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릇한 친절 - 캐나다 총독 문학상, 의회 예술상 수상작
미리암 토우스 지음, 황소연 옮김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의 삶은 죽음, 최소한 죽어가는 과정의 그림자라고 말하는 냉소적인 한 소녀의 눈으로 바라본 미국 한구석의 메노파 마을의 이야기다. 메노파는 개신교 교파로서 휴거를 기다리며 거의 모든 문화생활을 금지하고 세상과 분리되어 엄격한 규율로 통제받는 공동체 생활을 하는 실제 존재하는 종교이다. 마음속에 열정을 가득 담은 채 종교에 의해 희생을 강요당하고, 생활의 억압을 견디지 못해 집을 나가버린 언니 태쉬와 교회에서 파문당한 후 떠나버린 엄마 트루디, 우유부단하며 현실에 순응하며 엄마를 기다리는 아빠, 이렇게 해체되어 버린 집에 아빠를 돌보며 가족이 다시 모여살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품고 사는 주인공 노미가 있다. 

 주인공 노미는 자신과 가족들의 삶을 억압하는 그 종교적인 규율과 교리를 이해할 수도 없었고, 좋아하지도 않았다.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따라야하는 부조리 때문에 엄마와 언니가 떠나면서 큰 혼란에 빠지고 만다. 노미는 현재는 부정하고 미래만 바라보는 종교에 거부감을 느끼게 된 것이다. 현재의 삶 또한 사랑하고 싶은 노미는 그저 가족모두가 모여살기를 바라는 십대 소녀일 뿐이다.  

 빠른 템포의 기상천외한 묘사로 스피드하게 상황을 설명하는 문체가 신선하고 색다르다. 가령, 엄마의 특이성을 얘기하며 엄마의 내부가 별안간 생일 케이크를 덮친 전기톱 같다고 말한 대목이 그렇다. 또한 처음부터 끝까지 사람들과 사물을 바라보는 노미의 시각이 차가운듯하면서도 내면에는 모든 것을 보듬고 마는 따뜻함이 느껴진다. 가족들이나 주변 아이들을 얘기하는 대목이 그렇다. 

 나는 가끔 종교가 나중의 삶을 위해 현재의 생활과 삶을 무가치 하다고 간주하는 듯한 태도에 이해가 되지 않을 때가 있다. 나또한 교리대로만 살아지지는 않는 삶과 신앙과의 괴리감 때문에 혼란스럽고 번민하는 사람이기에 크게 공감이 갔던 책이다. 종교에서는 단한번의 이탈행동으로 이 책에서처럼 파문까지는 아니더라도 부정적인 선입견으로 종교를 떠나고 마는 경우가 많다. 종교라는 것은 벼랑 끝에 몰린 사람들을 포기하지 않고 구원으로 이끄는 것 아닌가. 인간들의 삶에서 종교의 역할은 무엇이며, 한편 미래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삶도 오롯이 나의 삶이 아닌가...종교적으로 많은 생각을 하게 됐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