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의아니게 계속 전쟁관련 책을 읽고 있어요..인간이란 어쩜 전쟁을 통해서 성장했다해도 과언은 아니지만, 참전했던 사람도 남겨졌던 사람도 모두 불행했다. 기록문학, 목소리소설의 표방자인 작가는 노벨상을 받은 작가이기도 하다. 상처를 그냥 덮으면 썩게 된다. 깨끗이 소독해서 독이 되는 건 꼭 후벼파서 약을 발라야 합니다.
서양도 화냥년이 있었군요.
다른 점은 자결을 하라고 하진 않지만, 떠나라고 합니다.
남자의 공간인줄만 알았던, 전쟁터..여성을 버리고 고국을 위해서 살아온 여성들 참 대단합니다.

여성들, 특히 소녀들이 가지않은 전쟁터는 없었다. 그녀들은 오감으로 전쟁을 받아드렸다..'오도독오도독' 이건 뼈 부러지는 소리란다.
녹음기는 한계가 있다. 그녀들의 표정과 손짓, 발짓을 담지 못한다. 작가는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담담히 지켜보나 그녀 역시 참전소녀들, 지금은 할머니들로 변해간다.
속내를 이야기하다가도 금세 훈장을 만지며 무용담을 이야기하는 두 얼굴..슬프지만 작가는 받아들인다.

전쟁중에 미용실에 들러 눈썹을 염색하고, 저격수인데 빨간 모자를 쓰고 저격을 하다니..아무리 군인이라 하지만, 십대소녀는 십대소녀네요.
조국을 위해 기꺼이 젊음을 아름다움을 바쳤겄만 전쟁후에 돌아온건 따가운 시선이더군요.
사실 군대안에서 사랑이 꽃피지 않았던건 아니었죠. 모두의 먹이가 되느니 한사람을 골라 연인이 된 경우도 있고, 마음으로만 몰래 사랑하는 짝사랑도 많았네요..하지만, 같은 곳에서 숙식을 같이 하다보니 진정한 전우애가 생긴게 인상적이었어요. 아파서 끙끙 앓을 때 돌아가면서 서로의 담요를 덮어주는.....
전쟁을 시작한 사람은 남자들이었지만, 전쟁은 남자만의 것이 아니었다.

보상을 받은것같아요..이 책으로..남자보다 더 씩씩하게 전쟁을 이겨나간 여성들..여성이라 본의아니게 약한 척했던 제가 이 책으로 힘을 얻었네요.
머리가 하얘진 할머니가 되어서도 꿈에서는 전쟁꿈만 꾸고, 전쟁을 이야기하면 아파하는 여성들..모른 척 태연한 남성들이 너무나 얄밉지만, 전우이기에 살아남은게 신기하기에 가슴속에 품고 살았던 이야기들.
이런 가슴아픈 전쟁은 없었으면 해요..특히 사상전쟁..이게 최고라고 여겼기에 목숨을 바쳐서 싸웠지요..하지만, 아무런 의미없는 싸움의 희생자가 되어버렸다고 느껴버린다면 어떻게 살아갈수있을까요?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