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의 언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큼이나 강렬한 내용의 고전인 이 책을 나는 참 좋아한다. 영국의 한 시골에서 짧은 생을 살다간 시골처녀의 유일한 작품이라고는 믿을 수 없을 만큼 격정적이고, 생생하다. 영화와 연극으로도 만들어져 제목은 낯설지 않은 훌륭한 고전이다. 언덕꼭대기에 위치해 폭풍이 불어도 바람을 정면으로 맞받을 수밖에 없는 워더링 하이츠에서 잔인하고도 슬픈 이들의 삶과 죽음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본 하녀, 엘렌의 눈을 통해 그려지는 이야기다. 그러나 결코 그 이야기는 아름답거나 숭고한 이야기만은 아니다. 배경이 되는 자연환경도 그렇지만 이들에게 사랑과 복수로 버무려진 인생은 그야말로 폭풍이다. 사랑과 편안함이 깃든 교양 있는 곳 ‘드러시크로스 저택’과 야만적이고 비난이 난무하는 ‘워더링 하이츠’ 가깝고도 먼 두 저택 사람들은 얽히고설킨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몰락해간다.

 언쇼가의 주워온 아이 히스클리프는 본능적이고 욕망의 화신인 야수같은 인물이다. 캐서린에 대한 애증과 열등감으로 평생 증오와 복수만을 품고 살아간다. 히스클리프는 캐서린이 죽고 난 후 자신을 그렇게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언쇼가와 린튼가에 대한 보복으로 재산에 대한 탐욕과 집착을 더해만 간다. 속을 알 수 없는 히스클리프의 악마근성에 주요 인물들과 그 2세들의 삶은 농락당하고 짓밟힌다. 하지만 죽을때까지 캐서린의 유령마저 기다리며 함께 하고자 한 측은한 인물이기도 하다. 캐서린에 대한 집념으로 살다가 나중에는 초현실적인 사랑을 이루게 된다. 보는 내내 독자는 악독하고 잔인한 히스클리프의 성격과 행동에 몸서리쳐지면서도 기구한 그의 운명에 놀라기도 하고, 현실을 초월한 한 여자에 대한 사랑으로 자신마저 괴롭히며 사는 히스클리프에게 강한 인상을 받았다.

 증오와 비극으로 점철된 주인공들의 화해와 행복 따위의 감상에 젖어든다면 크나큰 오해다. 이 책의 등장인물들은 한결같이 거칠고, 내면의 야수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전체적으로 인간의 아름다움이나 선함 같은 것은 존재하지도 않으며 환경을 통해 밑바닥으로 곤두박질 칠 수밖에 없는 약하고, 본능적이고 이중적인 인간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유의 음산하면서 어두운 분위기는 소름끼치기 보다는 오히려 다른 작품들에 비해 더욱 강렬하고 인간적이어서 몇 번을 읽어도 빠져들게 된다. 인간의 삶이란 선과 악처럼 이분법적으로 뚜렷하게 경계를 지을 수만은 없다. 고전에서 흔히 나타나는 권선징악의 형태를 탈피해 복잡한 인간사와 인간의 내면을 가장 입체적으로 그려낸 고전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