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 삼국지 - 전11권 세트
나관중 지음, 리동혁 옮김, 예슝 그림, 저우원예 기타 / 금토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어릴때 드라마나 만화책 혹은 한두권으로 축약된 동화책 형식으로 삼국지를 많이 접했다.  실제 역사를 담은 내용으로 굳게 믿고 있었는데 성인이 되어서야 우리가 실제 많이 읽고 있는 책은 소설이라는 것을 알았다. 삼국지를 좋아하는 독자로서 역사서로서의 "정사삼국지"를 읽었지만 역시나 소설로 읽었던 삼국지와는 많이 다르며 그 재미 또한 높지 않았다. 특히 쉽게 페이지가 넘어가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삼국지는 오랫동안 꾸준하게 판본이나 번역 문제로 많은 화제가 되었고 그에 반해서 유명한 소설가들이 저마다 삼국지 번역서를 펴냈다. 그런데 정사삼국지를 읽다보면 소설화된 삼국지의 여러 버젼들에 상당한 오류가 있고 내용이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거나 내용상 다른 해석이 있는 경우가 많이 지적이 되었고 보인도 그랬다. 그러던 와중에 낫선 이름의 작가가 쓴 본삼국지가 눈에 들어왔다.

앞서 출간이 되었던 "삼국지가 울고 있네" 를 읽고나서 이문열 삼국지에 대한 마음을 접고 삼국지 전문가로 유명한 정원기 교수와 황석영 작가와의 삼국지 판본과 번역에 대한 온론에서의 다툼을 보면서 삼국지 선택에 대한 고민이 있을때쯤 이 책은 내 손에 들어왔다. 여러 판본을 아우른다고 해서 오히려 책 읽기가 혼란스럽지는 않을까 걱정했지만 오히려 삼국지를 이애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작가가 삼국지에 대한 서술하는 방석이나 중간 중간 해설, 설명하는 방식이 다른 삼국징하는 달라서 더욱 신선했다.

내용 뿐 아니라 편집이나 구성, 정보상식에 도움이 되는 내용까지 함께 담은 이 책은 확실히 다른 삼국지와 차별을 이룬다. 작가의 유명세에 크게 좌우되는 우리나라 삼국지 혹은 역사소설의 경향에 변화가 온다면 좀 더 많은 독자들이 이 책을 찾을 것 같다. 괜찮은 선택이다. 이 여름, 휴가철에 읽기에는 가장 괜찮은 역사소설이라는 생각이다. 삼국지를 읽는 사람과 읽지 않은 사람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그런 부담보다는 그냥 세상살이의 지혜를 고전에서 얻는다는 생각이면 좋을 듯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