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는 왜 혼자인 여자가 많을까? - 스스로 행복해지는 심리 치유 에세이
플로렌스 포크 지음, 최정인 옮김 / 푸른숲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1. 치유에세이, 여자들의 이야기






여자로서, 그리고 혼자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한번 꼭 읽어보고 싶은 심리학책이네요. 고독을 언제나 끼고 살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삶. 그 속에서 성찰과 깊이있는 사고를 할 수 있다면 의미있는 일이겠지요. 그런 의미를 찾아줄 것 같은 책이 이 <미술관에는 왜 혼자인 여자가 많을까?>같습니다. 스스로 행복해지는 방법을 알아보고 싶네요 ^^


아련의 위드블로그 신청글


  제가 이 책을 위드블로그에서 신청한 이유는 "치유 에세이"라는 말의 매력때문이었습니다.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고 해도 무의식적으로 여자들은 억눌려있곤 하죠. 그런 억눌림에서 벗어나게 해줄 치유 에세이를 만나보고 싶었습니다.





플로란스 포크(Florence Falk) - 미국 뉴저지주립대학교(Rutgers University) 영문학 조교수였던 플로렌스 포크는 두 번의 결혼과 이혼을 겪으면서 심리치료사로 직업을 바꾸었다. 이후 미국 초월심리학 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Transpersonal Psychology) 및 맨해튼 융 협회(C.G.Jung Foundation in Manhattan)에서 강의와 워크숍을 담당하며 20년간 심리치료사로 일하고 있다.


알라딘 제공




  저자의 프로필중 눈에 띄는 부분은 "두번의 결혼과 이혼"이란 부분이었습니다. 그녀의 여자로서의 성찰은 그 상처에서부터 시작되었죠. 사랑하지 않는 사람과의 결혼, 견딤, 그리고 헤어짐. 그런 일들을 겪으며 그녀는 심리치료를 전공합니다. 상처가 곧 성찰의 기회가 된다는 실증이 되어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글은 저자인 '나'가 여러 상처있는 여자들을 만나 들었던 이야기를 엮어나가는 식으로 이어집니다. 혼자인 여자에대한 성찰부터 고독의 성찰까지 이야기 하듯 편안하게 이끌어갑니다. 총 9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에는 수많은 여성이 나옵니다. '혼자인 것을 두려워하는 여성' '수치심을 가진 여성' '고독을 아는 여성' ... 그들은 끝내 자신을 찾아 "치유"합니다.



  상처를 가진 여성이 바라본 상처가진 여성, 혹은 상처를 치유한 여성의 이야기는 이제 여성성을 키워나갈 저에게 적잖은 떨림을 주었습니다.







2. 성숙하지 않은, 상처없는 여자의 이야기
(안 읽으셔도 돼요!)





  평소와 같지 않게 이번에는 제 이야기를 조금 풀어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나'를 생각하며 읽게되는 책이었습니다. 소설이 자신을 숨기고 주인공에게 동화되어 읽는 거라면 에세이는 자신을 드러내고 작가와 소통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는 나이가 많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적은 것도 아니죠. '주변인'이라고 부르는, 미성숙한 성인입니다. 저의 세상은 좁습니다. 이 작은 세상에 들어온 성숙한 여인들은 저를 떨리게 했습니다. 그들은 모두 소녀였었고 그때의 일을 기억합니다. 자신을 자각하게 된 그때를 말입니다. 하지만 전 그때를 기억하지 못합니다. 나의 비밀정원도, 나를 자각하게 된 순간도 말입니다. 전 어린아이답지 않게 호기심도 없었고 조용한 아이였습니다. 사랑을 원하지도 않았고 혼자인편이 편했죠.

  하지만 제가 틀렸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어느순간 잃어버린 '자아의 씨앗'을 떠올렸습니다. 언제쯤인지 모르죠. 전 남을 따라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작은 상실을 치유할 수 있는 것은 나 자신뿐이라는 걸 알게되었죠.



  삶에있어 이정표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삶의 이정표는 앞서 살아간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살아가고 먼저 상처받고 먼저 치유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앞으로의 삶을 성찰하게 되었습니다.





3. 자신을 치유하는 것은 자신





  이정표는 이정표일 뿐입니다. 그 이정표를 보고 걸을 곳을 정하는 사람은 나 자신이죠. 이 책에는 수많은 이정표만 남아있습니다. 매정하게도 독자에게 한마디 귀뜸이 없습니다. 수동적인 삶을 살아온 저는 마지막 한 마디를 기다리며 책을 읽었습니다. 책에는 단 한마디도 없었답니다. 수많은 이야기들을 펼쳐놓고 그 이야기들만 치유합니다.




  나 자신을 치유하는 것은 나 자신입니다. 책을 덮고 한참이나 눈을 감고 있었습니다. 어딘가 떨어져있을 자아의 씨앗을 찾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나 자신을 치유하기위해 이 서평을 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