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요리과학 Why? 초등과학학습만화 87
최종탁 지음, 이준희 그림, 양일호 감수 / 예림당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 과학 학습 만화

Why?요리과학
과학을 알면 요리하는 재미가 훨씬 더 커져요!
​학교에서 방과후로 요리 수업을 하면서 요리에 부쩍 더 관심이 많아진 초등 딸아이를
위해서 만나게 된 신간 <Why?요리과학>이예요
​요리와 과학은 뗄래야 뗄 수가 없죠!
음식을 만들고 먹는 모든 과정은 물리학 · 화학 · 미생물학 · 생화학 · 생리학

 

 여러 분야의 과학 원리로 설명되어요
과학 시간에 배우는 원리는 어렵게만 느껴졌는데 Why?책에서  요리와 함께 배우니

 

이해가
쏙쏙 되더라고요
아이에게 Why?책을 읽히는 이유가 확실하죠!

 

#why?요리와과학 #분자요리 #요리와과학의관계 #물질의상태 #온도와열 #용해와용액

#산과염기 #예림당 #초등과학학습만화

 

 

 CONTENTS
 
요리 속의 과학 원리를 쏙쏙들이 알 수 있어요
 
귭거나 볶고 쪄서 식재료의 상태가 변하는 것은 물리학의 법칙에 따르는 것이며, 식욕을
자극하는 향과 맛을 내는 것은 화학 반응의 결과라는 걸 알 수 있어요
 
요리와 과학은 결국 하나라는 것!!
 
 

 

 
 
 
요리와 과학의 관계
 
엄지는 세계적인 스타 셰프를 꿈꾸는 아이예요
 
꼼지는 엄지의 단짝 친구이지만 요리에는 관심도 없고 해 본 적도 없지만 엄지와 함께 요리
연구소를 찾게 되면서 요리를 배우게 되어요
 
요리 연구소에서  만난 봉달 셰프는 '요리는 곧 과학'이라고 주장하는 괴짜 셰프랍니다
 
 
봉달이 셰프가 아이들 앞에 내놓은 떡볶이!
 
저희집 고학년이 제일 좋아하는 간식인지라 책을 보면서 먹고 싶다를 외치네요 ㅎ
 
 
떡의 쫄깃쫄깃한 식감은 '아밀로펙틴'이라는 성분이 근원이라는

 

사실 다들 알고 계셨나요?^^
 
떡의 원재료인 쌀을 물에 불리는 시간에 따라 아밀로펙틴의 호화 반응이 달라진다고 해요
 
부피가 늘어나고 점성이 생기는 정도 즉 쫀득한 정도가 달라진다는 놀라운 사실!
 
요리는 과학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레 깨달았어요
 
 
앞으로 떡볶이를 만들때는 꼭 물에 불려서 만들어야겠어요
 
요리팁을 하나 얻었네요 ㅎ
 
 
 

 

 
 
 
설거지에 숨은 과학
 
설거지를 할 때 사용하는 주방 세제는 계면 활성제를 이용해서 만들어요
 
계면 활성제란?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물질들을 섞이게 하는 물질이예요
 
여름에 자주 먹는 아이스크림에도 '유화제'라는 식용 계면 활성제가 들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어요
 

 

 
설거지를 하다보면 그릇 두 개가 포개져서 빠지지 않는 경험 다들 있으시죠!
 
그럴때마다 정말 난감하더라고요
 
이럴 때는 열팽창 현상을 이용하면 쉽고 간단하게 해결 할 수 있어요
 
아래쪽 그릇은 뜨거운 물에 담가 팽창시키고, 위쪽 그릇에는 차가운 물을

 

부어서 수축시키는 거예요
 
 
그릇에 밴 냄새는 밀가루 한두 숟가락을 푼 물에 하루쯤 담가 놓기만 하면 돼요
 
밀가루가 다공성 물질이라 그릇에 밴 냄새가 밀가루 입자 표면에 난 구멍들에 흡착된답니다
 
기름기가 많은 설거지를 할 때 세제 대신 밀가루를 쓴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오늘에서 '아하'하고 이해하게 되었네요
 
 

 

 
 
 
맛있어지는 화학
 
추출이란? 여러 성분을 가진 혼합물에서 용매를 사용해 특정한 성분을 분리하는 것
 
용매란? 어떤 액체에 물질을 녹여서 용액을 만들 때, 그 액체를 가르키는 말
 
추출은 요리에서도 꽤 자주 이용되는 조리법이예요
 
고추에서 매운맛을 추출할 때에는 용매로 물보다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대부분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이 잘 된답니다!
 
용매, 용질, 용해는 화학에서도 배우지만 수학 문제에도 나오는만큼 용어 이해가 중요해요
 
 

 

 
 
코티지 치즈 만들기
 
 우유 속 단백질은 '카세인'이라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카세인은 산을 만나면
응고하는 성질이 있어요
 
이 원리를 잘 이용하면 치즈를 만들 수가 있어요
 
코티지 치즈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유청에 우유나 크림을 첨가해 다시 만든 치즈를
리코타 치즈라고 해요
 
아이와 같이 치즈를 만들어서 샐러드에 넣어주면 싫어하던 샐러드도 잘 먹지 않을까 싶네요
 
 

 

 
 
 
요리와 상변화
 
분자 요리란? 정식 명칭은 분자 미식학으로, 식재료를 분자 단위까지 철저하게
연구하고 분석해 만든 요리(요리법)을 말해요
 
아이가 좋아하는 솜사탕도 분자 요리라는 걸 알게 되었어요
 
상변화란? 기체 액체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물질이 외부의 영향이나 다른 물질의
첨가에 의해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것
 
 
열 접촉에 따른 계란의 상변화가 그림으로 잘 나와 있어요
 
상변화에 따라 식감과 모양도 달라진다는 사실!!
 
요즘 마약계란이 유행이든데 7분 정도 삶아서 간장에 숙성시킨 후 밥이랑 비벼 먹음
꿀맛이라 하더라고요 ㅎ
 
밥도둑이라니 만들어서 아이한테 상변화라는걸 다시 한 번 기억시켜야겠어요
 
 

 

 
 
 
 저녁에 아이를 위해서 특별 요리를 했어요
 
<Why?요리과학>책을 재미있게 읽었다면 요리속에 어떤 과학이 들어 있는지 한번에
 맞출 수가 있어요
 
맞아요! 바로 추출이예요^^
 
다른 재료를 넣기 전에 먼저 파를 볶아서 향을 냈어요
 
백종원 레시피에서 배웠던 요리법이였는데 요리도 과학을 알아야 맛을 낼 수 있다는걸
이제서야 알게 되었네요
 
파향을 낸 엄마의 요리에 아이의 반응은 엄지척이였답니다ㅎ 
 
 

 

 
 
요리와 과학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으시다면 <Why?요리과학>을 만나보세요~^^
 
과학을 알면 요리가 더욱 즐거워져요~!!^^
 
sally_special-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