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의 기원 -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서은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의 기원-서은국
키워드 : 다윈,쾌락,사람
이 책을 읽기 전 행복에 관한 꾸준히 관심이 있었기에, 나만의 행복의 정의를 행복은 마음속에 있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서 또 다른 관점에서 행복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충격이었다.
저자는 행복의 보는 관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기존의 책에서 어떻게 하면 행복해지는가 아닌 왜 행복해지는가?에서 새로운접근으로 출발한다.
두 번째는 행복의 이성적인 면보다 본능적이고 더 관심에 둔다
세 번째는 행복에 대한 통상적인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행복은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철학자주장에 익숙해져 모든 일상의 노력은 삶의 최종이유인 행복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9page-
저자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다윈을 등장시키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이론과 다윈이론과 비교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철학적관점)의 관점이 아닌 다윈의 이론을 바탕으로 행복의 정의를 근거로 설명한다.
저자가 말한 바로는 아리스토텔레스 행복의 정의는 '목적론' 어떤 목적 위해 행복해진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현대인의 삶의 목적이 아리스토텔레스와 생각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가령 즉 돈을 목적으로 하여 돈만 있으면 행복해진다 든지, 봉사하는 목적으로 하는 삶을 살면 행복해진다든지이다.
저자에 이에 반대의견을 한다.
어떤 목적이 아니라, 생명체는 그냥 사는 것이라 한다. 꿀벌이나 선인장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행복하게 사는 것이 아니다.
이 말을 보는 순간 문뜩 법륜스님의 말씀이 떠오른다.
"너 어떻게 살래"하고 물으면 어떻게 살까 생각해? 볼 수는 있지만 왜 사냐고 자꾸 물으면
"안 죽어서 산다"라고 하지요
사는데 무슨 이유가 있겠어요?
나는 괜히 심술궂은 질문을 하고 싶어진다.
만물이 영장인 인간이 어떻게 동물과 같습니까? 우리는'이성'이라는 사고를 할 수가 있지 않습니까 라고..
저자는 말한다. 우리가 말하는 '이성'은 너무 과대평가하는 것이 아니라고 되묻는다
인간의 모든 경험은 뇌에서 만들어진 마법과 같은 '쇼'라고 한다.
p117 빨간색 사과가 빨간색이 사과 안에 있는 것이 아니다. 사과 표면에 반사된 빛의 파장이 우리의 시각세포를 흥분시키고, 이 신경반응이 뇌에서 '빨갛다'라는 경험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즉 사과의 빨간색은 사과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본 사람의 머릿속에 생겨나는 경험이다.
그래서 행복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우리가 용돈을 받고 즐거워할 때 느끼는 행복 역시 돈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 사과의 빨간색처럼 행복감도 뇌에서 합성된 경험이다.
인간은 100% 동물이다.
저자는 인간은 동물이기에 다윈의 진화론에 근거하여 우리는 생존을 위해 진화해왔고, 뇌에 설계된 시스템도'생존'이라는 프로그램이 깔려 있어 인간의 행복해지기 위해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태어났다고 주장한다.
사실 나는 계속 읽을수록 거부감이 들었다. 철학적 관점으로 항상 생각해왔던 방식이 깨져서 그런지 모르겠다.
저자는 인간은 동물이기에 생존과 번식을 해야 했고, 행복은 생존을 위한 도구이라면서 동시에 이성 또한 하나의 생존의 위한 일부분이라고 한다.
생존을 위해 행복은 도구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저자는 행복을 찾는 사람들을 동전탐지기로 빗대어 설명한다.
동전탐지기는 금속 물체(동전)에 가까워지면 삐 하고 신호가 울린다. 만약 금속물체가 아닌 다른 뇌에 미세한 쾌감이라면?
p75 설명하자면 우리가 즐겁다. 신 난다. 기쁘다 재미있다. 이런 것은 뇌에서 반응하는 경험 즉 '쾌감'이라는 일종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명칭이다. 그리고 이런 여러 가지 감정들은 행복감의 기초적인 재료가 된다. 그래서 이런 감정을 묶어 심리학에서 '긍정적 정서' 반대로 불쾌한 바탕을 둔 여러 감정 분노, 슬픔, 두려움 , 외로움, 묶어 부정적 정서라고 부른다.
정리해보면 우리가 무엇을 먹고(생존) , 관계를 맺는(번식) 목적이 동전탐지기이고, 삐 하는 신호가 쾌감이면 우리가 하는 모든 활동은 그 쾌감을 찾기 위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충격적이다.)
저자는 그래도 사람이라고 한다.
p83 생존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타인이 필요하다. 즉 아무리 사냥을 잘해도 짝짓기 상대가 없는 동물은 지구에서 사라졌다. 절대적 생존과제이다.
p86 현 인류와 가장 비슷한 인류 호모사피엔스의 진화 과정을 보면 유골의 크기 변화에서 인간의 뇌가 급격히 커지는 시기는 함께 생활하던 집단의 크기가 팽창할 때와 맞물려있다.(인류학자 로빈터바교수 인용)
인간은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뇌가 사람들과의 관계를 잘 맺기 위해 뇌가 발달하였고, 그로 인해 인공위성 등 위대한 사회적 과제 해결하기 위해 똑똑해진 뇌에서 나온 부산물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정리하면
행복은 삶의 목적이 아니라 생존이라는 근본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라는 사실
행복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중요하고 우리의 뇌도 그런 방식으로 진화했다는 사실
행복은 아이스크림과 같다
저자는 행복을 아이스크림과 같다고 한다. 아이스크림의 어떤 성질일까? 햇빛에 놔두면 금방 녹아버리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즉 행복(쾌감)은 오래가지를 못한다.
쇼펜하우어의 말이 생각난다
인생은 쾌락과 권태의 시계추다
저자는 말한다. 쾌감을 느끼는 순간부터 시작해 인간은 '적응'이라는 것을 하여 금방 익숙해지고 지루해진다.
p121즉 생존의 원리에 따라 사냥을 해서 먹을 때 쾌감이 사라져야 다시 할 수 있는 일종의 초기화 과정을 거친다. 결론은 행복은 강도가 아니라 빈도라는 것이다.
p119 우리는 현재를 즐기지 못하고 산다. 대다수 한국인에게 나타나는 증상이다. 고등학생은 오직 대학 가려고, 대학생은 직장을 얻기 위해 , 중년은 노후준비와 자식의 성공을 위해서 산다.
많은 사람이 미래에 무엇이 되기 위해 질주한다. 이렇게 'becoming'에 두고 살지만 정작 행복이 담겨있는 곳은 'being' 지금이다.
사람들은 상당 부분 부와 성공이 소유해야 행복이 가능하다는 강한 믿음이 있다.
하지만 여기서 기대만큼의 행복의 결실이 나오지 않다는 수십 년 연구의 결론이고, 이 현상을 일으키는 주범의 '적응'이라는 녀석을 추측하였다.
저자는 수십 년간 행복을 연구 끝에 아주 단순한 결론을 내린다
철학이 아닌 논리로 접근했고, 그 바탕을 행복의 한 장의 사진으로 그려본다면
음식 그리고 사람 즉 좋아하는 사람하고 함께 음식을 먹는 장면이다.
나머지는 the rest are detail이라고.....
너무 진화론에 치우지않나 생각은 하지만, 반박 할 여지가 없다. 어쩃든 행복은 별게 없다는 것은 전적으로 동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