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의 경제학 - 인간은 왜 이성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없는가
피터 우벨 지음, 김태훈 옮김, 이인식 해제 / 김영사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뉴스에서 패스트푸드 음식에 비만세를 물려 비만인구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는 나라들이 많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자본주의에 사는 우리 소비자들은 과연 항상 이성적이고, 현명한 선택을 할까.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 드물 것이다. 자본주의의 핵심은 소비자가 돈을 번만큼 마음껏 소비할 수 있다는데 있다. 그러나 현대의 소비자들은 더욱 깊은 욕망에 시달릴 뿐,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 우리는 소비를 할 때 심리적, 환경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게 되고, 스스로 알지 못하는 사이에 비이성적인 소비를 하게 된다. 이 책의 저자는 행동경제학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비이성적 선택을 설명하는 것과 더불어 국가의 부드러운 개입을 주장하고 있다. 

 자유소비시대에 소비자는 무엇이든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그런 통제되지 않는 자유는 소비자로 하여금 나쁜 선택을 하게도 한다. 또한 현시대 같은 마케팅 시대에 소비자는 기업의 표적이 되어 마케팅 전략에 쉽게 희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소비자는 알게 모르게 심리적으로 타의에 의한 소비를 하게 되기도 하고, 당시에는 이성적인 선택인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 잘못된 선택을 하기도 하는 것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행동경제학’은 이러한 소비자들의 행태를 논리적으로 검증하고, 소비자들의 행복을 위해 국가가 추구해야할 방향을 제시한다. 국가의 부드러운 개입을 통해 나쁜 소비를 인위적으로 막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스스로 유익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결정되어야한다. 자유로운 소비는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지만 소비자의 심리에 한계가 있음을 안다면 국가의 이런 개입은 꼭 필요하다. 그렇게 국가는 소비자라는 양떼를 더 영양가 높은 풀밭으로 이끄는 양치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