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 - 2009년 제33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김연수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연수작가가 이상문학상을 탔다는 소리를 듣고 군침을 흘리던 걸 안쓰럽게 본 지인이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선물했다. 김연수작가의 책은 즐겨보지 않아서ㅡ보지 않는다기 보다는 기회가 안 되서ㅡ 책을 펴며 긴장을 하게 됐다.

   권위있는 문학상중 하나인 이상문학상은 매년 날 실망시키지 않았다. 구입한 건 89, 09 밖에 없지만 그 외에 읽은 작품집도 모두 날 실망시키지 않았다. 이상문학상은 올해 33회를 맞이했다. 이상문학상 수상자라는 타이틀만으로도 빛나는 작품들을 난 차례차례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우수작도 굉장히 좋게 느껴졌는데 그래도 가장 돋보이는 것은 대상작인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이었다. 심장을 누르는 코끼리. 코끼리는 고통이었다. 고통을 못이겨 불면을 겪게되는 주인공은 책을 읽고 '산책'하기를 결심한다. 지인 9명을 만나고도 코끼리가 가시지않자 산책으로 암을 이겨냈다는 사람을 만나러 간다. 하지만 그들의 산책로는 막혀있다.


   
  그가 코끼리와 함께 산책했다면, 그녀는 노아처럼 이 세상 모든 동물들을 이끌고 걸었던 셈이다  
   

 
   우수작도 모두 재밌게 읽었지만 박민규 수다스러울절(龍龍龍龍(), 윤이형 완전한 항해에대해 언급하고 싶다.

 
  이번 박민규작가의 수다스러울 절은 참 당황스러웠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무협" 이었다. 검제ㅡ사실 확실히 모르겠다ㅡ의 출옥과 함께 시작하는 이 글은 무림이 사라진 현대가 배경이다. 결국 세상의 끝이 적혀있다는 무제록을 읽게된 四龍[사용]은 사라지기로 결심한다. 

 
  윤이형 완전한 항해는 판타지였다. 같은 날 태어난 사람이 죽음에 이를때 할 수 있는 '튜닝' 주인공은 쉰번째 튜닝을 준비하고 있었다. 쉰번째 튜닝이 될 대상은 인간이 아니라 루족이었다. 루족은 원래 동굴에 살면서 수액을 먹으며 환생을 하고 살아갔다. 하지만 어느 순간 젊은 루족이 그들이 섬기던 신을 나눠가져 기계로 만들었다. 주인공과 튜닝이 가능하다는 루족은 '창'이었다. 주인공은 튜닝을 하고나서의 변화를 두려워한다. 결국 창은 튜닝을 거절한다. 창은 눈에 묻혀 죽을 운명이었지만 달로 달로 날아가다가 불에 타 죽게된다.

 
  이 두 작품을 읽으며 "장르문학"에 대해 생각하게 됐다. '장르문학'과 '순수문학'을 나눈다는 것 자체가 웃기긴 하지만 우리 문학에서 계속 논쟁의 대상이 되는 건 어쩔 수 없다. 무협과 판타지는 인터넷을 만나면서 피폐해지기 시작했고 '대여점문학ㅡ딱 대여점 숫자만큼 찍어내고선 팔리지 않음ㅡ'으로 전락해버리기까지 했다. 그런 장르문학의 현실에서 이렇게 좋은 작품들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호제라고 생각한다. 독자들도 '장르문학'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그들을 바라봐 주면 좋을 것같다.

 
  이번 이상문학상도 날 만족시켰다. 1년에 한번 있느니 만큼 그 성과도 좋다. 내년에도 이 벅찬 느낌을 받기를 바라며 리뷰를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