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속 - 새로운 시대가 대한민국에 던지는 질문들
김대식 외 지음 / 동아시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염병이 창궐한 2020년 서점가에서는 전염병, 미래, 불안 등의 키워드로 쓴 책들이 쏟아지며 출간되고 있다. 이 비슷해 보이는 논의들의 홍수에 대해 신물을 느끼지 않은 이유는 다름 아니라 ‘필요해서’일 것이다. 여전히 논의가 필요한 문제니까 그만큼의 수요가 생기는 것이고, 수요가 생기니까 계속 생산이 되는 것이다. 그저 많이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생기는 싫증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이 책 또한 여섯 명의 학자가 정기적으로 모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부 모임에서 나눈 말들을 책으로 엮은 것이라고 해서 큰 기대는 없었다. 내게 필요한 지식이니 넣어야지, 라는 마음으로 펼쳐 들었는데 생각보다 이야기하거나 생각해볼 지점들이 많아서 기대 이상이었다. 역사학, 사회학, 금융학, 경영학, 뇌과학을 기반으로 코로나 시대에 대해 다각적으로 다룬 이 책의 기저가 되는 이야기는 팬데믹과 같은 상황이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고 바꾸는 것이 아니라 이미 바뀌고 있던 세상의 흐름들을 가속시키는 ‘초가속’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초가속되는 것들은 모두 현재와 관통되는 것들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나니 지금 벌어지는 사회의 현상뿐만 아니라 나라는 개인에 대해서 설명하기에도 용이해져서 해소되는 지점들이 많았다.

‘감염’과 ‘전염’을 구별하여 말하는 것, 다양한 학문적 지식들, 챕터가 끝날 때마다 나오는 토론 부분도 좋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웠던 이야기가 두 가지 있다. 우선 하나는 “인류 역사에서 불평등은 오로지 세 가지 방법만을 통해 해소된다. 질병, 전쟁, 기후 변화가 그것이다.”라는 발터 샤이델의 말이다. 사회가 발달하면서 효율성이 커지면서 불평등도 커진다는 문장에서 나는 머리를 세게 맞은 기분이 들었다. 평등과 효율을 함께 추구하려다보니 자꾸 딜레마에 빠지고 마는 내 어리석음에 대해 깨달았다.

그리고 하나는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19세기가 지나고 국가 중심의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느끼는 소속감과 같은 것은 사실 “상상의 공동체”라는 말에서도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 모두 당연한 말처럼 들릴지 몰라도 평소에 부담감을 느끼는 어떤 부분들이 조금 가벼워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이론적인 부분들이 많아서 술술 읽히진 않았지만 그만큼 멈춰 서서 질문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던 책이었다. 책 읽으면서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는 마음이 들었다. 겸손하게 배워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