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네 시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껏 내가 읽어 본 아멜리 노통브의 작품에는 거의 다 얼마 되지 않는 등장인물과 단순한 구조의 사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뒤틀린 인간상이 제시된다. 하지만 그 단순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그 메시지는 강력하고, 허를 찌른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야수성을 간직한 채 멀쩡한 껍데기만 뒤집어쓰고 사는 것은 아닐까. 예상치 못한 상황에 처하게 될 때 우리는 내안의 진짜 나와 마주하게 된다. 

 이 책에는 상반되는 두 쌍의 노부부가 등장한다. 어렸을 적부터 서로를 유일하게 지극히 사랑하며 평범하게 살다가 남은여생을 보내기 위해 시골로 이사 온 부부, 그리고 그 이웃인 장애를 가진 부인과 성격이상의 의사부부가 그들이다. 고등학교 교사로 행복한 삶을 살아온 에밀은 오후 네시만 되면 찾아오는 불청객 덕분에 점점 자괴감으로 내면이 무너지게 된다. 부당함에 제대로 항의하지도 못하고, 평생의 자신의 모습과 삶은 하찮고 지루한 삶이었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삶 자체가 불행인 이웃남자의 고통을 점점 이해하게 된다. 삶으로부터 탈출할 시간만 기다리며 사는 남자의 불행에 공감한 에밀은 자신안의 또 다른 나를 끌어내게 된다. 짧은 기간 동안 에밀은 평생 자신이라고 생각했던 그 자아가 흔들리고, 내면에서 파괴되고 만다. 오후 네시의 방문이라는 단순한 사건에서 출발했으나 그 끝은 한사람의 정체성마저 바꾸어 버리고 만다. 

 동화 같은 전원에서 완전히 다른 두 집의 대조는 부부만큼이나 두드러진다. 평온하고 사랑이 넘치는 집과 더럽고, 악취 나며, 사람이 살기 힘든 집의 대조는 우리 내면의 극단적인 양면성을 나타내는 듯하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익숙해져 있을 뿐 반드시 지금의 자신이 확실한 나라고 단정 지을 수 있을까. 자신 안에 갇혀있는 남자와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 안에 갇혀있는 남자. 그들은 곧 우리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아멜리 노통브의 작품은 언제나 우리에게 삶의 핵심적인 물음표를 던져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