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진 1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숙의 역사소설?" 조선시대 궁녀 이야기라는 책 정보를 보며 난 그렇게 되물었다. 그렇게 보고만 넘어간 리진을 <엄마를 부탁해>가 뜨고있는 이제야 보게 됐다니 나도 참 한심하다. 난 책장을 넘기면서도 의구심이 들었다. 하지만 책장 넘기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신경숙도, 역사소설도 머릿속에 사라졌다. 내 안에는 '리진'과 '콜랭', 그리고 '왕비'만이 남아있었다. 에필로그를 읽으며 이건 역사소설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그 얘기를 훔쳐들은 듯 신경숙은 작가노트에 이런 말을 적었다.

   
    현대소설로 읽히기를 바라는 뜻이었다. 실제로 나는 이 소설을 역사 소설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리진~작가노트~348p
 
   


  1권은 '리진'과 '콜랭'의 로맨스에서부터 시작된다. 어릴적 어미를 잃은 리진을 서씨가 거둔다. 어린 리진은 아기나인으로 궁으로 들어가게되고 어린 대비의 시중을 들게된다. 어느 날 궁에서 왕비를 만나게 되고 왕비가 배를 떠먹여준다. 그때부터였는지 모른다. 리진에게 어머니와 왕비가 일치되게 느껴진 것은.

  서씨의 집에서는 리진의 또다른 인연이 있었다. 프랑스 신부와 강연이었다. 아버지가 물에 빠져죽었다는 강연은 말을 하지 못했다. 말을 대신하듯 강연의 피리 솜씨는 일품이었다. 프랑스 신부를 따르는 강연에게 리진은 "여기 있어"라고 하며 머물게 한다. 프랑스 신부는 글깨우침에 총명한 리진에게 프랑스어를 가르친다. 그리고 떠나며 필사한 불한사전을 남기고 떠난다.

  아기나인을 마치고 궁녀가 되라고 한 것은 왕비였다. 왕비는 리진을 곁에 두고 책을 읽게 하고 말동무가 되게 했다. 하지만 점술사의 이야기를 듣고 리진을 프랑스 공사관과 함께하게 한다. 하지만 여기서 왕비는 시기보다는 모성에 가까웠다고 난 느꼈다.

  콜랭과의 로맨스는 아슬아슬 하다. 파리로 간 리진은 빠르게 자유를 흡수했지만 결국 몽유를 앓게 된다. 콜랭과 리진은 다시 조선으로 돌아왔다. 리진을 조선으로 데려간 것은 누구일까, 깊이 생각해보았다. 대답없는 그 질문은 책의 마지막을 읽으며 알게 되었다. 강연도 서씨도 아닌 왕비가 아니었을까 한다.

  콜랭은 리진을 두고 다른 나라로 가게되고 리진은 한때 궁녀였음에도 강연과 같이 살고 있다는 것이 문제가 돼 곤란에 처한다. 이 문제는 강연이 손가락이 모두 잘려나간 것으로 마무리 됐다. 강연의 대금소리에 춤추던 리진, 그 장면이 너무나도 애절했다. 나중에 강연이 청으로 떠난게 아니라 손가락이 잘려 숨은 것임을 알고 리진은 강연을 찾아 나서지만 결국 찾지 못했다.


  그리고 때는 을미사변으로 넘어간다. 물색 드레스를 입은 리진은 왕비를 기다리다 궁에 무언가 일이 있음을 알았다. 낭인들이 왕비를 찾고있었다. 리진은 낭인을 따라 엉키고 밟히며 왕비를 찾았다. 리진은 드레스를 입었다는 이유로 죽임을 면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로써 모든 것을 볼 수 있었다. 왕비의 앞섶을 헤치고 몇번이나 찌르던 칼을. 그때 리진은 느낀다. 왕비는 어머니였음을.

  리진은 그후 곡기를 끊었다. 그리고 콜랭에게 하나의 서찰을 남긴채 궁궐로 갔다. 왕비와 마지막으로 잠들었던, 왕비의 "자느냐"에 대답할 수 없었던 그 '교태전'에서 불한사전에 독을 묻혀 먹으며 왕비를 따랐다.

  에필로그는 콜랭의 시선이었다. 리진의 사진을 태우며 콜랭은 말한다. 그녀의 죽음을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만든 것은 자신이라고.

   오랜만에 책을 보며 울었다. 서사의 비극과 섬세한 문체가 날 울렸다. 무겁게만 느껴졌던 두 권의 책보다 더 무거운 것이 내 심장을 짓눌렀다. 역시 신경숙작가는 사랑할 수밖에 없는 작가였다. 눈물이 마르기 전에 리뷰를 쓰고 싶었다. 휘갈겨쓴 리뷰에 죄송함을 느끼며 글을 마친다.
 
   
  자, 이제 백 년 전의 한 여인을 백 년 후의 이 세상으로 내보낸다. 리진..... 당신이 사람들 속에 사랑스럽게 섞여 다시 잊혀지는 일 없이 현재형으로 존재하게 되기를 바란다. 리진 ~ 작가노트~ 35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