇듯이 가격에 비해 그다지 맛있지는 않았다. 불친절하기도 했고.)

 그러나 "꼴"이라는 만화는 어떤 식으로도 납득하기가 힘들다. 일단 캐릭터들도 그다지 개성이 없는 편이고(인위적인 캐릭터라는 느낌이다), 그 내용도 꿈보다는 해몽 쪽에 가깝다. 만화로서도 실패했고, 상업적인 요소로서도 그다지 좋은 평가를 주기가 힘들다.

  한 만화 작가로서 물론 누구나 자기가 그리고 싶은 것을 그리는 창작의 자유가 있고, 따라서 잘팔릴 것 같은 부자사전이나 타짜나 식객을 그리는 것, 이해할 수 있다. 상업적이면 어떤가? 굳이 어떤 사명감에 불타 예술 만화만을 그릴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독자에게 아무것도 주지 못하는 만화는 용서될 수 없다. 적어도 내겐 이번 출판물은 재미도 없고 감동도 없으으며 종이낭비에 불과했다. 따라서 나는 이 책이 만들어 낼 수 있는 가치는 오직 돈 뿐-그것도 헛되이 돈을 쓴 것 같아 매우 불쾌한 경우-이라고 생각한다. 사서보지 말고 그냥 서점에서 대충 보고 나오길 권한다. 빌려보기에도 돈이 아까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