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ian Astrology 1 크리스천 점성술 지혜를 품은 책 1
윌리엄 릴리 지음, 김고은 옮김 / 좋은글방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최근에 고전 서양 점성술에 관련된  한 번역서인 크리스천 점성술(17 세기 영국의 유명한 점성가의 저서)을 번역 출간한 한의사의 사이트를 우연히 방문해서 글을 읽다가 그분이 자미두수도 공부한 분이라 다른 분들도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동양 점성술의 기원이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고대 점성술에서 비롯되었다는 글 등을 재미있게 읽은 적이 있다.

 

그 분의 주장에 의하면 자미두수의 14주성중 태양(해)과 태음(달)을 제외한 나머지 주성들은 고전 점성술의 Fixed stars (항성 - 항성들은 고유의 Planetary nature를 가지고 있음)을 기원으로 한 것이며, 화록은 용두(Caput Draconis = Dragon's head)이고 화기는 자미두수전서에 화기성의 기원이 계도성(計都星), 즉 Ketu = Cauda Draconis = 용미임을 명시하고 있다는 내용을 읽고 신선한 충격을 받은 적이 있다. 

 

 

* 북두칠성

탐랑 - Dubhe

거문 - Merak

녹존 - Phecda

문곡 - Megrez

염정 - Alioth

무곡 - Mizar

파군 - Akkaid






* 남두육성


천부 - Ascella

천량 - tau (13CAP27 /  14CAP50 / 285 57 18 / -27 44 43 /  -05 04 46 / Magnitude 3.42 /  Class K1)

천기 - Nunki

천동 - Albadah

천상 - Kaus Borealis

칠살 - Polis


 

그분의 주장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점성술이 중국에 들어와 동양에서 7행성 대신에 항성을 이용한 것은 자평 명리(십신 개념도 항성의 성질이며 여기에 10간 12지의 개념과 음양오행 사상이 접목된 것임)나 자미두수 때부터 라고 추측되는데, 사실 동양학에서 사용하는 허성들은 실제 별들에 기원을 하고 있지만 사실은  오운육기의 정형화된 상수학적 이론으로 짜집기된 일종의 요약집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의 별들로 미래를 예측하는 점성술 (고전 점성학이 중국에 들어와 칠정사여(성평회해)가 됨) 이 너무 어렵기 때문에 고인들은 3천년에 걸친 오랜 세월 동안 간편하게 보는 법을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만들어낸 산물(일종의 우주법칙의 요약, 공식집)이 바로 자미두수와 사주추명학 등이라는 것이다.

 

물론 상대적으로 실성보다 허성 체계가 개인의 미래를 예측해보기는 용이하지만, 아쉽게도 이미 정형화된 요약집과 공식들(동양학)에서는 해당 사항들에 대한 특화는 있지만 광범위한 적용이나 학문적 연구에 대한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고 본다.  그래서 실제의 별들을 이용하는 서양, 아랍, 인도의 고대 점성술이 학문적 연구로는 개인적으로 더 큰 매력이 느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만들어진 창제 원리를 자세히 모르고 이미 고인들에 의해 산출되어 만들어진 허성들을 이용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마치 수학의 기본 원리를 모르고 시험에서 단지 고득점을 얻기 위해 선대의 위대한 수학자들이 이미 만들어 놓은 수학 공식을 이용하여 난제를 풀어내는 수험생이 된 기분이 들기 때문입니다.

 

 

<보충사항>

 



구요성 []

 

태양, 달, 수성, 화성, 목성, 금성, 토성의 칠요성 외에 고대 인도에서는 가상의 두 별(라후, 계도)을 포함시켜 구요성이라 불렀다. 이 두 별에 의해 일식과 월식이 일어났다고 생각했으며 점성술에서 이용하여 길흉을 점쳤다.

 


고대 천문학에서는 태양과 달을 각각 일요성()과 월요성()이라 하여 화요성·수요성·목요성·금요성·토요성의 5행성과 동격으로 생각하고, 이들을 '칠요' 또는 '칠요성'이라 하였다. 그러나 고대 인도에서는 칠요성에 나후성()과 계도성()이라는 실재하지 않는 두 별을 포함시켜 이를 구요 또는 구요성이라 하였다.

일식과 월식이 황도()와 백도()의 교차점에서 일어나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별이 황·백도의 두 교차점에 1개씩 있어 이들이 태양 또는 달을 가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점성술에서는 매일의 길흉에 대하여 점을 치는 데 이용한다.

밀교의 만다라()에 구요의 신()과 그 권속을 묘사한 것이 있다. 한편, 고대 중국의 낙서()의 수()에 따른 9개의 별[]을 구요성이라고도 부른다.

 

 

 

탐랑 >

Fixed star:  DUBHE
Constellation:  Alpha Ursa Major  
Longitude 1900:  13LEO47. Longitude 2000:  15LEO12.
Declination 1900:  +62.17'. Declination 2000:  +61.45'.
Right ascension:  11h03m. Latitude:  +49.40'.
Spectral class:  K0. Magnitude:  2.0.
Suggested orb: 1 deg. approx. Planetary nature:  Mer-Ven



History of the star: A yellow star on the back of the Bear, Ursa Major.

The Arabic name for Dubhe is Ad-Dubb (1), "The bear". Dubb, more generally Dubhe, the Bear, is the abbreviation of the Arabians' Thahr al Dubb al Akbar, the "Back of the Greater Bear".

Al Biruni said that it was the Hindu Kratu or Krathu (born from Brahma's hand), one of the seven Rishis or Sages.

Some have asserted that in Egyptian astronomy it was Ak, the "Eye"; i. e. the prominent one of the constellation, utilized in the alignment of the walls of the temple of Hathor at Denderah, and the orientation point of that structure perhaps before 5000 B.C.; at all events, before the Thigh became circumpolar, about 4000 B.C. As typifying a goddess of Egypt, it was Bast Isis and Taurt Isis.

Alpha (this star Dubhe) and beta (Merak) were the Keepers, or Pointers, at the front of the "Dipper Bowl" in Ursa Major; a line extending through these two will direct the observer to Polaris, the Pole Star.

It is one of the "The Plough", also called "the Big Dipper" stars, a bucket shaped figure or asterism in the back of the Bear, outlined by the stars; Merak (beta), Dubhe (this star alpha), Phecda (gamma) and Megrez (delta). In early Arabic astronomy these four stars constituted the coffin or bier (bier and bear come from the same root word) surrounded by mourners of Al Na'ash, who was murdered by Al Jadi, the pole-star (Polaris), and this constellation was seen as a funeral procession, attributing this title to the slow and solemn motion of the figure around the pole.

The Chinese know it as Tien Choo, Heaven's Pivot, and as Kow Ching. (Allen).

    

Influence of the constellation: It is said to give a quiet, prudent, suspicious, mistrustful, self-controlled, patient nature, but an uneasy spirit and great anger when roused. By the Kabalists it is associated with the Hebrew letter Zain and the 7th Tarot Trump "The Chariot". (Robson).

General influence of the star: Credited with the destructiveness of Mars, working itself out particularly in mundane maps, in a nasty way if conjunct Saturn. Conjunct Hitler's Saturn, Mao Tse Tung's Moon. (Ebertin).  

Rising: Those born at the rising of this constellation will be tamers of wild beasts, that is men to teach bears, bulls and lions to lay aside their fierceness and share in human ways. (Manilius 1st century AD).

Setting:  In danger of being killed by wild beasts. (Noonan).




염정 >

Fixed star:  ALIOTH
Constellation:  Epsilon Ursa Major  
Longitude 1900:  07VIR31. Longitude 2000:  08VIR56.
Declination 1900:  +56.30'. Declination 2000:  +55.58'.
Right ascension:  12h53m. Latitude:  +54.18'.
Spectral class:  A0. Magnitude:  1.7.
Suggested orb: 1 deg. approx. Planetary nature:  Sat-Ven



Notes on the star: A star situated on the root of the tail of the Great Bear, Ursa Major - the thickest part of the tail.

This star is known under a number of titles:

The Arabic name for Alioth is Al-Jawn (1), "The black horse". Risalioth is a variation.

Alyat [the syllable Al, in this word Alyat, is not the Arabic definite article] the "Fat Tail" of "the Eastern sheep".

Al Hawar, the "White of the Eye", or the "White Poplar Tree", i.e. "Intensely Bright".

It was Angiras (or Angirasa, Angirasas) among the Hindu Seven Sages. The name Angiras comes from the same root as Agni, fire; many of his functions are associated with fire. Angiras inspires the lawgivers, is an author on astronomy, and is often considered a personification of Brihaspati, the regent of the planet Jupiter, or the planet itself. Aurobindo ascribes to Angiras the role of the revealer of divine enlightenment. (2)

This star is located on the Bear's tail which occurred when Jupiter lay hold of the tails of the two bears, Ursa Major and Ursa Minor, and lifted them up into the heavens by their tails. On the long journey, the tails stretched which explains why these bears have long tails unlike earthly bears.

Ursa Major has been called "the Bear with her train," referring to the stars epsilon (Alioth, this star), zeta (Mizar), and eta (Alkaid) which mark the tail. These three stars along the tail have been depicted as three draught-horses in line, pulling the Plough. "The Plough", also called "the Big Dipper" which is the bucket shaped figure in the back of the Great Bear, outlined by the stars; beta (Merak), alpha (Dubhe), gamma (Phecda) and delta (Megrez).

These three stars in the tail of the Great Bear were also portrayed by the Arabs as "Mourners" around a Bier or coffin (bear and bier come from the same root word). The bier was marked by the Plough or Big Dipper stars as named above. The coffin was followed by "Mourners" (the three stars in the tail; Alioth, Mizar, and Alkaid), as in the Arabic Banat Na'ash al Kubra, "the Daughters of the Great Bier", and this constellation was seen as a funeral procession, attributing this title to the nightly slow and solemn motion of the figure around the pole. These mourners, the children of Al Na'ash, who was murdered by Al Jadi, the pole-star (Polaris), are still nightly surrounding him in their thirst for vengeance. (Allen).



Influence of the constellation: It is said to give a quiet, prudent, suspicious, mistrustful, self-controlled, patient nature, but an uneasy spirit and great anger when roused.  By the Kabalists it is associated with the Hebrew letter Zain and the 7th Tarot Trump "The Chariot". (Robson).

General influence of the star:  In 'the Tail of the Great Bear', it is not supposed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account of its great distance from the ecliptic. However, if Alioth is felt to make an impact, it is Mars like and of a destructive kind. Associated with the Sun, suicidal thoughts will be eminent in female cosmograms. Joined with the Moon, it will be an indication of possible danger during pregnancy and delivery.  
Amalgamated with possible non propitious planets, it will indicate fiascoes, bad fortunes within the family circle or within the profession or disappointments brought about by friends. It is advised not to include these findings in a prognosis, as these records were not borne out by later research. (Ebertin).

Rising: Those born at the rising of this constellation will be tamers of wild beasts, that is men to teach bears, bulls and lions to lay aside their fierceness and share in human ways. (Manilius Astronomica 1st century AD).





파군 >

Fixed star:  ALKAID  Benetnash.
Constellation:  Eta Ursa Major  
Longitude 1900:  25VIR31. Longitude 2000:  26VIR56.
Declination 1900:  +49.49'. Declination 2000:  +49.19'.
Right ascension:  13h47m. Latitude:  +54.23'.
Spectral class:  B3. Magnitude:  1.9.
Suggested orb: 1 deg. approx. Planetary nature: Moo-Mer

History of the star: A brilliant white star on the tail of the Great Bear Ursa Major. The Arabic name for Alkaid or Alcaid is Al-Qa'id (1), "Leader" of the mourning maidens.
In this Al Ka'id we see the derivation, through the Moors, of the modern Spanish word Alcaide the commander or governor of a fortress. Ideler translated the original as the "Stadtholder" [from Dutch stadhouder ‘place-holder’, and was applied to governors of former Dutch colonies].
Assemani transcribed from the Borgian globe Alcatel "Destroying".
Another title Benatnasch from Ka'id Banat al Na'ash, the "Governor of the Daughters of the Bier", i.e. "the Chief of the Mourners".
Al Biruni gave it as Marici or Marichi "A ray of light.", one of the Seven Rishis of India, sons of Brahma. Marichi was father of Surya, the Sun (or the deity presiding over the planet). Marichi is the chief of the Marutas. The Marutas are armed with lightnings and thunderbolts, and ride on the whirlwind and direct the storm. The Marutas, according to Aurobindo, represent the progressive illumination of human mentality, until from the first obscure movements of mind which only emerge out of the darkness of the subconscient, are transformed into an image of the luminous consciousness of which Indra is the Purusha, the representative being (2).
This star is located on the Bear's tail which occurred when Jupiter lay hold of the tails of the two bears, Ursa Major and Ursa Minor, and lifted them up into the heavens by their tails. On the long journey, the tails stretched which explains why these bears have long tails unlike earthly bears.
Ursa Major has been called "the Bear with her train," referring to these stars epsilon (Alioth), zeta (Mizar), and eta (this star, Alkaid) which mark the tail. These three stars along the tail have been depicted as three draught-horses in line, pulling the Plough. "The Plough", also called "the Big Dipper", is the bucket shaped figure in the back of the Bear Ursa Major, outlined by the stars; Merak (beta), Dubhe (alpha), Phecda (gamma) and Megrez (delta).
These three stars in the tail of the Great Bear were also portrayed by the Arabs as "Mourners" around a Bier or coffin (bear and bier come from the same root word). The bier was marked by the Plough or Big Dipper stars as named above. The coffin was followed by "Mourners" (these three stars; Alioth, Mizar and Alkaid), as in the Arabic Banat Na'ash al Kubra, "the Daughters of the Great Bier"; and this constellation was seen as a funeral procession, attributing this title to the slow and solemn motion of the figure around the pole. These mourners, the children of Al Na'ash, who was murdered by Al Jadi, the pole-star (Polaris), are still nightly surrounding him in their thirst for vengeance. (Allen).
Influence of the constellation: It is said to give a quiet, prudent, suspicious, mistrustful, self-controlled, patient nature, but an uneasy spirit and great anger when roused. By the Kabalists it is associated with the Hebrew letter Zain and the 7th Tarot Trump "The Chariot". (Robson).



General influence of the star: The last star in the Great Bear. Benetnash means 'hired mourners'. If the influence of this star is exercised, an influence of a Mars-Uranus-Saturn nature is present. Experience has shown that many human lives are to be mourned. Reinhold Ebertin made a survey of this fixed star covering centuries when associated with transits of the major planets over this degree. The results have been recorded in the 40th yearbook for Cosmobiological Research 1969. In accordance with adopted belief of ancient times, this fixed star is supposed to be bound up with the realm of the dead and is therefore associated with death and mourning. In an important position in a mundane map, Benetnash will claim human lives in calamities such as mine accidents, collapse of houses and bridges, mountain slides, earth tremors and catastrophes caused by weather. Uranus was in exact conjunction with Benetnash at the end of July 1969. This time was marked with extreme tension between Prague and Moscow, followed later in August by the Russian takeover of the USSR. The Czech reformers in Schwarzau on the Theiss fought for the freedom of their nation on the 30th July with the Russian political bigwigs. The Soviets widened their 'maneuvers' in Poland. (Ebertin).



Alkaid was known as "the destroyer of nations" by Islamic astrologers. (Noonan).    



Rising: Those born at the rising of this constellation will be tamers of wild beasts, that is men to teach bears, bulls and lions to lay aside their fierceness and share in human ways. (Manilius Astronomica 1st century AD).



References

The Fixed Stars and Constellations in Astrology, Vivian E. Robson 1923, Ascella Publications, UK, ISBN: 1 898503 50 8.

Star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ichard Hinchley Allen, 1889, Dover Publications 1963. ISBN 0-486-21079-0.

Astronomica, Manilius, 1st century AD. Edited and translated by G. P. Goold, 1977 by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ISBN 0-674-99516-3

Fixed Stars and Judicial Astrology, George Noonan 1990 published by AFA. ISBN 0-86690-376-3.

The Fixed Stars and Their Interpretations, Ebertin-Hoffman Originally published in 1928. Translation by Irmgard Banks.

The Living Stars, Dr Eric Morse, 1988, Amethyst Books, ISBN 0-944256-02-3.



---------------------------------------


출처 : http://www.winshop.com.au/annew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ristian Astrology 3 크리스천 점성술 지혜를 품은 책 4
윌리엄 릴리 지음, 김고은 옮김 / 좋은글방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저는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고 제가 가장 좋아하는 성경의 구절들은 구약에서는 시편이고 신약에서는 로마서입니다. 제가 시편을 좋아하는 이유는 한 양치기에서 이스라엘의 왕으로 축복받은 다윗왕의 인간적인 고뇌와 하나님에게 자신의 잘못을 비는 불완전한 인간으로서의 모습이 잘 묘사되어서이며 로마서를 좋아하는 이유는 이스라엘의 배타적이던 민족 종교인 유대교를 진정한 하나님의 종교의 기본 사상인 사랑의 정신을 깊이 이해한 사도 바울이 이방인, 이교도들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며, 그들을 아우르고 포용하는 일들이 기록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바라는 것들과는 완연히 다릅니다. 그리고 이세상의 모든 세속적인 일들은 점성술에 아주 극명하게 잘 나타나게 됩니다. 즉 서양 점성술의 차트나 자미두수의 명반에 나타나는 한 인간의 운명에 대한 풀이는 세상의 일들에 대하여 아무런 잘잘못이나 도덕적 기준, 절대적 가치의 구분 없이 피상적으로 다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귀격이니 부격이니 하는 기준도 그저 피상적, 물질적 표현만을 나타내며 그에 따라서 사람들에게 좋은 차트라는 칭송을 듣게 됩니다. 즉 사람을 많이 죽여 정권을 잡거나 노동자를 착취하여 재벌이 되거나 전쟁을 일으켜 영웅이 되더라도 점성술 차트나 명반, 사주에는 그냥 그 사람이 출생시부터 그런 기운을 타고나서 그런 소지와 능력을 지닌 인간이며 그럴 가능성을 내포한 인간이란 것을 다 보여줄 뿐입니다.


 

이에 반하여 하나님의 법칙은 인간의 보다 깊은 내면을 다루며, 그에 비하여 점성술이나 사주의 오행으로 나타나는 피상적인 성격은 별들의 조합이나 음양오행이 나타내는 성정들이 나타내는 성격과 속성에 불과할 뿐입니다.

즉 예수님이 대속을 통하여 한 개인에게 내려주시는 “사랑과 자비, 선을 베품” 등은 한 개인의 차트나, 명반, 사주에 나타나지 않으며 우리가 명반을 통해 알 수도 없습니다.


 

개인의 명반이나 차트, 명조를 풀다보면 12궁이 다좋을수는 없으니 하나님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며 그 누구도 특별하게 편애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는 곧 인간은 죽으면 공의로 심판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사는 이세상의 모든 것은 주어진 틀에서 생성, 반복, 소멸 되는 과정이며, 모든 것은 이루어지는 때가 있으며, 인간도 단지 이러한 틀에 한 부분으로서 하나님이 만드신 우주를 이루는 하나의 작은 요소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의 영원하지 못한 육체 속에서 누리고 탐닉하는 부귀영화, 쾌락, 욕망이란 다 부질없는 일입니다.


 

아무리 영의 비밀을 많이 알고 있고, 많은 능력을 받았고 개인적인 수양을 통해 도통한 고승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결코 우리가 사는 세계의 물질 법칙(점성술)속에서 예외일수 없는 존재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므로 바른 점성학의 공부를 통해 우리는 인간으로서의 한계를 깨닫고 스스로의 오만함을 버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서양 점성술이나 자미두수의 공부를 통해 세상적인 욕심을 걷어내고 나의 본질을 찾고자 한다면 우리는 더 넓은 영의 세계를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물질 세계의 법칙들을 점성술이나 자미두수를 통해 미리 예측해 볼수 있고 더 나아가 우주를 창조하신 창조주의 더 넓고 보이지 않은 차원의 하나님의 법칙을 깨닫게 될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즉 점성술이나 자미두수, 사주를 통해 자신의 부족함과 불완전함을 깨닫는 것도 스스로의 지혜와 영혼을 넓혀주는 지식이 될 수 있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이 세상에서 인간이 누리는 부귀영화나 쾌락, 욕망, 소망은 영원하지 못한 것이며 다 부질 없는 것입니다.


 

서양점성술, 자미두수를 기독교인으로서 취미로 공부하면서 크리스천 점성술을 읽고 느낀 점들을 몇 자 적어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1세기 관계적 교회 - 제도권 교회의 벽을 허문다, 개정판
프랭크 비올라 지음, 박영은 옮김 / 미션월드라이브러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세기 관계적 교회 (Rethinking the wineskin)

<제1장>
교회집회

제도권교회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교회집회의 목적
공동체적 예배, 복음제시, 설교청취, 교제

초대교회집회의 목적
단지 신자들의 모임임. 나눔이 주제이긴 했지만 설교를 듣는 것이 주목적이 아님.
교회집회에서 성도들은 집회를 통하여 그리스도를 나누는 정당한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누구도 집회의 중심이 될 수 없었음, 가르침의 사역이 매주 같은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았음.
교제도 그냥 묵상의 결과로 생기는 성장의 결과일 뿐임.

초대 교회에 있어서 예배란?
우리의 삶 자체,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와 사랑, 헌신, 겸손, 순종
예배는 그냥 모임이 아니며, 합창, 찬송은 – (찬양과 경배가) 중요한 표현양식이긴 하지만 가장 중요한 목적은 아님.
초대교회의 집회의 목적은 상호권면(Mutual Edification) => 상호 격려가 모임의 중요한 특징.
모든 성도들이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는 일에 참여.
찬송의 경우도 전문가 그룹의 인도가 아닌 그냔 일반신도들의 자유로운 참여(자작곡)가 이루어짐.
어느 누구도 소외 당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집회에 참여함. 신선함, 개방성, 자발성이 집회의 특징.

그리스도가 교회집회의 지휘자. (그리스도의 머리되심)
그리스도가 임재하고 늘 인도하심, 성령께서 주제를 정함, 정하신 사람을 통해 자유롭게 말씀하심.
성도들의 수동적 참여, 직업적 목사(전문목회자)들의 사역은 초대교회에서는 낯선 것임.
초대교회의 집회에서는 자연적으로 성령으로 받은 영적 통찰력과 상호교류가 발생함.
인간이 주도하고 주장하며, 조정하는 근거가 없음. 한 사람에게 초점을 맞춘 강단 중심의 집회는 없음. 예수그리스도가 성도의 공동체를 통해 성령의 중재로 집회를 직접 인도.
서로 함께함, 상호성이 특징. 초대교회의 회중 개개인은 주님으로부터 받은 은혜를 공동체를 위해 기여해야 한다는 특권과 책임의식을 가지고 집회에 참여함. 열린 분위기의 자유와 비정형이 특징.
초대교회는 만인 제사장 교리를 실제적으로 적용하는 장. 모든 신자들은 주님께, ”영적 제사”를 드리도록 부름 받은 영적 제사장임, 특별히 받은 은사를 통해 그리스도를 표현하도록 고안됨.
제도권 교회는 신자들을 수동적 수혜자로 전락시키고 영적 유아기에 머물게 함.
종교개혁은 만인 제사장의 진리를 회복시켰지만 가르침을 구현하는 구조의 회복에는 실패함.
참여지향적 열린 집회가 바로 하나님이 고안하신 초대교회의 모습. 그리스도를 모임 안에서 형상화하고 충만으로 이끔. 상호사역과 권면은 불신과 알고 짓는 죄를 막는 일종의 보호장치임.
또, 교회집회의 목적은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것임. 각자가 받은 주님의 은혜를 자유롭게 나누는 것이 바로 그리스도가 바르게 표현되는 길임.
하나님의 열정은 에클레시아(교회)의 모든 회중이 각자의 역할을 잘 수행할 때 실현됨. 보이지 않은 주님의 실체를 집회를 통해 보여주는 것, 그리스도를 지상에 구현하는 것이 바로 초대교회의 가장 큰 목적임. 집회는 그리스도 중심이였음. 전문 목회자로부터 무엇을 얻으려는 게 아니라 그리스도를 위해서 사역하면서 형제들에게 봉사하기 위해 모였음. 초대교회의 집회를 유지하는 힘은 잘짜여진 프로그램이나 인위적 요소, 제도화된 조직이 아니라 성령의 생명력임.
초대교회는 열려있고, 참여지향적이고 자발적임.
누구도 제사장직을 수행하는 성도들에게 성령이 부여된 은사를 행할 것을 허하거나 금하는 권리가 없음, 목회의 통제력이 제거되면 혼란할 것이라는 생각은 성령을 신뢰하지 않는 불신앙임. 자발적인 상호사역을 배제하면 안됨.
머리되심은 신자들이 공동체적 삶에서 구현되는 주되심임.
상호사역과 나눔을 통해 하나님의 마음을 얻고, 상호복종과 섬김을 통해 성령에 순종하며, 상호나눔과 공동체적 증거를 통해 주님을 증거 등이 바로 주님의 머리 되심에 복종하는 것임.
현대의 제도적 교회 안에 만들어 놓은 모든 구조가 주님의 머리되심의 표현인가? 인간의 머리됨의 표현인가? 현대 교회는 최초의 원형에서 너무나 이탈해 있음.

<느낀 점>
1. 잘 짜여진 프로그램이나 교회 조직이 교회의 모든 것은 아니다.
2. 전문적 목회자들의 지나친 매너리즘을 경계해야 한다.
3. 평신도들의 자발적, 참여지향적 사역참가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4. 목회자로부터 무엇을 얻으려는 것보다 형제를 위한 사역과 봉사가 중요하다.
5. 초대 교회 모임의 특징인 상호사역과 상호권면을 제도적 교회에서 강화하자.

<우리교회에 적용할 점>
1. 찬양과 경배도 중요하지만 상호권면하자.
2. 하나님의 열정을 갖고 각자 사역을 열심히 하자.
3. 주님께 받은 은사들을 형제들과 같이 나누며, 자발적인 상호사역을 강화하자.




<제2장>
성 만찬 (Lord’s Supper)

초대교회에서는 떡을 나누어주는 행위는 예수님의 인성을 나타내 준다고 믿었다. 떡을 나눔은 주님의 몸이 찢겨진 십자가를 생각나게 하며, 포도주는 예수님의 피로서 죽음을 상징한다.
떡을 나눔은 주님의 죽음뿐만 아니라 부활도 상징한다. 하나의 밀알이 땅에 떨어지면, 많은 밀알들을 생산해 낸다. 주님의 몸과 먹고 피를 마시면 그의 생명을 소유하게 되는데, 이것은 곧 부활을 의미한다. 부활하신 주님의 계시나 주님의 몸의 하나됨의 증거도 떡을 나눔으로 나타남.
하나의 떡을 조금씩 떼어 나누어 먹음으로 서로 하나가 됨. 서로 모르는 사람처럼 각자가 떡을 떼어먹으면 큰 죄악임.
주님이 제정하신 성만찬은 전통적인 유월절 만찬의 일부였으며, 그냥 일반적인 식사, 연회였음. 초대교회의 성만찬은 교제의 장, 즉 성도들의 식탁 교제임. 초대교회는 만찬을 아가페 또는 사랑의 축제로 묘사함.
하지만 완전한 식사 형태였던 만찬은 수세기가 지나면서 교회의 전통인 만찬이 불완전한 형태의 성만찬으로 됨. 떡을 나누는 상호 교통의 의미가 심하게 퇴색됨.
현대의 성만찬은 만찬이 아니라 구제주의 시식용 떡처럼 되어 버림. 작은 빵 부스러기와 작은 잔에 담긴 포도쥬스는 결코 성도들이 함께 나누는 공동체 식사가 될 수 없음.
초기의 성 만찬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함께 먹고 마심으로 교인들의 하나됨을 보여주는 외형적 표현으로 아주 중요한 행사 였음. 식사를 통하여 회중들에게 그리스도의 관계와 신자들간의 관계를 각인 시켜주었음. 평상시 가족, 단체에서 함께 식사함으로 긴밀한 유대감이 강화되듯이 교회의 성도 상호간의 관계를 더욱 심화시키는 방법이었음.
어떤 정형도 추구하지 않은 단순한 성만찬을 통하여 가정집은 정화되고 성화되며, 거룩해졌음.
떡을 떼는 행위는 예수님의 재림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종말론적 관점을 가지고 있었음.
주님의 만찬은 그리스도의 고난을 상기시켜주거나 그를 통해 우리의 죄를 자복해 주는 것이 아님.
성만찬은 예수 그리스도가 진정 누구인지를 즐겁게 묵상하는 시간이며, 그의 승리와 재림을 생각나게 함. 성만찬은 하나의 축제이며, 즐거운 분위기와 대화가 풍성한 식사자리임. 나눔과 감사로 특정 지워지는 기쁨의 잔치임.
떡을 떼는 행위
과거 – 주님의 희생적 죽음을 상기시킴.
현재 – 우리와 함께 거하시는 그분의 현존을 보여줌.
미래 – 미래에 다시 오실 소망에 대한 선포임.
 주님의 죽음(과거)을 재림(미래)할 때까지 선포(현재)하는 행사.
성만찬은 믿음, 소망, 사랑을 증거함. 믿음으로 소유되는 영광된 구원의 기초를 다시 확립하게 됨, 한 몸으로 생각하는 형제들에 대한 사랑을 다시 표현하게 됨, 다시 오실 주님에 대한 소망에 기뻐하게 됨.
로마 가톨릭은 성만찬을 문자화하고 희생제사처럼 만들어버림. => 주님이 성찬예식을 통해 늘 사람들을 대속하여 다시 희생한다고 생각.
개신교인들에게는 성만찬을 십자가를 기억하게 하는 기념물이 됨.
하지만, 성찬식은 희생제사도 아니고 기념 의식도 아니고 영적인 실체임. 성령이 거하시며, 성찬식을 통해 성도들의 마음속을 조명하심, 우리는 성찬식에서 그분과 같이 먹고 마심(영적 교제를 함).
성만찬의 목적
1. 공동체 안의 가난한 자에 대한 배려. => 음식 나누기
2. 평준화 신학의 구현 => 계층을 없앰.
3. 종말론적 의미 => 다시 오실 구세주에 대한 간구
주님의 식탁: 신자들과 함께한 제한 없는 교제의 자리 (수평적 관계- 나눔과 식사 교제의자리)
성만찬: 주님의 기념과 선포, 그리스도를 기억하고 희생적 죽음을 선포하는 자리 (수직적 관계- 식사가 의미하는 본질적인 의미 추구) 둘은 동전의 양면임.
떡을 뗌으로 교회의 머리 되신 주님의 중심성을 기억하게 됨.
하나님의 백성들을 주님에게로 성령의 인도하심이 바로 성만찬에서 하나님이 의도하시는 일임.

<느낀 점>
1. 성만찬의 참다운 의미를 다시 되새기자.
2. 주님의 몸처럼 떡을 나누는 교인들도 하나가 되어야겠다.
3. 성찬식의 형식이나 절차 등 보여지는 것보다는 성령에 의한 주님께로의 인도가 중요함.
4. 초기 교회처럼 성만찬을 나눔과 감사로 특정 지워지는 기쁨의 잔치로 지내는 것도 괜찮음
5. 성만찬도 여러 교인들이 영적 교제를 하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됨.

<우리교회에 적용할 점>
1. 성만찬을 가난한 자에 대한 나눔의 장으로 만들자.
2. 성만찬을 여러 신도들이 수평적으로 어울리는 행사로 만들자
3. 성만찬을 그냥 형식적으로 하지 말고 다시 오실 주님을 기념하고 간구하는 시간으로 만들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소그룹으로 변화되는 역동적인 교회
앤디 스탠리 지음, 이중순 옮김 / 디모데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그룹으로 변화되는 역동적인 교회

모든 사람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인 존재이므로 공동체를 필요로 한다. 교회는 기존 교인들의 신앙심 강화나 비교인들에의 전도 등을 위하여 소 그룹을 필요로 한다. 즉 모든 구성원 들이 강한 소속감을 지닐 수 있는 의미 있는 관계를 개발하는 것이 교회의 중요한 존재 목적 중에 하나이다 즉 하나님이 선택한 사람들의 모임을 통해 서로를 보살피는 진정한 공동체로 거듭 나야 한다.
이런 공동체의 유지를 위해 교회의 목표를 확실히 하여야 한다. 즉 사람들이 교회활동을 통해 어떠한 사람으로 거듭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우리의 목적은 세상의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따르도록 장려하며 그들과 돈독한 관계를 맺는 것이다.
즉 우리의 사명은 교인들이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 속에서 바르게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 모두와 친밀한 관계를 맺기를 원하시므로 그분과의 친밀한 관계를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성숙해 가는 성도의 특징이다. 즉, 영적 성숙이란 하나님과의 관계, 다른 성도들과의 관계, 그리고 믿지 않는 사람들과의 관계들 속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세가지 관계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소그룹이다.
성숙한 그리스도인들은 핵심적인 세 가지 관계에서 계속 성장해 가는 사람이다. 하나님과 친밀한 교제를 나누며, 성도들과 공동체를 형성하고,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치는 것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한다. 소그룹이여야 하는 이유는?
소그룹은 우리의 전도 전략을 지원한다. 소그룹은 교회의 리더십과 돌보는 사역을 분산시켜준다. 소그룹은 보다 많은 사람들을 봉사에 참여시킨다. 소그룹은 진정한 공동체를 형성하게 해준다. 소그룹은 치대한의 융통성을 발휘할수 있다. 소그룹은 우리를 보다 더 나은 청지기(관리자)로 만들어 준다. 소그룹은 성장의 주된 방해요소를 제거해 준다.
일정기간 동안만의 닫힌 형태의 소그룹은 집중력과 추진력을 강화해 준다. 그리고 그 기간이 끝나면 새 멤버를 배가하여 신선도와 집중도를 유지한다. 진정한 소그룹 생활의 특징은 책임감, 소속감, 돌봄이다. 공동체와 구성원의 연결은 현실적인 단계를 필요로 한다. 로비에서 주방으로의 전략(로비, 거실, 주방)을 통해 교회의 여러 환경을 사람들을 연결해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한다. 단계는 필요에 의하여 추가되는데, 그룹링크는 쉽고 분명하며, 전략적인 두 시간짜리 이벤트이다. 이를 통해 소그룹은 친교와 성경공부와 기도를 위해 일주일에 한번 가정에서 모이는 그룹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면 된다. 새 신자 그룹의 각 리더들은 그룹 내 관계에 우선 순위를 두는 방침에 대한 지침을 받는다. 소그룹과 관련된 내용은 현실적이여야 하며, 보통사람들을 염두에 두고 운영되어야한다. 그룹의 리더는 연결되어 있는 사람이어야 하며, 인격을 갖추고, 그룹문화를 받아들여야 하며, 다른 구성원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어느 정도의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리더는 그룹을 활성화시키고 감독해야 한다. 합리적인 자격조건, 현실적 기대치, 조정은 현실적인 그룹 시스템에 필수적 요소이다. 공동체 그룹리더들이 알아야 할 기본단위는 삶의 변화, 관계의 촉진, 참여의 장려, 대신할 보조자 육성, 돌봄의 제공, 그룹에 대한 영향력의 배가이다. 위의 모든 이벤트의 토대인 기본요소들을 반복하여 실시하라. 소그룹 사역의 다섯 가지 성공요소들은 단순함, 가시성, 가치성, 자원, 모범 보이기 이다. 즉 전략을 단순하게 만들고, 메시지를 자주 눈에 띄게 만들며, 과정을 중요시하고, 적절한 자원을 공급하며, 참여에 모범을 보이는 것이다. 이는 보기 좋고 효과적인 시스템 단계를 만들어 준다. 자신의 교회 문화와 리더십, 목회 철학 등도 고려해야 한다.
<느낀 점>

교회가 세우진 목적은 서로간의 사랑과 섬김을 통해 영생의 삶을 보여주고, 사람들로 하여금 영생을 얻게 하고 또한 그것을 더욱 풍성이 누리는 법을 알려주고 전해주는데 있으므로, 소그룹 활동을 통하여 이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참다운 교회의 설립 목적을 알려주는 것은 중요하다. 우리교회들은 기존의 신도들이나 주변의 비신도 들이 이를 알도록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소그룹 활동을 통하여 하나님과 친밀한 교제를 나누며, 성도들과 공동체를 형성하고,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치는 것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한다.

<우리교회에 적용할 점>
1. 기존의 교회에서 시행하던 소그룹 활동들을 보다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필요에 의해 확장 가능하게 만든다.
2. 교회 내에 중간 리더들을 효과적으로 양육하는 프로그램을 활성화 한다.
3. 교인들간의 보다 긴밀한 친목과 연결을 통해 어려운 일을 당했을 적에 서로 신속하게 도움을 주도록 한다.
4. 그룹링크처럼 소그룹 활동의 유지, 소개, 기존 소그룹의 배가 등 필요에 의하면 간편하고 효율적인 단계를 만들어서 실행해 본다.
5. 많은 교인들이 효과적인 소그룹 리더 교육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소그룹 중심의 교회를 세우라 - 어느 누구도 홀로있지 않은 곳
빌 도나휴.러스 로빈슨 지음, 오태균 옮김 / 국제제자훈련원(DMI.디엠출판유통)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그룹 중심의 교회를 세우라


제 1부 공동체에 대한 변론

1장: 태초에 하나님이: 신학적 증거
성경에 의하면 하나님은 우리의 형상에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사람을 만들었다고 한다. 즉 하나님은 공동체인 삼위일체로 존재하시는 분이므로 하나님의 창조물인 인간들도 하나의 공동체(소그룹 형태)로 존재하여 문화를 창조하고 그분의 본성을 닮은 공동체인 소그룹을 통해 모든 교회는 진정한 공동체 안에 세워져야 한다.

2장: 공동체를 창조하시다: 사회학적 증거
인간은 상호 의존적으로 창조 되었음, 각기 구별된 개인이지만 동시에 다른 사람들과 분리될 수 없는 존재임. 진정한 공동체는 네 가지(힘, 지혜, 상호책임, 용납) 축복을 받음

3장: 교회가 자라는 데 필요한 것: 구조적 증거
첫째, 교회는 돌봄의 범주를 존중함으로써 각 교인의 필요를 최대한 충족시켜야 한다. 모든 사람이 돌봄을 받되 한 사람이 너무 많은 사람을 보살피지는 않아야 한다.
둘째, 교회가 성도들을 한 몸의 지체로 간주하지 않으면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바를 다할 수 없다. 각 주체가 소 공동체 내에서 주어진 역할의 책임을 다하여야만 주어진 사명을 다할 수 있으며, 모두 함께 사역을 해야만 전체적인 조화 속에서 각자의 삶은 변화됨.

제 2부 소그룹 안에서의 공동체 추구 (소그룹이 영적 공동체를 이루기 위해 중요한 4 가지 핵심)

4장: 소그룹은 진정한 관계를 통해 세워진다.
먼저 자신을 들어내고, 서로 돌보고, 겸손하게 서로 섬기고, 진실로서 서로 권면하며, 서로 격려, 하는 다섯 가지 실천 사항들을 통해 즉 서로의 영혼을 상대방에게 향하게 한다.
친밀하고 헌신이 따르는 교제, 보통 수준을 능가하는 사랑, 겸손한 종의 자세, 은혜가 넘치는 권면, 기쁨이 넘치는 축제를 이루어 내도록 노력하여 영적인 공동체를 만들어야 함.

5장: 소그룹은 진리와 생명이 만나는 장소이다
진실한 관계를 기초로 하여, 질문이 아닌 서로의 토론을 통하여 개인에게 촛점을 맞추어 서로가 창조적으로 의견을 교환하게 한다. 진리로 인해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 모임의 순간들을 특별하게 만들고 그 순간을 포착하고 상기하게 한다. 질문이 아닌 토론을 통해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 성령과 만나도록 한다.

6장: 소그룹은 건강한 갈등을 경험한다
영적 성장의 모서리나 갈등의 여러 부분들은 과거의 죄악의 뿌리에 근거한다. 성경적인 갈등 해소를 위해 노력한다. 소그룹 내에서의 관계의 불화를 직면하면 화해를 이끌어내야 한다. 그룹 내의 갈등은 그룹 내에서 해결하며, 갈등 해결의 결과보다는 과정에 중점을 둔다. 그 과정을 격려한다. 갈등을 해결하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갈등의 해결은 신뢰와 비밀이 보장된 채 진행되어야 한다. 해결을 위해서는 갈등을 해결을 즉시 시도하며, 당사자를 직접 만나서 이야기하라. 서로의 관계를 확인하고, 정죄보다는 자기의 소견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한다. 그리고 진상을 파견한 후에는 해결을 촉진하여야 한다.
진정한 회복(갈등해소)을 위해서는 구성원간의 고백과 용서, 화해라는 성격적 3박자를 갖추어야 한다. 갈등의 이면에는 사랑이 있다. 하나님에게 순종하고 사랑을 실천하는 공동체는 희생, 결단, 시간, 눈물 등을 통하여 갈등을 은혜롭고 지혜롭게 대면한다

7장: 소그룹은 균형 잡힌 목양을 제공한다.

균형 잡힌 소그룹(목양 그룹)의 리더들은 제자훈련과 돌봄 모두를 강조한다.
리더가 모든 구성원들을 다 감당할 필요는 없다. 구성원들은 자연스럽게 서로를 돌보면 된다.
돌봄에는 위기에 대처하는 방법과 회복을 위한 도움을 주는 재활, 그리고 장기간의 돌봄인 평생 후원이 있다. 구성원들의 건강을 돌보는 사역은 절대로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구성원들 간의 협력이야말로 소그룹이 돌봄과 제자훈련 모두를 경험하는 방법이다.
제자훈련은 계획적인 목양이 필요하다. 목표는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닮아가게 하는 것(비신자들을 온전히 헌신된 그리스도의 제자들로 바꾸는 것)이며 이를 위해 제자 훈련의 틀인 5G즉 은혜(Grace) 성장(Growth), 그룹(Groups), 은사(Gifts), 선한 청지기 정신(Good Stewardship)이 필요하다. 즉 각 G 를 성경에 따라 공부하고 헌신하여야 한다.
돌봄과 제자훈련은 유능한 리더십 아래에서 함께 사역을 통해 균형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소그룹 안의 공동체 실천은 구성원간의 진실한 관계에서 시작되며, 서로를 알아가고, 사랑 받으며, 섬김과 축하와 권면을 받을 적에 구성원들은 변화된다, 또한 발생되는 갈등을 통해 더욱 그리스도를 닮아가게 돕게 된다. 리더들이 제자 훈련과 목양에 힘쓴다면, 구성원들은 함께 하는 사역을 통해 개발해 나가게 되는 것이다.

<느낀 점>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므로 공동체 생활을 필요로 하며, 공동체의 분업화, 전문화를 통해 한 리더에게 과중하게 주어지는 임무나 책임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효과적인 소그룹 활동은 리더 혼자만의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 모두의 협력적 사역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교회에 적용할 점>
1. 교회 소그룹 활동을 할 적에 구성원들을 좀더 잘 이해하고 돕기 위해 서로간의 좀더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2. 리더는 슈퍼맨이 아니다 모든 것을 한 사람에게 맡기지 말고 서로 사역을 효과적으로 분담해야겠다.
3. 교회의 기존 제자훈련(일대일 제자 훈련 등등)을 소그룹 단위로 바꾸면 보다 효과적일 듯
4. 성도간의 서로 돌봄을 긴밀히 하기 위해 성도 서로간의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해야겠다.
5. 교회 성도간의 서로 섬김, 축하, 그리고 상호 권면을 더욱 강화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