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변동 : 위기, 선택, 변화 -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19년 6월
평점 :
사실은 여행갈때 이 책을 가져갔는데, 거의 읽지 못했다.
80세가 넘으신 다이아몬드님..총균쇠부터 읽었으니 약 4권정도 읽었다. 이 책은 가장 최근의 책으로 읽은 책마다 다른 분야에 이 분의 해박한 지식은 항상 놀라며 자극받기도 한다.
유발 하라리가 비슷한 느낌으로 쓰던데, 생태학으로 시작했다가 인류학, 지금은 정치, 문화론으로까지 파생된다.
이 책은 개인의 위기와 국가의 위기는 비슷하다는 점에 방점을 두고, 세계의 여러나라중에 위기를 슬기롭게 헤쳐나간 나라, 혹은 더욱 위기에 빠진 나라에 대해 언급하며 어떻게 변화해야할것인가를 이야기한다.
개인의 위기에서 필요한 요인중에 자아강도라는 생소한 단어를 접하게 됬다.
어느 누구에게도 잘 보이려하지 않고 독립된 자아로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전 회복력이라는 단어를 참 좋아하는데, 앞으론 자아강도라는 말을 좋아하게 될것같다.
핀란드는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세나라중 가장 이질감이 있는 나라이다. 언어도 너무 다르고 육지로 뻗은 긴 경계선이 러시아와 맞닿아있어서 전혀 생각지도 않게 구 소련의 지배에 있었고, 아주 잘 소련을 이용해서 현재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나라이다. 어떻게 이 나라는 사회민주주의가 이렇게 잘 발달되게 됬나가 의문이었는데 이제 그 의문이 풀렸다. 세상엔 알아야할 것도, 알고 싶은 것도 왜 이리 많은지.
또한 일본에 관한 내용도 그동안 의문이었던 내용에 대한 연구여서 아주 흥미로웠다.
메이지유신 당시 그렇게 신사적으로 모든걸 받아드리고 경제문화를 선도적으로 이끌었던 지배자들이 제2차세계대전때 그리도 무모한 짓을 할수있을까 의문이었는데,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라난 세대와 국가의 첫승리로 인해 너무나 부풀은 승리의 쾌감을 맛본 세대의 큰 괴리였었다. 몇몇의 판단미스와 얼토당토없는 국가정체성이 세상을 악의 구렁텅이로 만들어버리는 엄청난 일을 저지른 것이었다.
다른 나라의 역사를 아는게 참 흥미롭다. 칠레나 인도네시아의 사건들도 먼나라의 일로 치부해서는 안될것같다. 지구반대편 나비의 날개짓에도 그 반대편에서는 어마어마한 일이 생길수있듯이 한 나라의 큰 정치적 사건들은 우리에게도 분명 영향이 있어보인다.
일본과 같은 환경속에서도 다른 모습을 보여온 독일은 다른 국가의 귀감이 되고 있음이 분명하다. 지형, 문화, 환경등 다양한 요인이 있겠지만, 같은 상황에서 다른 행동과 사고를 이끌어내는 데에는 한 국가의 뚜렷한 국가정체성과 한줄기의 도화선으로 시작된 변화가 눈덩이처럼 커져 결국 큰 변화를 보였음이 분명해보인다.
작가는 수많은 나라중에 모국인 미국과 일본의 장래를 가장 걱정한다. 이제는 남의 나라 걱정이라고 치부할수없다. 이미 세계는 글로벌화되어 세계 반대편의 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니까요.
일본의 과거에 대한 바른 인식과 어느 나라보다 자신의 나라의 물자를 아끼면서도 공해상에서 남획을 일삼지 않는 행태는 보통 일본인의 사고와는 너무나 대치되는 일이라 깜짝 놀랐다.
작가의 모국이기에 너무나 잘 알고 있을 미국..곰곰히 살펴보면 평등을 외치는 민주주의 국가라 할수있나 의문을 갖게 된다. 또한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남의 탓으로 돌려버리고 다른 국가로부터 배우려하지 않는 오만함 등을 보면 미국..미래는 없어보인다.
작가는 생태학을 공부한 과학자로서 국가를 넘나드는 이동성자원에 대해 이야기한다. 회류성 어류들을 공해상이라고 중간에서 잡아버린다면 그것 역시 문제가 될수있다는 것이다.
작가는 과학자로서 미래를 염려한다. 특히나 강대국으로 영향력이 있는 나라를 들어 세계를 걱정하는 것이다.
우린 결국 대변동이 있겠지만, 최대한 예측을 해서 대비해야 한다. 그 대비는 지역간의 연합, 기구를 통한 연합, 다자간협정 세가지를 제안한다..물론 행해지고 있는 거지만, 더욱더 결속력과 심각함을 가지고 행하라는 것이다.
80세가 넘은 노학자의 경고인것이다.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