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쟁이 가계부로 재테크하라 - 따라 하면 돈이 모이는 기적의 시스템
정병욱(로댕)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5평짜리 원룸에서 신혼생활을 시작하여

최근에는 수도권 아파트로 내집마련에 성공한 정병욱님의 가계부 작성에 관한 저서다.


저자는 직장인이 받는 월급으로는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일찌감치 깨닫고 투자를 위한 몫돈마련의 네비게이션이 돼줄 가계부를 좀 더 실용적으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얻은 비법을 이 책을 통해 알려주고 있다.

저자는 평소에도 <크댕부부가 사는 방법> 이라는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재테크와 관련된 정보를 통해 여러 이웃들과 소통하고 있다.


나도 본격적으로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기 전까지는 계좌를 만들고/적금을 드는 방법 외에는 아무것도 필요없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이자가 5%인 시절, 100만원을 넣으면 1년에 5만원이나(?) 주는데 굳이 뭘 공부해야하나 했던 시절이 있다.


이 책의 초반부에는 저자의 사회초년 경험을 통해 경제와 자본주의에 대해 깨우치게 되는 부분이 나오는데 나 또한 이 부분에는 빙의되어 읽었다....ㅠ.ㅠ (왜 그랬을까...ㅠ)

물론 저축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게 다가 아니라는 사실을 왜 직장생활 10년한 다음 깨달은건지..


너무나도 공감되는 부분으로 시작되어 '그럼 그 다음은 어떻게 하면 되지?'라는 마음으로 계속 읽을 수 있었다.

시중에는 각종 가계부 작성 방법에 대한 책이 많다. 또한, 유튜브나 블로그 등에서도 가계부와 관련된 정보가 무수히 쏟아지는 실정인데,이 책만큼 가계부를 '보는 것' 이라는 관점으로 해석한 건 처음인 것 같다.


보통, 가계부를 쓰게되면 '다 썼다!'는 결과물만 볼 뿐, 작성하다 지치게 되어 그냥 한 페이지짜리 종이가 되기 일쑤였다.

그래서 우리집에도 일주일 정도 쓰다가 만 가계부 노트가 몇 개 있다...

저자가 강조하는 '보는 가계부'란, 숫자와 테이블만 적혀있는 종이에 그치지 않고, 내 자산의 변화 추세, 그리고 예산 내 사용 및 전체적인 자금계획을 한 눈에 보이게끔 함으로써 가계부를 실용적으로 활용하고 계속 이어나갈 수 있는 힘을 가진 가계부라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비용을 통제하지 못하면 이는 다시 부채가 증가하게 되는 악순환 구조가 발생할 수 있기에

가계부를 통해 낭비되는 항목을 잘 체크해보자!


저자는 가계부를 작성할 때도 먼저 '구체적인 목표'를 세울 것을 강조한다.

숫자로 적혀진 구체적인 목표가 있을때 비로소 매월 저축(순이익)해야 하는 금액을 정할 수 있고

이 금액을 지키기 위해 전체적인 재무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5년 후 내집마련을 위한 1억 씨드 모으디 -> 1년에 2천만원 모으기 등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해보자!

원동력이 있을 때 가계부를 지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각 장 마지막 부분에는 그 장에서 설명한 내용(주로 가계부 항목별 특성)에 대해 실제로 엑셀작업을 하는 부분이 나온다. 거기에 기본적인 엑셀 함수에 대한 친절한 설명은 보너스! 한 번 따라해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저자의 블로그에 엑셀 파일이 있다는 사실은 안 비밀^^)

이 외에도 기본적인 재테크에 대한 내용을 사회 초년생이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잘 쓰여진 책이기에 아직 재테크의 'ㅈ'도 모르는 분, 사회 초년생, 가계부 쓰기를 몇 번이나 포기했던 분들이라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볼 것을 추천드린다.

마지막으로, 이 책에서 가장 와닿던 글귀와 함께 서평을 마치고자 한다.

열심히 공부하면서 투자를 해도

단기적으로 삶에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가게부에서는 그런 변화가 보인다.

순자산이 꾸준히 증가하고 열심히 저축하고 있다고

가계부가 알려준다.

나는 가계부를 보면서 스스로를 응원한다.

"그래. 잘하고 있구나! 앞으로도 열심히 살아보자!"

p.232 [Part 6. 이제 가계부를 작성해야 할 때] 에서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견해입니다.

#월급쟁이가계부로재테크하라 #보이는가계부 #매일경제출판사 #정병욱 #로댕 #크댕부부 #가계부 #매경출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