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의 원가 - 세계 No.1 이익을 창출하는 비밀!
호리키리 도시오 지음,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 옮김, 구자옥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가팀에 있으면서 항상 예로 들거나 레퍼런스용 서적이 도요타의 원가에 관한 책이다.

그만큼 많은 책들이 나와 있고 유명하며 검증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물론 제조업의 성향에 따라 적용 해야 할께 있고 아닐께 있지만

업의 성향보단 원가를 어떻게 이해하고 마음가짐을 어떻게 해야만 회사에 기여 하는 원가절감을 이루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을 먼저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도요타 매니지먼트 연구소 대표이사인 호키코리 도시오 작가의 책이다.

도요타의 최측근인 사람의 바라보는 도요타는 어떨지 궁금했다.

 

다양한 원가관리 기법이 도요타엔 어떻게 적용 되는 지에 대한 설명은 사실 평소에도 봤던 내용들 이였고

 

내게 주목을 끈 부분은 회의가 회사에서 어떤 존재 인지에 대한 것이였다.

 

회의는 부가가치가 마이너스이며, 부가가치가 제로인 부대 업무라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한다.

회의를 한다는것 자체가 마이너스 인데 안할 수는 없다. 그럼 회의를 마이너스에서 제로를 바꾸어야 할지 제로에서 플러스로 하기 위해선 어떤 식의 회의를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 마인드를 가지면 기본적으로 마이너스인 회사에서 무언과 성과를 내자고 의식을 하게되고 그것만으로도 원가절감에서 성공한 사례일 수 있다.

 

회사가 워크아웃 상태일때 하루에도 몇번씩 정말 지겹도로 회의를 한적이 있다.

일부는 매일 회의를 하는거에 대한 피곤함을 토로 했고, 일부는 회사가 살아나기 위해선 필요한 부분이라고 했다. 어쩔 수 없이 하는 회의가 아니라 필요에 의해서 하는 회의 하지만 너무 남발하는것 또한 마이너스가 아닐까 생각 했었다.

 

하지만 회의 하기전에 TFT나 분임조등 각자에게 혁활을 부여해 생각하게 하고 문제의식을 가지고 회의를 하다보니 조그만한 개선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그 조그만한 개선들이 모여서 혁신이 되고 혁신이 바람을 일으켜 워크아웃을 탈출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매번 형식적으로 하는 부서 주간 회의 같은것도

의식을 달리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은 매번하는 회의라 아무 감흥없이 업무보고와 부서 정보 보고만 하는것에 그치기 때문이다.

 

이책을 보며 지금의 회사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낭비 사항들을 대입해 보니

우리 회사는 아직도 멀었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저자가 얘기 했듯이 나도 팀원들끼리 이 책을 돌려보며

" 혹시 내가 원가를 높인것은 아닌가? " 라고 생각하는 자세를 심어주고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