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부모 : 청개구리 길들이기 편 - 말 안 듣는 3~7세 아이 변신 프로젝트
EBS 부모 제작팀 지음, 김수권 감수 / 지식너머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스러운 현상_ 청개구리같은 아이]

다섯살된 울집 아들... 청개구리같다는 생각이 떠나질 않았다.

뭘 해도 서로 부딪히는 것 같고, 뭐가 그렇게 속상한지 화도 내고, 엄마랑 안 놀겠다며

눈물을 흘리는 요 녀석 때문에.. 괜히 내가 아이를 잘 못 키우고 있는 것 같은 그런 마음과

직장맘이다보니, 내가 너무 소홀하게 해서 아이가 나에게 화가 났나 싶기도 하고..

그러던 중에 EBS부모 청개구리 길들이편을 만났다.

부모의 바른 훈육이 아이를 변화시킨다는 문구.. 그리고 아이와 갈등하고 힘들어하는 부모를 위한

'특급 부모코칭법'이라니... 정말 내게 필요한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사춘기가 오는 시기로 갈수록 적이 아닌 아군이 되어야는데..

우린 벌써 적이 된 듯.. 그렇게 서로 마음에 상처를 주는 말을 할때가 있다는 생각이 떠나질 않았기 때문에,

지금 이 시기에 이 책을 만난 것은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청개구리같은 내 아이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엄마의 마음을 다독여준다.

발달 과정에서 아주 자연스러운 것이라 말한다. 아이도 나도 잘못한 것이 아닌

청개구리 아이를 가르치고 이끌어주는 훈육과 더불어 청개구리가 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과정이 필요함을 인식시켜준다.

그렇다면 어떻게.. 청개구리에게 훈육을 할 것이며, 보다 올바른 훈육의 방법은 무엇인지

잘 알지못하는 초보 엄마에게... 그 방법은 여간 쉽지가 않았는데.. 그러한 방법과

훈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이 책을 통해 일어났음에 감사하다.


 

 

[훈육_먼저 친밀한 관계가 우선이다]

훈육은 부모가 아이에게 일방적으로 지시한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니라,

서로 친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그래.. 맞다.. 친한 사람이 이야기하는 것은 귀기울여 듣게 되지만,

별로 친하지 않은 사람이 조언이라고 하면.. 별로 듣고 싶지 않은 어른들의 심리와도 관련이 있을 것 같다.

아이에게도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싶은 마음이 있어,

상대에게 잘 보이기 위해 자신의 문제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는 것..

이것이 바로 자신의 행동과 문제를 고치는 훈육이 되는 것이겠지..

[훈육보단 아이의 마음 먼저 어루만져주기]

그래.. 뭐든 훈육을 통해 문제 행동만 잡으려는 부모도 문제란 생각이 든다.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하고, 왜 그렇게 말을 하는지에 대한 관심도 없고,

그저 눈에 보이는 행동과 말만을 자신의 틀에 맞춰 놓으려는 욕심..

부모도 그러한 욕심을 버리고, 아이의 마음을 먼저 어루만져주며

공감해주고, 따뜻하게 안아주고, 다독여줘야 하는 것임을...

그러기 위해선 아이를 정말 늘 잘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의 이야기에 귀기울여듣고, 존중해주고, 아이의 문제 행동이 왜 일어났는지에 대해

먼저 부모로써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 그리고 그 다음 눈높이에 맞춘 소통이 일어나야 하고,

아이에게 있어 훈육이 일어나야 함을... 부끄럽지만 알게 되었다.


누구나 좋은 부모가 되고 싶다. 좋은 부모가 뭘까...? 늘 고민된다.

권위적인 부모보다 친구같은 부모가 되고 싶지만.. 그렇다고 아이와 친구처럼 지내면

오히려 아이를 버릇없는 아이로 키울 수 있다고 하니.. 참 육아가 어렵다는 생각도 든다.


부모는... 다정하면서도 단호해야 한다는 것.


부모의 권위를 만들기 위해 첫째 단호함과 둘째 부드러움, 그리고 셋째 인간적인 '품격'을

갖춰야 함을... 어떻게 다정하면서도 단호할 수 있을까..?


그러려면 부모가 먼저 감정에 눌려 화를 내는 것들을 인내해야 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부모 자신도 인내하지 못하면서 아이에게 인내하라고 말하는 것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훈육이라는 것이 아무 때나 쓰여지는 것이 아닌, 규칙을 지키지 않을 때 주는 것이라는 것에서

훈육과 아이의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는 것들 사이를 잘 구분하며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을 간과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까지의 내 모습은 그저 청개구리 같은 아이에게 분노를 하고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것보다 화를 내는 것이 먼저였기에 좋은 부모는 아니었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 좀, 아이에게 정확하고 단호한 부분에 있어서 훈육을 하면서도 다정한 부모가 되기위해

나의 감정을 드러내어 아이를 탓하는 것이 아닌, 인내하며 아이를 관찰하고

좋은 부모가 되기위해 아이에게 더욱 더 사랑을 표현하고 마음을 공감할 수 있는

그런 부모가 되어야겠다. 난 여전히, 지금까지도 그래왔고, 앞으로도 울 꼬맹이를 사랑하니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