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연애 사계절 1318 문고 46
김종광 지음 / 사계절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우와 덥네요. 내일 시험이 남아있긴 하지만 버리는(...) 과목이라 이렇게 또 서평쓰러 옵니다. 더워서 무기력해지기 쉬운데 다들 일상 잘 보내고 있으신지 궁금하네요~





제목이 다 나오게 찍고싶었는데 ... 라벨이 붙어있어서 윗부분만 찍습니다 ㅜㅜ 대출한 책이란...




1. 다재다능한 글쓰기



  제가 이 책을 읽게된 동기는, 몇 주 후에 학교에서 있을 소설낭독회였습니다. 도서부가 아니라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무슨 지원을 받아 외부 작가를 초청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렇게 오시게 된 분이 김종광작가님입니다. 부끄럽게도 모르는 작가분이었고 검색을 해보니 꽤 화려한 프로필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김종광 - 1971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나 중앙대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소 키우고 농사짓는 부모님 신세를 지며 공공근로를 하던 때인 1998년, 계간 『문학동네』에 단편 <경찰서여, 안녕>이 당선되어 소설가 자격증을 따는 데 성공했다.

2000년 중앙일보에 희곡 <해로가>로 오랜 꿈이었던 신춘문예 당선에 성공했다. 2001년에 순진한 여성 하나를 현혹하여 결혼하는 데도 성공했다. 2001년에 신동엽창작기금을 받았는데 그것이 몇 년 후에 ‘신동엽창작상’으로 바뀌어, 현재 ‘나도 상 한 번은 받았다’며 우기고 다닌다. 자존심이 허락하는 선에서 돈 되는 원고는 다 썼고, 지금도 여전하다. 2004~2006년, 민족문학작가회의(현 한국작가회의) 사무처장으로 재직했는데 백두산 꼭대기에 올라갔던 게 가장 기억에 남는다.

데뷔 10년차이던 2007년, 오랜 침체와 우울에서 벗어나 전력질주 창작을 재개했다. 소설 창작은 가르칠 수 없는 것임을 잘 알면서도 몇 년째 소설 창작 강의를 하고 있는 것도 모자라 대학원에 다니고 있기도 하다. 지금까지 소설집 『경찰서여, 안녕』(2000), 『모내기 블루스』(2002), 『짬뽕과 소주의 힘』(2003), 『낙서문학사』(2006), 『처음 연애』(2008)와, 중편소설 『71년생 다인이』(2002), 장편소설 『야살쟁이록』(2004), 『율려낙원국』(2007), 『첫 경험』(2008) 등을 냈다.



  <처음연애>는 아무래도 청소년의 이야기를 다룬 청소년 소설입니다. 그래서 이 작품을 읽고나서 청소년작가이거니, 하고 막연하게 생각했습니다. (청소년 심리를 꽤나 잘 그려내셔서 이쪽에 정통하신 분인줄 알았죠.)
  하지만 다른 작품들을 찾아보니 그것도 아니더군요. 간단한 작품 소개만 읽었지만 여러이야기를 풀어나간 것으로 보입니다. 등단작인 "경찰서야, 안녕" "첫경험"등 여러 편이 청소년소설 같았지만 "모내기 블루스" "71년생 다인이"등은 농촌, 운동권 시절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작년 이상문학상 우수작에도 오르신 거 같은데 이렇게 엄청난 작가분을 왜 이제껏 알지 못했는지, 제가 너무 한심하네요.(게다가 충남분!) 좀더 촉각을 곤두세우고 책을 접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2. 청소년, 사랑을 말하다


  김종광작가님이 그 많은 작품들중에서 <처음연애>를 선택한 것은 아무래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강연이라 그런 것 같습니다. 청소년문학은 아무래도 청소년을 그리고 있고 청소년이 접하면 좋을만한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청소년의 끝자락에 서있는 저도 청소년 문학에 꽤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니까요.

  이 단편집에서는 청소년들의 때묻지 않은 사랑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순수한 시골 소년소녀가 대부분의 화자였습니다. 아무래도 기성작가들의 책을 읽다보면 거의 치정(...)에 가까운 이야기들이 대부분인데 순수한 이야기들을 보니 새로운 기분이었습니다.

  애석하게도 이야기의 대부분은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순수함을 지킨 것은 아닐까요. 처음연애는 순수하게 추억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에 못다한 이야기는 낭독회를 듣고, 다시 이어서 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처음연애는 어떻게 추억되고 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