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가 바보들에게 두 번째 이야기 김수환 추기경 잠언집 2
김수환 지음, 장혜민(알퐁소) / 산호와진주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민을 담는 그릇 ‘옹기’가 되고 싶으셨다던 김수환 추기경의 잠언집 두 번째 이야기다. 살아계실 때는 물론이고, 마지막까지, 그리고 그 후까지 세상을 환하게 비추고 가신 분이다. 요즘은 남에게 져주기만 하고, 베풀 줄만 아는 사람은 바보라고 한다. 그렇다면 김수환 추기경은 바보 중에 바보다. 그런데 왜 남들은 돌아보지 않고, 자기 잇속만 차리며 영리하게 사는 현대인들은 행복하지 않을까. 그 해답이 여기에 있다.

 “자기 자신 역시 남과 같이 가난하고 불행할지라도 자기보다 남을 먼저 생각할 줄 안다면, 거기서 인간의 구원은 시작될 것입니다.” p.41
언제부턴가 타인을 신뢰할 수 없는 세상이 되어버렸다. 상대로부터 마음을 닫고, 대화를 잊은 채 사는 현대인들에게, 특히 요즘의 젊은 세대들에게 배려와 존중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다. 현대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인 황금만능주의, 양심의 부재, 극심한 이기주의 문제를 환기시키며 경종을 울린다. 김수환 추기경께서 가장 강조하신 덕목은 사랑이다. 이기심을 누르고,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며, 가까운 내 가족, 친구들뿐만 아니라 인간을 사랑하는 그 마음 자체가 중요하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생각했다. 이 책의 전편을 읽고 나는 무엇이 달라졌는가. 그리고 나는 앞으로 나의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

 “이웃사랑 실천이란 단순히 자선을 베푸는 것이 아닙니다. 그냥 가난한 이를 돕고, 여러 가지 봉사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에서 소외된 사람이 있다면 바로 그를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것입니다.” p.162
우리 한사람, 한사람은 세상과 사회를 이루는 조각이다. 누군가 큰 그림을 변화시켜주길 바라기 보다는 그 조각조각이 조금씩 달라질 때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그림, 새로운 세상이 될 수 있다. 정신적으로 마음과 의지가 부족한 현대인들을 김수환 추기경은 꾸짖지 않고, 그 모자람마저 사랑으로 품으셨다. 이 책을 읽은 나는 감동받는 것에 그치지 말고, 말 한마디와 마음 한 구석이라도 배려와 존중을 잊지 말아야겠다. 1편이 주로 인간 개인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2편에서는 다소 그 범위가 넓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개인도 중요하지만 세계 속에서 우리나라가 추구해야할 가치와 모두 잘 살기 위해 세계가 나아갈 길은 오직 나눔과 사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