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2 - 비단길이 번영을 이끌다 (300년~1000년) 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2
최진열 지음, 서영아.김수현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하!  선생님과 아이들이 마주보고 이야기하는 것이라서 ~~ 단다, ~~ 꾸나로 끝맺음말이구나.  많은 분들이 1권을 칭찬해 주시기에 욕심을 내어본 마주보는 세계사교실 2권 받아보고 읽어보고 문제도 풀어보니 역시나~ 하는 생각이 든다.

2권에서는 3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일어난 이야기들이며, 유목민의 대이동부터 당,비잔티움,이슬람,마야제국의 번영까지 다루고 있으며 초원을 떠돌던 유목민들이 어떻게 역사를 이끌며 새로운 주역이 되었는지와 이슬람 제국이 불과 100여년사이에 대제국으로 성장한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되어 있다. 또 비단길이 무력교역과 문화 그리고 문명의 발달과 번영을 이끌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쉽고 재미나게 되어있다. 유목민들은 이동 때문에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대륙사이에 교류가 활발해졌고 개방적이었고 곳곳에 대한 정보도 많이 가지고 있으며, 그정보를 이용할 줄 하는 지혜도 발휘했으며, 필요한 물건을 팔고 사는 생각까지 했단다. '상품과 문화의 세계화' '종교의 세계화'를 이루었으니, 유목민들의 생활상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필요한 지혜와 교훈을 일깨워주고 있다.

 

1. 민족대이동과 새로운 시대에서는  유목민들이 어떻게 세계사에 영향을 주었는지 주인공은 누가 되었는지, 유목민인 훈족의 압박을 피해 서유럽으로 이동한 게르만 족이 유럽 정세에 지각변동이 일으키는 과정과, 북중국을 차지한 유목민들의 문화와 중국의 남쪽으로 밀려난 한족의 문화가 융화되어 수ㆍ 당 문화의 기반이 마련되는 모습을 차근차근 설명해 주고 있다.

 

2. 안정을 되찾은 아프로유라시아에서는 로마 제국을 이은 비잔티움 제국의 중흥, 페르시아의 영광을 계승한 이슬람 제국, 중국 대륙을 다시 통일한 수나라와 당나라, 북쪽 초원 지대를 통일한 돌궐 제국이 번영을 누리면서 인류 문명의 수준이 한 단계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해주고 있다.


3. 아프로유라시아의 교류와 발전에서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오아시스 도시 국가를 거쳐 중국을 지나 신라와 일본까지 이어지는 비단길의 모습과 바다 비단길(바닷길)을 통한 중개 무역으로 급속히 성장하는 이슬람 제국을 보면서 문명 간 교류와 접촉의 기회가 늘어나면, 과학과 기술이 쌓이고 더 발전한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교역로가 개척되면서 아프리카 대륙의 왕국들도 크게 발전하는 모습도 동시에 알 수있다.


4. 아메리카 문명의 발전에서는 미국의 토착 민족인 인디언의 생활 모습과 전성기의 중앙아메리카 마야 제국, 나스카 문명을 포함한 남아메리카 여러 문명이 발전하는 모습을 알수 있으며, 또한 다른 대륙과는 달리 폐쇄적인 자연 환경 속에서 문명 간에 활발한 교류가 일어나지 못한다는 사실에서 문명의 교류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