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생각 Meta-Thinking - 생각 위의 생각
임영익 지음 / 리콘미디어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에서 수학을 순수하게 좋아하는 사람은 과연 몇명이나 될까. 그냥 성적이 잘 나와서, 등급이 높아서 좋아하는 것을 제외하면, 정말 몇 안될 것 이다. 그리고 이런 최악의 선호도와 함께, 사회적 분위기도 수학을 배척하는 느낌이 강하다. 수학에 관련된 학과가 인기가 그다지 많지도 않지만, 여기에 진학하는 학생들 역시, 대부분 수학을 학문으로 순수하게 연구하기 위함이 아니라, '성적 잘 받아서 교직이수'를 하거나, 학원 선생님을 하려는 쪽이 대부분이고, 잘 가야 은행이나 회계 쪽으로 빠지는 것 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 우리나라에서 과연 진정한 '수학자'가 나올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이 절로 드는 현실이다.

이런 현실 앞에서, 수학을 좋아한다 하고, 수학에 관해 좀 더 재밌게 바라보려 하는 저자의 이런 모습은, 무척이나 낯설게 느껴질 수 밖에 없다. 우리의 머릿속에는 '수학'이라고 하면, 기껏해야 식 몇 개 외우고, 문제 유형 몇개 외워서 간신히 등급이나 잘 받으면 되는 걸로 인식하고 있는데, 저자는 이런 수학을 완전히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 이다. 좀 더 다양한 상황에 대해, 좀 더 재미있는 방식으로 이제까지 딱딱하다고만 생각했던 고정관념을 완저히 깨뜨리면서, 수학을 좀 더 순수하게 바라볼 수 있게 만들어주고 있다.

어쩌면 우리나라의 교육 탓에, '수학'이라는 학문이 너무나도 왜곡되지 않았나 싶다. 중세 시대만 하더라도 이 수학이라는 것이 모든 과학의 기초이자, 발명의 원동력이었는데, 이것은 수학의 그 '목적'이 사람을 평가하고, 등급을 가르는데 있지 않고, 사람의 '생각', 즉 '사고'를 넓혀 주는데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 순수한 목적을 잃었고, 그 결과, 우리나라는 '수학 후진국'이 되버리고 만 것 이다. 이런 현실 속에서, 저자는  단 한명이라도 수학에 대한 이런 잘못된 통념을 깨뜨리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쓰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